01.Modern times 4. Jingle Jingle. Coffee.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02.Modern times 4. Jingle Jingle. Soda pop.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03.Modern times 4. Jingle Jingle. Chocolate.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04.Modern times 4. Jingle Jingle. High heel.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05.Modern times 4. Jingle Jingle. Shopping bag 1.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06.Modern times 4. Jingle Jingle. Shopping bag 2.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07.Modern times 4. Jingle Jingle. Lipstick.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08.Modern times 4. Jingle Jingle. People 1.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09.Modern times 4. Jingle Jingle. People 2.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10.Modern times 4. Jingle Jingle. Sugar.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11.Modern times 4. Jingle Jingle. Toilet paper.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12.Modern times 4. Jingle Jingle. Toothpaste.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13.Modern times 4. Jingle Jingle. Cigarette.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14.Modern times 4. Jingle Jingle. Stocking.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15.Modern times 4. Jingle Jingle. Thermal paper 1.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16.Modern times 4. Jingle Jingle. Thermal paper 2.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17.Modern times 4. Jingle Jingle. Mouse.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18.Modern times 4. Jingle Jingle. Nail.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19.Modern times 4. Jingle Jingle. A4 paper.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20.Modern times 4. Jingle Jingle. Condom.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21.Modern times 4. Jingle Jingle. Garbage bag. 122cm x 178cm. Digital Colour print on photographic paper. Wood frame. 2015
artist statement
1.전작 작가노트에서도 언급한 바 있지만, 환경과 개체(인간)는 함께 돌아가는 두개의 톱니바퀴와 같아서, 나(우리)는 지금과 여기의 사회적 환경과 뚜렷한 대응관계에 있을 수 밖에 없다. 내가 자주하는 비유로 이 있다. 금붕어와 물과의 상관관계를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듯이, 인간과 문명 사이의 관계 또한 마찬가지일 것이다. 둘간의 관계를 성찰하고 자기 언어와 이야기로 풀어내는 것은 마땅하고 의미있는 작가의 과제이다. 모던타임즈라는 일련의 나의 작업은 바로 현대에 대한 나의 감각이자, 반응이다.
2.이번 작업은 소비(상품)에 대한 이야기다. 현대는 자본이고, 자본은 시장이며, 시장은 소비이다. 전작들에서도 소비에 대해 다루기는 했지만, 이번엔 작품 전체에 할애를 했다. 사실 요새는 단순하게 소비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소비를 비교하거나 또는 소비가 비교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럼에도 당연한 것은 소비는 항상 현대의 상수이며 주요 이슈다. 세상엔 딱 세 가지가 있다, 자연과 사람과 사람이 만들어 낸 모든 것. 그래서, 소비는 영원한 주제다. 소비의 대상인 상품 또는 물성은 우리의 욕구와 모종의 관계를 가진다. 상품은 우리의 욕망이 욕망하는 것을 닮아가기 마련이다. 그것의 소재와 빛깔, 크기와 무게와 모양, 질감과 양감, 움직임등은 인간의 욕망이 지향하는 바를 충족하기에 부단히 노력한다. 동시에 욕망은 이미 그렇게 만들어진 물성(Ready-made)이 지시하는 대로 규격화되고 일반화된다. 보통 그것을 유행이라고 한다. 욕구와 상품은 그 회로안에서 계속적으로 순환하게끔 되어 있다. 문명시대의 재화와 소비의 일종의 관계식이다.
그래서 상품엔 항상 우리가 묻어있다. 욕망이 투영되고 그것을 대리한다. 때론 과하게 넘치면서도, 때론 복잡하면서도, 때론 너무나도 화려한, 사물의 세계는 우리와 너무 닮아 있지 않은가. 먹고, 마시고, 입고, 쓰고, 버려지는 그 모든 물성의 세계는 우리 인간들이 뛰노는 장이다. 우리 욕구의 거짓없는 밑바닥이다. 이번 작업은 그 민 낯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것들은 너무 징글 징글하다. 그리고 내 사진은 그 징글 징글한 소비의 변주곡들이다.
우리가 가끔은 우리의 욕망을 정면으로 봐야하는 이유는 매일 아침 거울을 봐야하는 이유와 매주 교회나 불당에 가는 이유와 매년 종합검진을 받는 이유와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백업하는 이유와 다르지 않다.
3.예술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것들에 대한 불만에서 시작한다. 그래서 아마 천국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을 사람은 없을 것이다. 오래된 미술양식에 불만을 품고, 자기 마음대로, 자기 식대로 그리기 시작했던 인상파의 작품들은 처음엔 화랑에 걸리지도 못했다. 당시에 그림이라는 것은 있는 그대로 그려야만 했던 이유에서다. 그러나 그들의 인상주의적 표현은 근대 모더니즘의 시작이었으며, 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예술의 역사는 형식과 표현이라는 두 요소의 부단한 변주의 역사이다.
사진적 형식과 미술적 표현의 새로운 교배는 현재진행형이다. 이러한 사진의 회화적 태도에 대한 평가는 아마 후대에 이루어 질 것이다. 그러나 다윈이 진화론에서 줄곧 주장했던 것처럼 진화는 진보가 아니라 다양성의 확보이다. 예술의 진화 역시 마찬가지가 아닐까? 사진의 회화적 접근은 그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일단은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움직임이다. 지금은 사진의 모더니즘의 시작이며, 바야흐로 사진이 회화와 경쟁하는 시대이다.
4.예술은 공리를 만들어내는 장이 아니다. 이 말을 하는 이유는 더러 내 작업을 보고 과연 내 이야기가 사실인지 아닌지, 옳은지 그른지를 따지는 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진위 여부를 묻고 답하는 것은 과학에서 하는 것이다. 예술은 사실에, 가치에, 아름다움에, 기능에 부역하지 않아도 되는 범주다. 예술은 작가가 하고 싶은데로 하는 것이며, 곳이다. 관객은 자신이 인정하는 만큼만 인정하면 그 뿐이다. 즉, 일방향적인 행위이지 소통을 위한 행위는 아닌 것이다. 요즘 부쩍 예술 쪽에서 소통을 들고 나오는 이유는 정치가 그것에 소홀하기 때문이다. 예술의 화두는 언제나 당시 사회의 가장 부족하고 약한 부분을 대변한다.
정치가 오염이 되면 가장 먼저 예술이 오염된다.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어쩔수 없는 예술계의 사회적 반응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예술은 소통을 염두하는 순간 정치가 되고 미화 작업이 되고 결국 자기 언어를 잃어버리게 된다. 더 이상 예술이 아닌 게 된다.
이제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가야 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