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geonhi.com/korean/정윤기-the-dream-of-frame-2008/
The Dreame of Frame #1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1.jpg
정윤기
The Dream of frame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1.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8.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9/The-Dreame-of-Frame-13.jpg"], :captions=>["The Dreame of Frame #1", "The Dreame of Frame #2", "The Dreame of Frame #3", "The Dreame of Frame #4", "The Dreame of Frame #5", "The Dreame of Frame #6", "The Dreame of Frame #7", "The Dreame of Frame #8", "The Dreame of Frame #9", "The Dreame of Frame #10", "The Dreame of Frame #11", "The Dreame of Frame #12", "The Dreame of Frame #13"], :gallery=>{:title=>"The Dream of frame, 2008",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일본의 게임과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들은 한국의 이삼십 대 연령층에게도 친숙한 것이 되고 있었다. 일본문화가 공식적으로 개방된 지 수년 밖에 지나지 않았다고는 해도 아톰을 비롯하여 마징가, 세일러문 등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캐릭터들은 이미 우리의 머릿속에 강력한 이미지로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현재에 이르면 새로운 가상의 이미지들이 무차별하게 젊은 문화 속에 파고드는 현상을 본다. 유년기에 시작된 가상의 캐릭터들과 그 이미지는 기억과 의식을 넘어 환경처럼 바뀌어 그 영향력을 키우고 있었다. 어린 시절 주입된 기억은 성인으로 성장하면서 무의식적으로 각인되고 코드화하여 자리 잡히고 있었던 것이다.<br>\n<br>\n피겨 인형은 컴퓨터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속에서 부여된 성격과 개성 위에서 제작자와 수집가의 선택에 따라 청순한 여고생에서부터 메이드, 글래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미지로 변신한다. 피겨 인형은 게임이나 영화속에서 창조된 캐릭터인 동시에 현대 남성의 염원이 스며들어 있는 창작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어쩌면 아담과 교코로 대표되는 사이버 캐릭터를 넘어서 가상세계의 현실화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남성들이 가진 꿈과 교묘하게 결탁할 수 있는 가능성까지 열어준다. 가상과 현실, 그 중간 어딘가에 위치하여 새로운 판타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할까? 다시 말해서 인형이 갖는 애매모호한 현존성이야 말로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br>\n<br>\n이미지 배경세트 위에 실제 인형이 놓여짐으로써 가상과 실체의 모호한 경계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 사진 작업에서는 실제 공간에 사람을 닮은 가짜(인형)가 놓여진 것 같은 착각을 불러 일으킴으로써, 이 시대의 환상과 욕구에 대해 가상의 세트(배경)와 과장된 캐릭터들의 모습으로 결합된 가상의 공간을 말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n"}, :artist=>{:title=>"정윤기, Jeong Yunki", :description=>"[개인전]<br>\n2008 The Dream of Frame, Gate Gallery, 서울<br>\n<br>\n[그룹전]<br>\n2009 Asian Age Project 2009 시시비비, 대안공간건희, 서울<br>\n2008 Seoul Doll Festival, COEX, 서울<br>\n2008 New York World Art Festival, Flushing Gallery N.Y, 뉴욕, 미국<br>\n2008 The Memories, Gallery Sang, 서울<br>\n2008 New Face Artist 2008, Gallery Sang, 서울<br>\n2003 서울 유토피아를 꿈꾸다, Gallery Lux, 서울<br>\n2003 감성의 나선, 디프, 서울<br>\n2002 워크프리젠테이션, 스페이스사진, 서울<br>\n2001 한강 2001, 사진마당, 서울<br>\n2000 광주비엔날레 영상전 참여, 광주<br>\n1999 815, 덕원미술관, 서울<br>\n<br>\n[수상]<br>\n2008 New Face Artist 우수작가상, New Face Artist 공모전\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