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geonhi.com/korean/어머니가-만들어주셨던-두붓국-my-mothers-tofu-soup-2017/
My_Mother's_Tofu_Soup_03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My_Mothers_Tofu_Soup_03.png
임민영
어머니가 만들어주셨던 두붓국 My mother's tofu soup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My_Mothers_Tofu_Soup_01.png
{:video_url=>"https://youtu.be/ZbWWrXIz7OY",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My_Mothers_Tofu_Soup_01.pn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My_Mothers_Tofu_Soup_02.pn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My_Mothers_Tofu_Soup_03.png"], :captions=>["My_Mother_Tofu_Soup_01", "My_Mother_Tofu_Soup_02", "My_Mother_Tofu_Soup_03"], :gallery=>{:title=>"어머니가 만들어주셨던 두붓국 My mother’s tofu soup, 2017", :description=>"video<br>\n<a href=\"https://youtu.be/ZbWWrXIz7OY\">[https://youtu.be/ZbWWrXIz7OY]</a><br>\n<br>\nartist statement<br>\n‘어머니가 만들어주셨던 두붓국’은 북한 대기근 때 대가족이 먹었던 음식을 기억에 따라 탈북민이 직접 재현하는 영상이다. 북한의 음식은 평양냉면이나 오징어순대와 같은, 일반 서민들이 평소 먹지 못하는 음식들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나는 보통의 사람들이 집에서 먹는 음식을 기록하고 싶었다. 말로 전달하기 어려운 고통스러운 이야기들은 음식을 통해 보다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다.<br>\n누군가의 사적이고도 감정적인 기억을 불러오는 음식을 통해, 북한의 문제를 정권이 아닌 사람들의 이야기로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란다.\n"}, :artist=>{:title=>"임민영, Im Minyung", :description=>"1987 서울 출생<br>\n<br>\n[학력]<br>\n2013-201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전문사 조형예술과 매체전공 중퇴<br>\n2006-201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5 일요학원, 스페이스 악어, 서울<br>\n2014 노량진플레이, 노량진 육교, 서울<br>\n2013 테아트룸문디, 라제너럴, 파리, 프랑스<br>\n<br>\n[그룹전]<br>\n2017 미래작가상 스토리展, 캐논 갤러리, 서울<br>\n2015 제15회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서울<br>\n2015 가능성, 그 단서들,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5 방랑벽, 캔디드아트, 런던, 영국<br>\n2015 Through the Looking-Screen, 갤러리175, 서울<br>\n2015 도서관 독립출판 열람실, 국립중앙도서관, 서울<br>\n2014 부산국제비디오아트 페스티벌, 부산카톨릭센터, 부산<br>\n2014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4 브라이튼 포토비엔날레 쇼, 브라이튼, 영국<br>\n2014 별 의미없는 상영회, 아스팔트스튜디오, 서울<br>\n2013 스트리밍페스티벌, 온라인<br>\n2013 일현트래블그랜트,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레지던시 결과 보고展,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오픈 스튜디오,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종합극장,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서울<br>\n2013 이상한쑈, 대안예술공간 이포, 서울<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오픈스페이스 배, 부산<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12,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2 인 에브리 인스턴트, 복합문화공간1984, 서울<br>\n2012 무엇을 위한 방,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갤러리가무, 프라하, 체코<br>\n2011 서울사진축제 포트폴리오展,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쿤스트할레 에르푸르트, 에르푸르트, 독일<br>\n2011 Sparkling Silence, 노트벡갤러리, 탐페레, 핀란드<br>\n2010 2010 미래작가상展, 캐논플렉스 갤러리, 서울<br>\n2009 전국사진교류 초대展,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br>\n<br>\n[기금/수상]<br>\n2015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서울문화재단<br>\n2015 갤러리175 정기공모,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부설 조형연구소<br>\n2014 ARKO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한국문화예술위원회<br>\n2013 오프앤프리 국제확장영화예술제, (사)비상업영화기구 주관, 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공동 주최<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 운영위원회 주최<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2 신진작가지원 프로그램 선정, 커뮤니티스페이스 리트머스 주최<br>\n2011 서울포토페스티벌 2011 포트폴리오 공모전 수상, 서울특별시 주최<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br>\n<br>\n[기획]<br>\n2015 와이파이, 갤러리175, 서울<br>\n2014 노량진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3 외국인 근로자 사진전 「나를 소개합니다」, 청계천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3 고려인들과 함께 보는 영화 「하나안」 (박루슬란 감독과의 대화),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br>\n<br>\n[교육]<br>\n2014 매화종합사회복지관, 서울, 11월 13일 – 12월 4일<br>\n2014 신내노인종합복지관, 서울, 9월 22일 – 11월 3일<br>\n2014 연가초등학교, 서울, 10월 7일 – 11월 29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미동초등학교, 서울, 5월 8일 – 6월 27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안산이주아동청소년센터, 안산, 4월 19일<br>\n2014 양천외국인근로자센터, 서울, 2월 9일 – 12월 21일<br>\n<br>\n[레지던시]<br>\n2017 예술가들의 놀이터, 강원<br>\n2013 앙가 레지던시, 바르셀로나, 스페인<br>\n<br>\n[출판]<br>\n2014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연구자료집<br>\n2012 인스턴트, 3호, 무엇을 위한 방<br>\n2011 인스턴트, 2호, 내방여행<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n"}}
어머니가 만들어주셨던 두붓국 My mother's tofu soup
2017
http://geonhi.com/korean/와이파이-wifi-2015/
WiFi01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WiFi01.jpg
임민영
와이파이 WiFi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WiFi01-1024x683.jpg
{:video_url=>"https://youtu.be/FnQPlXsXDLA",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WiFi01-1024x68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WiFi02-1024x68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WiFi03-1024x68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WiFi04-1024x68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WiFi05-1024x68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WiFi06.jpg"], :captions=>["WiFi01", "WiFi02", "WiFi03", "WiFi04", "WiFi05", "WiFi06"], :gallery=>{:title=>"와이파이 WiFi, 2015", :description=>"video<br>\n<a href=\"https://youtu.be/FnQPlXsXDLA\">[https://youtu.be/FnQPlXsXDLA]</a><br>\n<br>\nartist statement<br>\n사람들은 이동한다. 와이파이가 있는 곳으로. 새로운 곳에 도착했을 때, 가장 먼저 하는 질문은 이제 “여기가 어디예요?”가 아니라 “와이파이 있어요?”이다. 전자기기는 따뜻하다. 이제 사람들은 모닥불 대신 와이파이를 찾는다. 와이파이 주위에는 사람들이 모인다.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모일 것을 염려해서일까. 누군가는 암호를 걸어 울타리를 치기도 한다. 암호 없는 와이파이는 불특정 다수를 초대한다. 그리하여 인터넷은 개인들을 가장 고립시키면서, 고립된 개인들을 묶는 유일한 수단이 되었다. 그 속에서 와이파이 공유기는 추운 날 모닥불처럼 사람들을 끌어 모은다. 원시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을 관통하는 무엇이 그 안에 들어있다.<br>\n<br>\n한편, 처음 인터넷은 수많은 가능성들로 가득 차 보였다. 세상을 더 풍요롭게 하는 새로운 공간. 수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다른 생각들을 가져와 함께 하는 공간. 그러나 인터넷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유일한 커뮤니티인 지금, 새로운 생각과 영향들은 어디에 있는가? 여느 고립된 커뮤니티들과 마찬가지로 새로움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겉으로는 다양해 보이나, 우리는 대부분 매일 똑같은 사이트를 방문하고 비슷한 사람들과 대화하고 비슷한 생각들을 읽지 않는가. 그러나 때때로 우리는 인터넷 속에서 조금 다른 것들을 마주한다. 이는 현대적 삶의 검열 밖에 있는 사람들의 흔적과도 같다. 본 전시는 작가와 비 작가의 경계 없이 이 모든 흔적들을 끌어 모은다. 그리고 무료 와이파이를 통해 사람들을 부른다. 우리는 모닥불을 만들 것이다.\n"}, :artist=>{:title=>"임민영, Im Minyung", :description=>"1987 서울 출생<br>\n<br>\n[학력]<br>\n2013-201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전문사 조형예술과 매체전공 중퇴<br>\n2006-201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5 일요학원, 스페이스 악어, 서울<br>\n2014 노량진플레이, 노량진 육교, 서울<br>\n2013 테아트룸문디, 라제너럴, 파리, 프랑스<br>\n<br>\n[그룹전]<br>\n2017 미래작가상 스토리展, 캐논 갤러리, 서울<br>\n2015 제15회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서울<br>\n2015 가능성, 그 단서들,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5 방랑벽, 캔디드아트, 런던, 영국<br>\n2015 Through the Looking-Screen, 갤러리175, 서울<br>\n2015 도서관 독립출판 열람실, 국립중앙도서관, 서울<br>\n2014 부산국제비디오아트 페스티벌, 부산카톨릭센터, 부산<br>\n2014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4 브라이튼 포토비엔날레 쇼, 브라이튼, 영국<br>\n2014 별 의미없는 상영회, 아스팔트스튜디오, 서울<br>\n2013 스트리밍페스티벌, 온라인<br>\n2013 일현트래블그랜트,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레지던시 결과 보고展,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오픈 스튜디오,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종합극장,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서울<br>\n2013 이상한쑈, 대안예술공간 이포, 서울<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오픈스페이스 배, 부산<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12,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2 인 에브리 인스턴트, 복합문화공간1984, 서울<br>\n2012 무엇을 위한 방,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갤러리가무, 프라하, 체코<br>\n2011 서울사진축제 포트폴리오展,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쿤스트할레 에르푸르트, 에르푸르트, 독일<br>\n2011 Sparkling Silence, 노트벡갤러리, 탐페레, 핀란드<br>\n2010 2010 미래작가상展, 캐논플렉스 갤러리, 서울<br>\n2009 전국사진교류 초대展,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br>\n<br>\n[기금/수상]<br>\n2015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서울문화재단<br>\n2015 갤러리175 정기공모,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부설 조형연구소<br>\n2014 ARKO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한국문화예술위원회<br>\n2013 오프앤프리 국제확장영화예술제, (사)비상업영화기구 주관, 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공동 주최<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 운영위원회 주최<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2 신진작가지원 프로그램 선정, 커뮤니티스페이스 리트머스 주최<br>\n2011 서울포토페스티벌 2011 포트폴리오 공모전 수상, 서울특별시 주최<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br>\n<br>\n[기획]<br>\n2015 와이파이, 갤러리175, 서울<br>\n2014 노량진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3 외국인 근로자 사진전 「나를 소개합니다」, 청계천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3 고려인들과 함께 보는 영화 「하나안」 (박루슬란 감독과의 대화),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br>\n<br>\n[교육]<br>\n2014 매화종합사회복지관, 서울, 11월 13일 – 12월 4일<br>\n2014 신내노인종합복지관, 서울, 9월 22일 – 11월 3일<br>\n2014 연가초등학교, 서울, 10월 7일 – 11월 29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미동초등학교, 서울, 5월 8일 – 6월 27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안산이주아동청소년센터, 안산, 4월 19일<br>\n2014 양천외국인근로자센터, 서울, 2월 9일 – 12월 21일<br>\n<br>\n[레지던시]<br>\n2017 예술가들의 놀이터, 강원<br>\n2013 앙가 레지던시, 바르셀로나, 스페인<br>\n<br>\n[출판]<br>\n2014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연구자료집<br>\n2012 인스턴트, 3호, 무엇을 위한 방<br>\n2011 인스턴트, 2호, 내방여행<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n"}}
http://geonhi.com/korean/한국인과-대화하는-법-how-to-talk-to-korean-2015/
How_to_talk_to_a_Korean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How_to_talk_to_a_Korean.jpg
임민영
한국인과 대화하는 법 How to talk to Korean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How_to_talk_to_a_Korean-1024x576.jpg
{:video_url=>"https://youtu.be/OOAhW4IFvtM",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How_to_talk_to_a_Korean-1024x576.jpg"], :captions=>["How_to_talk_to_a_Korean"], :gallery=>{:title=>"한국인과 대화하는 법 How to talk to Korean, 2015", :description=>"video<br>\n<a href=\"https://youtu.be/OOAhW4IFvtM\">[https://youtu.be/OOAhW4IFvtM]</a><br>\n<br>\nartist statement<br>\n한국어 회화 교육 영상의 형식을 빌려 이주 노동자들의 일상을 보여준다. 식당, 직장, 병원 등에서 있을 법한 이야기를 다루는데, 겉으로 보기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교묘하게 내재화된 인종주의를 드러낸다.\n"}, :artist=>{:title=>"임민영, Im Minyung", :description=>"1987 서울 출생<br>\n<br>\n[학력]<br>\n2013-201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전문사 조형예술과 매체전공 중퇴<br>\n2006-201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5 일요학원, 스페이스 악어, 서울<br>\n2014 노량진플레이, 노량진 육교, 서울<br>\n2013 테아트룸문디, 라제너럴, 파리, 프랑스<br>\n<br>\n[그룹전]<br>\n2017 미래작가상 스토리展, 캐논 갤러리, 서울<br>\n2015 제15회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서울<br>\n2015 가능성, 그 단서들,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5 방랑벽, 캔디드아트, 런던, 영국<br>\n2015 Through the Looking-Screen, 갤러리175, 서울<br>\n2015 도서관 독립출판 열람실, 국립중앙도서관, 서울<br>\n2014 부산국제비디오아트 페스티벌, 부산카톨릭센터, 부산<br>\n2014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4 브라이튼 포토비엔날레 쇼, 브라이튼, 영국<br>\n2014 별 의미없는 상영회, 아스팔트스튜디오, 서울<br>\n2013 스트리밍페스티벌, 온라인<br>\n2013 일현트래블그랜트,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레지던시 결과 보고展,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오픈 스튜디오,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종합극장,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서울<br>\n2013 이상한쑈, 대안예술공간 이포, 서울<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오픈스페이스 배, 부산<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12,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2 인 에브리 인스턴트, 복합문화공간1984, 서울<br>\n2012 무엇을 위한 방,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갤러리가무, 프라하, 체코<br>\n2011 서울사진축제 포트폴리오展,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쿤스트할레 에르푸르트, 에르푸르트, 독일<br>\n2011 Sparkling Silence, 노트벡갤러리, 탐페레, 핀란드<br>\n2010 2010 미래작가상展, 캐논플렉스 갤러리, 서울<br>\n2009 전국사진교류 초대展,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br>\n<br>\n[기금/수상]<br>\n2015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서울문화재단<br>\n2015 갤러리175 정기공모,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부설 조형연구소<br>\n2014 ARKO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한국문화예술위원회<br>\n2013 오프앤프리 국제확장영화예술제, (사)비상업영화기구 주관, 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공동 주최<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 운영위원회 주최<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2 신진작가지원 프로그램 선정, 커뮤니티스페이스 리트머스 주최<br>\n2011 서울포토페스티벌 2011 포트폴리오 공모전 수상, 서울특별시 주최<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br>\n<br>\n[기획]<br>\n2015 와이파이, 갤러리175, 서울<br>\n2014 노량진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3 외국인 근로자 사진전 「나를 소개합니다」, 청계천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3 고려인들과 함께 보는 영화 「하나안」 (박루슬란 감독과의 대화),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br>\n<br>\n[교육]<br>\n2014 매화종합사회복지관, 서울, 11월 13일 – 12월 4일<br>\n2014 신내노인종합복지관, 서울, 9월 22일 – 11월 3일<br>\n2014 연가초등학교, 서울, 10월 7일 – 11월 29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미동초등학교, 서울, 5월 8일 – 6월 27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안산이주아동청소년센터, 안산, 4월 19일<br>\n2014 양천외국인근로자센터, 서울, 2월 9일 – 12월 21일<br>\n<br>\n[레지던시]<br>\n2017 예술가들의 놀이터, 강원<br>\n2013 앙가 레지던시, 바르셀로나, 스페인<br>\n<br>\n[출판]<br>\n2014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연구자료집<br>\n2012 인스턴트, 3호, 무엇을 위한 방<br>\n2011 인스턴트, 2호, 내방여행<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n"}}
한국인과 대화하는 법 How to talk to Korean
2015
http://geonhi.com/korean/일분-o-minute-2013-2014/
O_minute_artist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O_minute_artist.jpg
임민영
일분 O Minute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O_minute_artist-1024x576.jpg
{:video_url=>"https://youtu.be/1rCOFas7YUw",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O_minute_artist-1024x57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O_minute_garbage_center-1024x57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O_minute_street_cleaner-1-1024x576.jpg"], :captions=>["O_minute_artist", "O_minute_garbage_center", "O_minute_street_cleaner (1)"], :gallery=>{:title=>"일분 O Minute, 2013-2014", :description=>"video<br>\n<a href=\"https://youtu.be/1rCOFas7YUw\">[https://youtu.be/1rCOFas7YUw]</a><br>\n<br>\nartist statement<br>\n‘일분 O Minute’ 프로젝트는 세상을 하나의 무대로 가정하고 진행되었다. 만일 누구 하나라도 그 연극을 멈춘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나는 2013년에서 2014년 사이, 길에서 우연히 마주친 사람들을 대상으로 원래 하고 있던 자세를 그대로 1분 동안 멈춰있을 것을 부탁해보았다. 각자가 생각하는 일분이 지났다고 생각하면 다시 움직이면서 퍼포먼스는 종료되었다.\n"}, :artist=>{:title=>"임민영, Im Minyung", :description=>"1987 서울 출생<br>\n<br>\n[학력]<br>\n2013-201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전문사 조형예술과 매체전공 중퇴<br>\n2006-201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5 일요학원, 스페이스 악어, 서울<br>\n2014 노량진플레이, 노량진 육교, 서울<br>\n2013 테아트룸문디, 라제너럴, 파리, 프랑스<br>\n<br>\n[그룹전]<br>\n2017 미래작가상 스토리展, 캐논 갤러리, 서울<br>\n2015 제15회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서울<br>\n2015 가능성, 그 단서들,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5 방랑벽, 캔디드아트, 런던, 영국<br>\n2015 Through the Looking-Screen, 갤러리175, 서울<br>\n2015 도서관 독립출판 열람실, 국립중앙도서관, 서울<br>\n2014 부산국제비디오아트 페스티벌, 부산카톨릭센터, 부산<br>\n2014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4 브라이튼 포토비엔날레 쇼, 브라이튼, 영국<br>\n2014 별 의미없는 상영회, 아스팔트스튜디오, 서울<br>\n2013 스트리밍페스티벌, 온라인<br>\n2013 일현트래블그랜트,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레지던시 결과 보고展,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오픈 스튜디오,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종합극장,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서울<br>\n2013 이상한쑈, 대안예술공간 이포, 서울<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오픈스페이스 배, 부산<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12,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2 인 에브리 인스턴트, 복합문화공간1984, 서울<br>\n2012 무엇을 위한 방,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갤러리가무, 프라하, 체코<br>\n2011 서울사진축제 포트폴리오展,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쿤스트할레 에르푸르트, 에르푸르트, 독일<br>\n2011 Sparkling Silence, 노트벡갤러리, 탐페레, 핀란드<br>\n2010 2010 미래작가상展, 캐논플렉스 갤러리, 서울<br>\n2009 전국사진교류 초대展,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br>\n<br>\n[기금/수상]<br>\n2015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서울문화재단<br>\n2015 갤러리175 정기공모,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부설 조형연구소<br>\n2014 ARKO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한국문화예술위원회<br>\n2013 오프앤프리 국제확장영화예술제, (사)비상업영화기구 주관, 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공동 주최<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 운영위원회 주최<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2 신진작가지원 프로그램 선정, 커뮤니티스페이스 리트머스 주최<br>\n2011 서울포토페스티벌 2011 포트폴리오 공모전 수상, 서울특별시 주최<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br>\n<br>\n[기획]<br>\n2015 와이파이, 갤러리175, 서울<br>\n2014 노량진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3 외국인 근로자 사진전 「나를 소개합니다」, 청계천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3 고려인들과 함께 보는 영화 「하나안」 (박루슬란 감독과의 대화),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br>\n<br>\n[교육]<br>\n2014 매화종합사회복지관, 서울, 11월 13일 – 12월 4일<br>\n2014 신내노인종합복지관, 서울, 9월 22일 – 11월 3일<br>\n2014 연가초등학교, 서울, 10월 7일 – 11월 29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미동초등학교, 서울, 5월 8일 – 6월 27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안산이주아동청소년센터, 안산, 4월 19일<br>\n2014 양천외국인근로자센터, 서울, 2월 9일 – 12월 21일<br>\n<br>\n[레지던시]<br>\n2017 예술가들의 놀이터, 강원<br>\n2013 앙가 레지던시, 바르셀로나, 스페인<br>\n<br>\n[출판]<br>\n2014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연구자료집<br>\n2012 인스턴트, 3호, 무엇을 위한 방<br>\n2011 인스턴트, 2호, 내방여행<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n"}}
http://geonhi.com/korean/자장가들-lullabies-2012/
Lullabies01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Lullabies01.jpg
임민영
자장가들 Lullabies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Lullabies01-1024x576.jpg
{:video_url=>"https://youtu.be/ARKJQxQhkAU",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Lullabies01-1024x57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Lullabies02-1024x57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Lullabies03-1024x57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Lullabies04-1024x57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Lullabies05-1024x57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4/Lullabies06-1024x576.jpg"], :captions=>["Lullabies01", "Lullabies02", "Lullabies03", "Lullabies04", "Lullabies05", "Lullabies06"], :gallery=>{:title=>"자장가들 Lullabies, 2012", :description=>"video<br>\n<a href=\"https://youtu.be/ARKJQxQhkAU\">[https://youtu.be/ARKJQxQhkAU]</a><br>\n<br>\narticle, 김성호 미술평론가<br>\n이미지로 ‘되받아 쓰기’와 유목주의로 ‘소수자-되기’를 실천하는 커뮤니티아트<br>\n후기 식민 지배자들은 여전히 지배의 헤게모니를 공고히 하고 정당화하기 위해서 피지배자들을 간섭하되 문화의 힘으로 교묘히 위장한다. 여기에 피지배자들은 버리려 해도 버릴 수 없는 식민 지배자들의 언어를 훈련하고 습득하면서 피지배의 질서 속에 길들여진다. 문화와 언어는 민주주의의 불투명한 망토 아래서 식민 지배의 질서를 공고히 하는 심층의 정치학이자 그것의 도구이기 때문이다. 여전히 미국의 후기 식민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한국이 거꾸로 제3세계의 이주민과 노동자를 대상으로 벌이는 후기 식민 지배의 만용은 어떠한가? 임민영은 이러한 질문 속으로 들어와 안산시 원곡동이라는 공공의 공간에서 피지배자들의 망각된 언어들을 되살린다.<br>\n<br>\n‘자장가들’이라는 작품이 바로 그것이다. 파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몽골 등 각기 국적이 다른 제3세계의 여성들이 자신들의 아이를 껴안고 자국의 언어로 전통적인 자장가를 부르는 방식으로 말이다. 그들은 각자 다른 동기와 콘텍스트 속에서 한국에 들어왔지만 동일하게 한국 남성들과 결혼한 제3세계 출신의 이주민 여성들이다. 그녀들이 자신들의 언어로 나직하게 부르는 자장가란 피지배자들의 사적 언어임과 동시에, 후기 식민지의 지배자들로부터 억압받아온 후기 식민 피지배자들의 공적 언어가 된다. 아쉽게도 제3세계 피식민자들의 이러한 언어 사용은 후기 식민 지배자들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온전히 깨쳐내지 못한다. 즉 한국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저항하지 못하고 그저 베트남, 몽골의 전통적 정신 속에서 도피의 안식처를 잠시만 누릴 뿐이다.<br>\n<br>\n그것은 그들에게는 영원한 타국인 한국에서 삶의 고단함을 누일 임시의 도피처로 기능할 따름이다. 그럼에도 임민영은 이러한 일련의 퍼포먼스를 통해서 이들의 한국에서의 애환이 치유되길 갈망한다. ‘한국인 아닌 정체성’과 이주민으로서의 고단한 삶을 공유하는 이들끼리 서로의 애환을 나누고 치유하는 소통의 장이 되기를 희망하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임민영의 이러한 퍼포먼스는 한국적 사회에서 늘 대상화되고 객체화되었던 이들에게 제3세계 이주민들이라는 정체성 속에서 망각된 주체를 되살려내는 작업이 된다.\n"}, :artist=>{:title=>"임민영, Im Minyung", :description=>"1987 서울 출생<br>\n<br>\n[학력]<br>\n2013-201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전문사 조형예술과 매체전공 중퇴<br>\n2006-201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5 일요학원, 스페이스 악어, 서울<br>\n2014 노량진플레이, 노량진 육교, 서울<br>\n2013 테아트룸문디, 라제너럴, 파리, 프랑스<br>\n<br>\n[그룹전]<br>\n2017 미래작가상 스토리展, 캐논 갤러리, 서울<br>\n2015 제15회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서울<br>\n2015 가능성, 그 단서들,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5 방랑벽, 캔디드아트, 런던, 영국<br>\n2015 Through the Looking-Screen, 갤러리175, 서울<br>\n2015 도서관 독립출판 열람실, 국립중앙도서관, 서울<br>\n2014 부산국제비디오아트 페스티벌, 부산카톨릭센터, 부산<br>\n2014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4 브라이튼 포토비엔날레 쇼, 브라이튼, 영국<br>\n2014 별 의미없는 상영회, 아스팔트스튜디오, 서울<br>\n2013 스트리밍페스티벌, 온라인<br>\n2013 일현트래블그랜트,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레지던시 결과 보고展,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오픈 스튜디오,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종합극장,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서울<br>\n2013 이상한쑈, 대안예술공간 이포, 서울<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오픈스페이스 배, 부산<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12,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2 인 에브리 인스턴트, 복합문화공간1984, 서울<br>\n2012 무엇을 위한 방,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갤러리가무, 프라하, 체코<br>\n2011 서울사진축제 포트폴리오展,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쿤스트할레 에르푸르트, 에르푸르트, 독일<br>\n2011 Sparkling Silence, 노트벡갤러리, 탐페레, 핀란드<br>\n2010 2010 미래작가상展, 캐논플렉스 갤러리, 서울<br>\n2009 전국사진교류 초대展,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br>\n<br>\n[기금/수상]<br>\n2015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서울문화재단<br>\n2015 갤러리175 정기공모,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부설 조형연구소<br>\n2014 ARKO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한국문화예술위원회<br>\n2013 오프앤프리 국제확장영화예술제, (사)비상업영화기구 주관, 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공동 주최<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 운영위원회 주최<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2 신진작가지원 프로그램 선정, 커뮤니티스페이스 리트머스 주최<br>\n2011 서울포토페스티벌 2011 포트폴리오 공모전 수상, 서울특별시 주최<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br>\n<br>\n[기획]<br>\n2015 와이파이, 갤러리175, 서울<br>\n2014 노량진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3 외국인 근로자 사진전 「나를 소개합니다」, 청계천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3 고려인들과 함께 보는 영화 「하나안」 (박루슬란 감독과의 대화),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br>\n<br>\n[교육]<br>\n2014 매화종합사회복지관, 서울, 11월 13일 – 12월 4일<br>\n2014 신내노인종합복지관, 서울, 9월 22일 – 11월 3일<br>\n2014 연가초등학교, 서울, 10월 7일 – 11월 29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미동초등학교, 서울, 5월 8일 – 6월 27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안산이주아동청소년센터, 안산, 4월 19일<br>\n2014 양천외국인근로자센터, 서울, 2월 9일 – 12월 21일<br>\n<br>\n[레지던시]<br>\n2017 예술가들의 놀이터, 강원<br>\n2013 앙가 레지던시, 바르셀로나, 스페인<br>\n<br>\n[출판]<br>\n2014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연구자료집<br>\n2012 인스턴트, 3호, 무엇을 위한 방<br>\n2011 인스턴트, 2호, 내방여행<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n"}}
http://geonhi.com/korean/임민영-노량진-2011/
noryangjin#1, Digital C-Print, 120x90cm, 2011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noryangjin1-Digital-C-Print-120x90cm-2011.jpg
임민영
노량진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noryangjin1-Digital-C-Print-120x90cm-2011.jpg
{:video_url=>"https://youtu.be/AQI7N0CpArM",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noryangjin1-Digital-C-Print-120x90cm-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noryangjin2-Digital-C-Print-120x90cm-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noryangjin3-Digital-C-Print-120x90cm-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noryangjin4-Digital-C-Print-90x120cm-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noryangjin5-Digital-C-Print-90x120cm-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noryangjin6-Digital-C-Print-120x90cm-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noryangjin7-Digital-C-Print-120x90cm-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noryangjin8-Digital-C-Print-120x90cm-2011.jpg"], :captions=>["noryangjin#1, Digital C-Print, 120x90cm, 2011", "noryangjin#2, Digital C-Print, 120x90cm, 2011", "noryangjin#3, Digital C-Print, 120x90cm, 2011", "noryangjin#4, Digital C-Print, 90x120cm, 2011", "noryangjin#5, Digital C-Print, 90x120cm, 2011", "noryangjin#6, Digital C-Print, 120x90cm, 2011", "noryangjin#7, Digital C-Print, 120x90cm, 2011", "noryangjin#8, Digital C-Print, 120x90cm, 2011"], :gallery=>{:title=>"노량진, 2011", :description=>"video<br>\n<a href=\"https://youtu.be/AQI7N0CpArM\">[https://youtu.be/AQI7N0CpArM]</a><br>\n<br>\nartist statement<br>\n노량진은 오로지 목적만을 위해 존재하는 독특한 도시이다.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그곳에서 생활하지만, 누구도 현재의 인생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곳은 어딘가 방치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곳에서 어떤 시적 순간, 우연을 찾아서 돌아다닌다는 비생산적인 활동이 다른 어떤 곳에서보다 가치 있게 느껴졌다.\n"}, :artist=>{:title=>"임민영, Im Minyung", :description=>"1987 서울 출생<br>\n<br>\n[학력]<br>\n2013-201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전문사 조형예술과 매체전공 중퇴<br>\n2006-201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5 일요학원, 스페이스 악어, 서울<br>\n2014 노량진플레이, 노량진 육교, 서울<br>\n2013 테아트룸문디, 라제너럴, 파리, 프랑스<br>\n<br>\n[그룹전]<br>\n2017 미래작가상 스토리展, 캐논 갤러리, 서울<br>\n2015 제15회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서울<br>\n2015 가능성, 그 단서들,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5 방랑벽, 캔디드아트, 런던, 영국<br>\n2015 Through the Looking-Screen, 갤러리175, 서울<br>\n2015 도서관 독립출판 열람실, 국립중앙도서관, 서울<br>\n2014 부산국제비디오아트 페스티벌, 부산카톨릭센터, 부산<br>\n2014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4 브라이튼 포토비엔날레 쇼, 브라이튼, 영국<br>\n2014 별 의미없는 상영회, 아스팔트스튜디오, 서울<br>\n2013 스트리밍페스티벌, 온라인<br>\n2013 일현트래블그랜트,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레지던시 결과 보고展,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오픈 스튜디오,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종합극장,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서울<br>\n2013 이상한쑈, 대안예술공간 이포, 서울<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오픈스페이스 배, 부산<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12,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2 인 에브리 인스턴트, 복합문화공간1984, 서울<br>\n2012 무엇을 위한 방,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갤러리가무, 프라하, 체코<br>\n2011 서울사진축제 포트폴리오展,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쿤스트할레 에르푸르트, 에르푸르트, 독일<br>\n2011 Sparkling Silence, 노트벡갤러리, 탐페레, 핀란드<br>\n2010 2010 미래작가상展, 캐논플렉스 갤러리, 서울<br>\n2009 전국사진교류 초대展,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br>\n<br>\n[기금/수상]<br>\n2015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서울문화재단<br>\n2015 갤러리175 정기공모,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부설 조형연구소<br>\n2014 ARKO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한국문화예술위원회<br>\n2013 오프앤프리 국제확장영화예술제, (사)비상업영화기구 주관, 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공동 주최<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 운영위원회 주최<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2 신진작가지원 프로그램 선정, 커뮤니티스페이스 리트머스 주최<br>\n2011 서울포토페스티벌 2011 포트폴리오 공모전 수상, 서울특별시 주최<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br>\n<br>\n[기획]<br>\n2015 와이파이, 갤러리175, 서울<br>\n2014 노량진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3 외국인 근로자 사진전 「나를 소개합니다」, 청계천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3 고려인들과 함께 보는 영화 「하나안」 (박루슬란 감독과의 대화),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br>\n<br>\n[교육]<br>\n2014 매화종합사회복지관, 서울, 11월 13일 – 12월 4일<br>\n2014 신내노인종합복지관, 서울, 9월 22일 – 11월 3일<br>\n2014 연가초등학교, 서울, 10월 7일 – 11월 29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미동초등학교, 서울, 5월 8일 – 6월 27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안산이주아동청소년센터, 안산, 4월 19일<br>\n2014 양천외국인근로자센터, 서울, 2월 9일 – 12월 21일<br>\n<br>\n[레지던시]<br>\n2017 예술가들의 놀이터, 강원<br>\n2013 앙가 레지던시, 바르셀로나, 스페인<br>\n<br>\n[출판]<br>\n2014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연구자료집<br>\n2012 인스턴트, 3호, 무엇을 위한 방<br>\n2011 인스턴트, 2호, 내방여행<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n"}}
http://geonhi.com/korean/임민영-imminyung/
01 Imminyung #1, 2010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01-Imminyung-1-2010.jpg
임민영
Imminyun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01-Imminyung-1-2010.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01-Imminyung-1-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02-Imminyung-2-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03-Imminyung-3-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04-Imminyung-4-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05-Imminyung-5-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06-Imminyung-6-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07-Imminyung-7-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08-Imminyung-8-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09-Imminyung-9-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0-Imminyung-10-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1-Imminyung-11-2010.jpg"], :captions=>["01 Imminyung #1, 2010", "02 Imminyung #2, 2010", "03 Imminyung #3, 2010", "04 Imminyung #4, 2010", "05 Imminyung #5, 2010", "06 Imminyung #6, 2010", "07 Imminyung #7, 2010", "08 Imminyung #8, 2010", "09 Imminyung #9, 2010", "10 Imminyung #10, 2010", "11 Imminyung #11, 2010"], :gallery=>{:title=>"Imminyung, 2010", :description=>"article, 이경률<br>\n또 다른 결정적 순간을 찾아서<br>\n/ 임민영, 또 다른 시간의 흔적과 잔상<br>\n“언제부터인가 나는 하루하루가 비슷한 인상을 남기며 흘러간다는 느낌을 받기 시작했다. 매일 같은 방 안에서, 매일 같은 천장을 보며 깨어나고, 매일 같은 버스를 타고, 매일 같은 라디오 소리를 듣고… 단조롭게 반복되는 일상은 나를 지치고 피곤하게 만들었다. 그렇지만 주위를 유심히 살펴보면 하루도 완전히 같은 날은 없었다. 어느샌가 발톱은 자라 있었고, 화장품 공병에 꽂아놓은 국화는 물을 반 이상 흡수한 모습이었다. 조용히 자리를 지키고 있던 책 위에도 모르는 사이 먼지가 수북이 쌓여갔다. (…) 이러한 세부들이 나로 하여금 평소에는 미처 느끼지 못했던 변화를 느끼게 한다.” (임민영 – 작가노트 중)<br>\n<br>\n시간의 자국은 결코 움직임과 제스처의 흔적만이 아니다. 또 다른 시간의 흔적이 지속의 형태로 언제나 일상에 공존한다. 이러한 개념은 비유적으로 의식의 잔상(殘像)으로 비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초 이하의 어느 순간부터 모든 장면을 볼 수 없게 되는데, 초 이하의 장면은 앞 장면의 잔상에 겹쳐져 우리의 눈으로 인지할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해 눈이 인지하는 동작과 동작 사이의 장면은 특수 장비를 동원하지 않는 한 오로지 논리적 추측만으로만 가능할 뿐이다.<br>\n<br>\n마찬가지로 움직임과 제스처가 사라진 어느 순간부터 우리는 시간의 흐름을 잘 알지 못한다. 그러나 움직임과 움직임 사이에 숨어 있는 시간은 움직임의 잔상과 동시에 지속하고 그 잔상은 오로지 경험적인 일상에서 기록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때의 사진은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는 가장 분명한 증거가 된다. 결국 사진에서 전혀 움직임이 없는 장면일수록 잔상의 흔적은 분명해진다. 작가 임민영이 보여주는 장면들 예컨대 선풍기 먼지, 천장의 곰팡이, 옷의 보푸라기 등은 이러한 보이지 않는 시간의 지속을 분명히 보여주는 일종의 시각적 장치인 셈이다. 거기에는 결코 사건의 단서나 소통의 의미가 아닌 작가의 마이크로-관찰(micro-observation)을 통한 또 다른 시간의 흔적이 있을 뿐이다.\n"}, :artist=>{:title=>"임민영, Im Minyung", :description=>"1987 서울 출생<br>\n<br>\n[학력]<br>\n2013-201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전문사 조형예술과 매체전공 중퇴<br>\n2006-201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5 일요학원, 스페이스 악어, 서울<br>\n2014 노량진플레이, 노량진 육교, 서울<br>\n2013 테아트룸문디, 라제너럴, 파리, 프랑스<br>\n<br>\n[그룹전]<br>\n2017 미래작가상 스토리展, 캐논 갤러리, 서울<br>\n2015 제15회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서울<br>\n2015 가능성, 그 단서들,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5 방랑벽, 캔디드아트, 런던, 영국<br>\n2015 Through the Looking-Screen, 갤러리175, 서울<br>\n2015 도서관 독립출판 열람실, 국립중앙도서관, 서울<br>\n2014 부산국제비디오아트 페스티벌, 부산카톨릭센터, 부산<br>\n2014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4 브라이튼 포토비엔날레 쇼, 브라이튼, 영국<br>\n2014 별 의미없는 상영회, 아스팔트스튜디오, 서울<br>\n2013 스트리밍페스티벌, 온라인<br>\n2013 일현트래블그랜트,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레지던시 결과 보고展,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오픈 스튜디오, 앙가, 바르셀로나, 스페인<br>\n2013 종합극장,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서울<br>\n2013 이상한쑈, 대안예술공간 이포, 서울<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오픈스페이스 배, 부산<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12,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br>\n2012 인 에브리 인스턴트, 복합문화공간1984, 서울<br>\n2012 무엇을 위한 방,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갤러리가무, 프라하, 체코<br>\n2011 서울사진축제 포트폴리오展,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서울<br>\n2011 Sparkling Silence, 쿤스트할레 에르푸르트, 에르푸르트, 독일<br>\n2011 Sparkling Silence, 노트벡갤러리, 탐페레, 핀란드<br>\n2010 2010 미래작가상展, 캐논플렉스 갤러리, 서울<br>\n2009 전국사진교류 초대展,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br>\n<br>\n[기금/수상]<br>\n2015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서울문화재단<br>\n2015 갤러리175 정기공모,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부설 조형연구소<br>\n2014 ARKO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한국문화예술위원회<br>\n2013 오프앤프리 국제확장영화예술제, (사)비상업영화기구 주관, 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공동 주최<br>\n2012 부산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 운영위원회 주최<br>\n2012 리트머스 플랫폼 플럭석스’2 신진작가지원 프로그램 선정, 커뮤니티스페이스 리트머스 주최<br>\n2011 서울포토페스티벌 2011 포트폴리오 공모전 수상, 서울특별시 주최<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br>\n<br>\n[기획]<br>\n2015 와이파이, 갤러리175, 서울<br>\n2014 노량진 고시영화제, 한미고시학원, 서울<br>\n2013 외국인 근로자 사진전 「나를 소개합니다」, 청계천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3 고려인들과 함께 보는 영화 「하나안」 (박루슬란 감독과의 대화),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br>\n<br>\n[교육]<br>\n2014 매화종합사회복지관, 서울, 11월 13일 – 12월 4일<br>\n2014 신내노인종합복지관, 서울, 9월 22일 – 11월 3일<br>\n2014 연가초등학교, 서울, 10월 7일 – 11월 29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미동초등학교, 서울, 5월 8일 – 6월 27일 (예술가교사, 서울문화재단)<br>\n2014 안산이주아동청소년센터, 안산, 4월 19일<br>\n2014 양천외국인근로자센터, 서울, 2월 9일 – 12월 21일<br>\n<br>\n[레지던시]<br>\n2017 예술가들의 놀이터, 강원<br>\n2013 앙가 레지던시, 바르셀로나, 스페인<br>\n<br>\n[출판]<br>\n2014 공공미술 R&D 프로젝트 연구자료집<br>\n2012 인스턴트, 3호, 무엇을 위한 방<br>\n2011 인스턴트, 2호, 내방여행<br>\n2010 2010 미래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 +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