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eonhi.com/korean/이선민-아버지의-시대로부터-2015-2020/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4.-윤병천-뉴라이트-전자-1942년생-c-print-150×120cm-2019.jpg
이선민
아버지의 시대로부터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정현-연극배우-전-극단-민예-대표-1945년생-c-print-150×120cm-2016.jpg
{:video_url=>nil, :images=>["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정현-연극배우-전-극단-민예-대표-1945년생-c-print-150×120cm-201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2.-윤승현-뉴라이트-전자-1972년생-c-print120×150cm-201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3.-이경주-종로-양복점1945년생-c-print-120×150cm-2015.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4.-강영기-동명-대장간-1952년생-c-print-120x150cm-2015.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5.-강단호-동명-대장간-1980년생-c-print-150-x-120cm-201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6.-승효상-이로재-종합건축사무소-1952년생-c-print-120×150cm-201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7.-송병도-상원-ENG-1958년생-c-print-150×120cm-2018.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8.-권순칠-남대문-보성-카메라-재생-1949년생-c-print150×120cm-2020.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9.-김영세-신평-양조장-1943년생-c-print-72×90cm-201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0.-김동교-신평-양조장-1973년생-c-print-90×72cm-201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1.-김원하-신웅-약국-1932년생-c-print-72×90cm-2020.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2.-이상수-광장시장-유비상회-1939년생-c-print-72×90cm2020.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3.-성수동-금속제조공장-거리-c-print-40×56cm-201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4.-윤병천-뉴라이트-전자-1942년생-c-print-150×120cm-2019.jpg"], :captions=>["1. 정현 연극배우, 전 극단 민예 대표, 1945년생, c-print, 150×120cm, 2016", "2. 윤승현 뉴라이트 전자, 1972년생, c-print,120×150cm, 2019", "3. 이경주 종로 양복점,1945년생, c-print, 120×150cm, 2015", "4. 강영기 동명 대장간, 1952년생, c-print, 120x150cm, 2015", "5. 강단호, 동명 대장간, 1980년생, c-print, 150 x 120cm, 2019", "6. 승효상 이로재 종합건축사무소, 1952년생, c-print, 120×150cm, 2019", "7. 송병도 상원 ENG, 1958년생, c-print, 150×120cm, 2018", "8. 권순칠 남대문 보성 카메라 재생, 1949년생, c-print,150×120cm, 2020", "9. 김영세 신평 양조장, 1943년생, c-print, 72×90cm, 2019", "10. 김동교 신평 양조장, 1973년생, c-print, 90×72cm, 2019", "11. 김원하 신웅 약국, 1932년생, c-print, 72×90cm, 2020", "12. 이상수 광장시장 유비상회, 1939년생, c-print, 72×90cm,2020", "13. 성수동 금속제조공장 거리, c-print, 40×56cm, 2016", "14. 윤병천 뉴라이트 전자, 1942년생, c-print, 150×120cm, 2019"], :gallery=>{:title=>"아버지의 시대로부터, 2015-2020", :description=>""}, :artist=>{:title=>"이선민", :description=>"[학력]<br>\n199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사진 디자인 전공 졸업(MFA)<br>\n<br>\n[개인전]<br>\n2024 시간에서 시간으로, 제 22회 동강사진상 수상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br>\n2022 MZ in 을지로 (스페이스22, 서울)<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Ⅱ (성남아트센터 반달 갤러리, 성남)<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Ⅰ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1 TWINS Ⅱ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br>\n2007 도계 프로젝트 (학고재 갤러리, 서울)<br>\n2007 깊고 고요한 시간 (제비울 미술관, 과천)<br>\n2006 Twins Ⅰ(나우 갤러리, 서울)<br>\n2004 여자의 집Ⅱ (룩스 갤러리, 서울)<br>\n1996 황금투구 (나무 화랑, 서울)<br>\n<br>\n[그룹전]<br>\n2024 허스토리, 갤러리 인덱스, 서울<br>\n2024 I will be your mirror, 컨티뉴 옥션, 서울<br>\n2023 기록과 경이: 한국현대사진, 아리조나대학교 CCP 센터, USA<br>\n2023 자연과 인간: 한국현대사진, 한국 문화원, 부다페스트, 헝가리 / 한국 문화원, 로마, 이탈리아<br>\n2022 명랑주파수, 마루아트센터, 서울<br>\n2021 하-하-하우스전, 수원시립미술관, 수원<br>\n2019 , 성남아트센터 큐브 갤러리, 성남<br>\n2018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 청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br>\n2018 아트 텀스, BK 갤러리, 서울<br>\n2018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_ 한국현대사진운동 1988-1999,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Korean Documentary, 브루클린 브릿지 파크, 뉴욕,<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Take Back The Beach, 뉴욕<br>\n2016 공간의 발견(The Discovery of Space),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16 HI Light, 벽과나사이, 서울<br>\n2015 2015 서울사진축제; 기쁜 우리 좋은 날, 북서울 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성남 익산 작가 교류전, 익산 예술의전당, 익산<br>\n2015 Dislocation; Urban Experience in Contemporary East Asian Photography, Smith College Museum of Art, Massachusetts, USA<br>\n2015 가족, 김해 클레이아크 미술관, 김해.<br>\n2015 공간, 사람, 그리고 가족, 춘천 아카이브 프로젝트, 춘천 상상마당, 춘천<br>\n2015 Family Album; Floating Identity, LIG Art Space, 서울<br>\n2014 탐험가의 여행담,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2014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4 2014 전주 국제 사진 페스티발, Women in Asia, 전북예술회관, 전주.<br>\n2013 미술관 속 사진 페스티발, 사진 한국을 말하다, 대전 시립 미술관 / 창원 도립 미술관<br>\n2013 2013 서울사진축제, 시대의 초상, 초상의 시대, 시립미술관, 서울<br>\n2013 검내를 건너온 빛, 루비나아트센터, 분당<br>\n2013 4th Photoquai Biennalle, 께브랑리 뮤지엄/세느강변, 파리, 프랑스.<br>\n2012 국립 현대 미술관 소장품전,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2 미술에 꼬리달기, 경기도미술관 소장품전,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2 홍콩국제사진페스티벌(H.K.Int’l PhotoFest), Parallel Visions 香港國際攝影節; 한국 일본 현대사진전, 홍콩아트센터, 홍콩<br>\n2012 Mega Seoul 4 decade, 한미 사진 미술관, 서울<br>\n2010 Chaotic Harmony-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Santa Barbara, USA<br>\n2009 동강 국제 사진제 강원다큐멘타리 사진사업 특별전, 영월<br>\n2009 The 5th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리엔조, 중국<br>\n2009 The 8th China Photographic Art Festival & 2009 DALI International Photography Exhibition, 운남성, 중국<br>\n2009 한국 현대 사진 60년, 국립 현대 미술관, 서울 / 경남 도립 미술관, 창원<br>\n2008 한국사진의 프로티어전, 갤러리 나우, 서울<br>\n2007 한국 현대 사진의 풍경, 시립 미술관, 서울<br>\n2002 한국 현대 사진의 지평 사람 바람 순회전, 사이타마 근대미술관, 사이타마 / 센다이 미디어테크, 센다이, 일본<br>\n2002 프랑스 초청 한국사진가 특별전, 프랑스 La Galerie Photo, 몽펠리에<br>\n2001 삶의 시간 시간의 얼굴, 토탈 미술관, 서울<br>\n1999 리빙룸전, 보다 갤러리, 서울<br>\n1995 FACE, 한마당 갤러리, 서울<br>\n1994 도시 이야기, 후지 포토 살롱, 서울<br>\n<br>\n[레지던시]<br>\n2014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br>\n[작품소장]<br>\n2024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20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0 KT&G 상상마당, 서울<br>\n2009 송은 문화재단, 서울<br>\n2008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08 국립 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br>\n2002 Joy of Giving Something(JGS) Collection, NY, USA<br>\n<br>\n[수상]<br>\n2024 제 22회 동강 사진상<br>\n2010 제 3회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 최종작가<br>\n2009 제 9회 송은 미술대상 우수상<br>\n2006 제 4회 강원 다큐멘타리 작가상<br>\n1999 제 3회 갤러리 보다 ‘녹음방초분기탱천’ 선정 초대<br>\n<br>\n[기금]<br>\n2020 경기문화재단, RE:SERCH 기금<br>\n2018 경기문화재단, 중견작가 작품집 지원 기금<br>\n2013 서울문화재단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9-2010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07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경기문화재단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강원 다큐멘타리 사업기금<br>\n2006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4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br>\n[출판]<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 성남문화재단, 성남<br>\n2019 가족과 모성, 눈빛,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디웍스, 서울<br>\n2011 Twins, KT&G 상상마당, 서울\n"}}
https://geonhi.com/korean/이선민-대륙을-횡단하는-여성들-2012-2013/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5.-영세-호앙2-Yeongse-Hoang2-120×180cm-digital-c-print-2012.jpg
이선민
대륙을 횡단하는 여성들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성남-태평동-Taepyongdong-Seongnam-city-90×125cm-digital-c-print-2012.jpg
{:video_url=>"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ED%8F%89%EB%A1%A0%EA%B5%AD%EB%AC%B8-%EC%9D%B4%EC%84%A0%EB%AF%BC%EC%9D%98-%EC%9D%B4%EC%A3%BC-%EC%97%AC%EC%84%B1%EC%9D%98-%EC%9E%AC%ED%98%84%EA%B3%BC-%EB%8F%84%ED%81%90%EB%A9%98%ED%83%80%EB%A6%AC%EC%9D%98-%EC%97%AD%EC%84%A4%EC%A0%81-%EA%B0%80%EB%8A%A5%EC%84%B1-%EB%AC%B8%EC%98%81%EB%AF%BC.docx", :images=>["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성남-태평동-Taepyongdong-Seongnam-city-90×125cm-digital-c-print-2012.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2.-친따이-깜뚜1-위시리스트-Chintai-Kamtu1-wish-list-90×125cm-digital-c-printt-2012.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3.-친따이-깜뚜2-Chintai-Kamtu2-90×125cm-digital-c-print-2012.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4.-영세-호앙1-그녀의-소지품-Yeongse-Hoang1-her-belongings-120×180cm-digital-c-print-2012.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5.-영세-호앙2-Yeongse-Hoang2-120×180cm-digital-c-print-2012.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6.-김현정과-그녀의-아이들-kim-Hyeonjeong-and-her-children-120×180cm-digital-c-print-2012.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7.-영세-헤앙-공항-Yeongse-Heang-Airport-120×180cm-digital-c-print-2013.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8.-성남-중앙-시장-120×180cm-Seongnam-Central-Market-digital-c-print-2013.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9.-영세-호앙3-이사-Yeongse-Hoang3-moving-120×180cm-digital-c-print-2013.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0.-컨립-Kunlip-90×184cm-digital-c-print-2013.jpg"], :captions=>["1. 성남 태평동, Taepyongdong, Seongnam city, 90×125cm, digital c-print, 2012", "2. 친따이 깜뚜1, 위시리스트, Chintai Kamtu1- wish list, 90×125cm, digital c-printt, 2012", "3. 친따이 깜뚜2, Chintai Kamtu2, 90×125cm, digital c-print, 2012", "4. 영세 호앙1, 그녀의 소지품, Yeongse Hoang1-her belongings, 120×180cm, digital c-print, 2012", "5. 영세 호앙2, Yeongse Hoang2, 120×180cm, digital c- print, 2012", "6. 김현정과 그녀의 아이들, kim Hyeonjeong and her children, 120×180cm, digital c- print, 2012", "7. 영세 헤앙 공항, Yeongse Heang-Airport, 120×180cm, digital c- print, 2013", "8. 성남 중앙 시장, 120×180cm, Seongnam Central Market, digital c- print, 2013", "9. 영세 호앙3 이사, Yeongse Hoang3-moving, 120×180cm, digital c- print, 2013", "10. 컨립 Kunlip, 90×184cm, digital c-print, 2013"], :gallery=>{:title=>" 대륙을 횡단하는 여성들, 2012-2013",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함께 할 수 있는 시간-소통과 존엄을 향하여<br>\n<br>\n보물을 찾아 떠나는 주인공, 결말이 좋을 것이라는 사실을 믿기 위한 주인공들의 몸부림, 착한 사람과 나쁜 사람, 결투, 갈림길과 결정적 선택, 불을 뿜는 용…이런 요소들은 많은 위대한 작가들의 작품과 옛이야기 속에서 수없이 반복되어 사용되어지고 전해져 왔던 것들이다.<br>\n<br>\n‘Translocating Women’전은 자신이 나고 자란 땅을 떠나 낯선 도시에 도착한 여성들의 이야기이다. 동남 아시아의 작은 땅 캄보디아로부터 또 다른 아시아의 작은 땅 대한민국으로, 대륙의 횡단을 감행한 이 여성들의 일상과 소망이 성남 태평동을 배경으로 펼쳐진다.<br>\n<br>\n46년간 대한민국 땅을 한번도 떠나지 않고 정주했던 내가 대륙을 횡단한 이들의 여정에 동행했던 것은 참 낯선 선택이었던 것 같다. 그렇게 다소 뜬금없이 지난 13년간 가족과 여성을 대상한 인물 작업을 해왔던 사진가가 이주와 디아스포라라는 테마로 방향을 선회하여 성남 태평동에 거주하는 국제 결혼을 통하여 한국에 입국한 이주 여성들과의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br>\n<br>\n이 작업의 시작 또한 뜬금없이 내게 주어졌다. 7년간 해왔던 트윈스 작업을 마무리하고 개인전을 준비하면서 다음은 어떤 작업을 할 지 고민하던 즈음으로 기억한다. 2011년 3월 어느 주일날, 다음 번 작업을 묻는 기도를 하던 중 이주 여성들에 대한 작업을 하라는 음성이 또렷이 들렸다. 제가 왜요? 전 그런 작업 못해요..라는 것이 놀란 나의 첫 반응이었다. 여성과 가족을 화두로 작업해왔던 사진가이지만 동남아로부터 국제 결혼을 통하여 이주한 여성들에 대한 르포 형식의 충격적 기사-남편의 폭력으로 결혼 한 달 만에 죽음을 맞은 베트남 신부 후안마이 사건-들과 참 좋지 않냐는 식의 정주자로서의 일방적인 시점만을 보여주는 방송 프로그램 등을 접하며 나와는 다른 세상 이야기로 밀어 놓고 있었기 때문이다.<br>\n<br>\n하지만 이 메세지의 여파가 쉽게 가시지 않는 것이 문제였다. 할 수 없이 내가 할 수 있었던 첫 행위는 이주와 관련된 책과 기사와 방송 등을 넓은 범위에서 리서치하며 왜 이 작업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을 스스로에게 찾아주는 것이었다. 그렇게 꼬박 일 년이라는 시간이 지나서 한 매체의 창간호에 다문화 특집 기사 원고를 실어 달라는 제안을 받았다. 사진 한 장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었지만 지난 일년 동안 축적한 관심과 생각과 태도와 정보와 가능성 등을 드디어 사진으로 환원할 시점이 되었다고 판단하였고 그 제안을 받아들였다.<br>\n<br>\n2012년 5월 2일. 나는 10년간 분당에 살면서 성남 성남 지역을 한번도 걸어본 적이 없었다. 처음으로 카메라를 메고 태평동의 가파른 언덕을 걸으며 그 언덕의 경사만큼 낯설었던 좁다란 골목과 유난히 푸르던 하늘 위에 어지러이 얽혀있는 전깃줄과 언덕을 오르느라 거칠어졌던 호흡과 이마의 땀을 기억한다. 모든 것이 낯설고 당황스러웠다. 내가 사는 분당 이매동과 성남 태평동은 전철로는 3정거장 거리이며 행정구역 상으로 같은 성남시에 소속되어 있지만 성남과 분당으로 심리적인 행정구역을 나누고 살고 있었던 것 같다. 그 심리적 경계를 넘은 첫 촬영 스케치를 하고 돌아와 정신적 육체적으로 지친 난 침대에 들어 누워 버렸다.<br>\n<br>\n열흘 뒤인 2012년 5월 12일. 성남 태평동에 살고 있는 캄보디아에서 입국한지 9개월 된 23살의 영세 호앙과 첫 촬영을 하면서도 아직도 이 여성이 감행한 이주를 마음으로 대할 수는 없었던 것 같다. 너무 멀었다. 많은 사진가들이 그랬듯이 나 역시 태평동의 가파른 언덕과 좁은 골목, 호앙의 너무나 단출한 소지품과 임신한 그녀의 몸과 다른 피부색 등 가시적인 부분들을 집중해서 바라보았고, 이들의 이주 현실과 국제결혼 과정 등에 얽힌 사건들을 피부로 느끼며 듣고 있지는 않았던 것 같다. 또한 나의 사진적 대상이었던 대부분의 이주 여성들도 낯선 정주자, 그것도 카메라를 들고 나타난 사진가를 경계하는 태도가 너무나 완강해서 지난 10년 넘게 인물 사진 작업을 해온 사진가였지만 빈번한 거절로 인해 답답한 발걸음을 돌리기가 여러 번 이었다. 간신히 딱 분량만큼의 원고를 마감하고 그녀들과 사진가의 만남은 일년 가까이 멈추어 있었고 나로서는 역량 부족이라는 생각도 들었다.<br>\n<br>\n2012년 9월 예기치 않게 인사동의 한 갤러리에서 2013년 말 개인전 일정이 잡혔다.<br>\n<br>\n2012년 12월 이 개인전을 이주 여성과 관련한 내용으로 전시하기로 결정하였고, 이 작업을 ‘Trans-locating Women-대륙을 횡단하는 여성들’ 이라 명명하였다.<br>\n<br>\n2013년 3월. 개인전을 확정 지은 후 작업에 대한 여러 구상들이 상당 부분 좌절되는 어려움에 봉착한 후 이 낯선 사진가에게 유일하게 반가운 미소로 화답해 준 캄보디아 이주 여성 호앙과 다시 만났다. 일년 전 촬영할 때 만삭이던 아이는 어느새 돌을 앞두고 있었다. 그녀를 통하여 호앙의 캄보디아 친구들을 소개 받았고 호앙, 컨립, 사랑 세 친구들과 함께 밥 먹고 차 마시고 주말 농장도 함께 가고 열무도 함께 다듬고 삼겹살도 구워 먹으며 그렇게 어색했지만 카메라를 꺼내기 전 낯선 벽을 허무는 일부터 천천히 기다리는 시간을 보냈다. 명절에 낯선 집을 방문해 보자마자 인사 한번 꾸벅 하고 2박 3일 전천후로 카메라를 눌러댔던 내가 사진가 이선민의 시점으로서가 아니라 타인의 삶으로서의 그들의 일상을 조심스럽게, 천천히 바라보기 시작한 것이다.<br>\n<br>\n2013년 5월 30일. 드디어 호앙, 컨립, 사랑과 아이를 안고 장을 보는 모습을 성남 중앙시장을 배경으로 촬영하였다. 두 번째 촬영 여정이 시작된 것이다. 또 이 시장에서 건어물상을 하는 나라츠의 시어머니와 남편과의 촬영도 이들의 소개로 흔쾌히 허락되었다. 이 후로 무더웠던 2013년 여름 많은 시간을 성남 태평동에서 보내며, 새벽 4시에 만나 결혼하여 한국에 입국하는 호앙의 동생 헤앙을 공항으로 함께 마중 나가기도 했고, 호앙이 이사 가는 날 아들을 돌봐주고 함께 짜장면도 먹으며 점점 이들과 유대감 같은 것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것을 느꼈던 것 같다.<br>\n<br>\n2013년 7월 26일. 호앙의 이사 풍경도 촬영하고 돌 지난 아이도 돌보아 줄 요량으로 어시스트와 함께 그녀의 집을 일찍 방문했다. 10시도 안된 시간이었는데 호앙 집의 이삿짐은 벌써 2톤 트럭에 실려 골목에 서 있었다. 참 단출한 이동이었다. 그런데 호앙의 얼굴 표정이 안 좋았고 몸이 아프다고 말하는 것이었다. 순간 사진가의 뇌 속은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하루 종일 이사 풍경을 담을 요량으로 메모리 카드랑 어시스트랑 단단히 준비하고 왔는데 모델이 아프다고 하는 것이다. 결국 난 이삿짐 앞에서 유모차를 잡고 있는 호앙을 한 컷 촬영하고 카메라를 접어 가방에 넣고 어시스트를 돌려보냈다. 그리고 호앙의 아들 민찬이를 안아 받고 사진가로서가 아니라 15년 전 내 아이를 유모차에 태워 다니던 엄마로서의 기억을 회상하며, 20년이나 어린 호앙의 아들을 데리고 촬영 첫 날처럼 성남 태평동의 언덕과 골목을 유모차를 밀고 두 세시간 거닐었다. 무더운 여름날이었지만 골목의 그늘은 더위를 피하기에 충분했고, 정겹고 고요했다. 꼭 유년 시절 내가 자라고 누비던 수유리의 골목길처럼 말이다. 이 날이 Translocating Women 작업의 마지막 촬영 날이었다.<br>\n<br>\n2013년 10월 16일. 호앙과 컨립과 사랑이 아이를 안고 분당 우리 집에 처음으로 놀러 왔다. 밥 먹고 차 마시며 아이스크림도 먹고..자기들끼리 신나게 캄보디아 말로 떠들고 사진 보고 쓰러져 웃는 모습을 보니 영락없는 철부지 소녀들이었다. 이 날 저녁, 어려 보이는 동남아시아 여성 3명이 돌 갓 지난 아이를 안고 나와 함께 우리 집을 나서는 것을 본 세탁소 아줌마는 눈을 둥그렇게 뜨며 그들이 누구며 왜 나와 함께 다니냐며 호기심을 발산했다. 그 세탁소 아줌마가 이들을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까지 조금의 시간이면 될 것이라 생각해 본다. 그녀 역시 아이를 안고 돌본 모성적 유대감을 공유하고 있으며, 또 그러한 직접적 경험의 여부를 떠나서라도 이 모성이라는 단어 속에 압축된 돌봄과 소통과 사랑과 관심을 추구하는 마음이 모든 이들의 심연 중에 원천적으로 자리하고 있음을 믿기 때문이다.<br>\n<br>\n어쩌면 우리가 서로 다르다고 등 돌리고 분류해버리는 관계 안에는 진정 너무 다름에서 오는 차이 보다는 유대감을 위하여 절대적으로 확보되어야 할 시간과 낯설음을 견디어 우정에 도달하는 불편한 과정을 감내할 의지가 부족한 것은 아닌지 생각 해 본다. 세상의 국경이 희미해지고 수 많은 사람들이 공항과 항구를 통과하는 이주의 시대 속에서 이런 낯선 과정을 극복하고 친밀한 관계망을 확보했을 때 우리의 인식이 다르다고 분류해 놓은 많은 편견들을 뚫고 소통과 존엄을 담보할 가능성이 열릴 것이다.<br>\n<br>\n그렇게 지난 3년 간, 이들의 여정을 동행하면서 불현듯 어려서부터 들었던 옛이야기들이 떠오르고 또 내 삶의 모습과 비슷한 가락들을 이들의 일상 속에서 느끼며 비로소 나도 이들과 편안히 걷게 되었던 것 같다. 부족하지만 또한 정직한 마음으로 나의 여정이 여기까지였음을 고백한다. 처음 너무 멀게만 느껴지던 이들과의 차이와 낯설은 상황에 카메라를 내려 놓고 사진가의 타이밍이 아니라 이들과 함께 할 수 있는 타이밍을 기다리면서, 예상치 못하게 내 유년 시절 미처 화해하지 못했던 모성에 대한 그리움을 발견하고 나와 그녀들과의 연대가 시작되었던 순간을 오래도록 잊지 못할 것 같다. 지난 여성과 가족에 대한 작업들이 진정한 여성성과 가족의 의미를 묻는 과정이었다면, 이번 작업에서 아이를 안고 있는 이주 여성들의 모습 속에서 건강한 모성에 대한 실마리를 발견했고, 그렇게 나와 그녀들로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이야기를 희망할 수 있게 되었던 것 같다. 그렇게 영 멀게만 느껴지던 이들과의 만남 중에 내 자신 유년의 트라우마와 화해를 시작했듯 모델이 되어준 이주여성들도 이 작업 과정을 기분 좋은 기억으로 간직하게 되길 바란다. 또한 이번 Translocating Women 작업이 다름과 차이에도 불구하고 소통과 공감을 시도하는 사진가의 작은 제스츄어로 관객들에게 전해지고 그들에게도 울려지기를 기대한다.<br>\n<br>\n낯섬과 편견, 상처의 기억들을 뚫고 선뜻 사진가의 여정에 동행해준 호앙, 컨립, 사랑, 사만, 미니어, 깜뚜, 나라츠, 김현정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며, 특별히 작업의 진행 단계마다 적절한 조언과 명철과 진정의 글로 나의 부족함을 메워주신 문영민 선생님과 언제나 응원과 격려로 함께해준 나의 가족 인구와 자윤, 성우에게 감사한다. 작업이 혼란스러울 때마다 중심을 잡아준 그림책 작가 지혜라와 편집과 프린트 과정에 지혜를 더해주신 최봉림 선생님, 새로이 시작하는 이번 작업의 가능성을 독려해 주신 구본창 선생님, 전시의 면면들을 두루 도와준 박진영 작가, 전시 공간을 제공해 주신 룩스 갤러리 심혜인 관장님, 작업의 마무리 단계에서 글의 중요성을 환기해 준 윤정미 작가, 전시 프린트를 도와준 강재구 작가, 도록을 제작해 준 디웍스의 최진수 실장, 문영민 선생님의 전시 서문과 나의 작가 노트를 감수해 주신 콜럼비아 대학 출판사의 이창재 수석 디자이너와 레슬리 크리셀 편집 팀장에게 특별히 감사 드리며, 항상 기도와 관심으로 후원해준 모든 분들, 서울문화재단, 캐논 코리아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모든 만남을 열어주신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을 올린다.<br>\n<br>\narticle<br>\n<a href=\"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ED%8F%89%EB%A1%A0%EA%B5%AD%EB%AC%B8-%EC%9D%B4%EC%84%A0%EB%AF%BC%EC%9D%98-%EC%9D%B4%EC%A3%BC-%EC%97%AC%EC%84%B1%EC%9D%98-%EC%9E%AC%ED%98%84%EA%B3%BC-%EB%8F%84%ED%81%90%EB%A9%98%ED%83%80%EB%A6%AC%EC%9D%98-%EC%97%AD%EC%84%A4%EC%A0%81-%EA%B0%80%EB%8A%A5%EC%84%B1-%EB%AC%B8%EC%98%81%EB%AF%BC.docx\">[이선민의 이주 여성의 재현과 도큐멘타리의 역설적 가능성_문영민]</a>\n"}, :artist=>{:title=>"이선민", :description=>"[학력]<br>\n199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사진 디자인 전공 졸업(MFA)<br>\n<br>\n[개인전]<br>\n2024 시간에서 시간으로, 제 22회 동강사진상 수상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br>\n2022 MZ in 을지로 (스페이스22, 서울)<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Ⅱ (성남아트센터 반달 갤러리, 성남)<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Ⅰ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1 TWINS Ⅱ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br>\n2007 도계 프로젝트 (학고재 갤러리, 서울)<br>\n2007 깊고 고요한 시간 (제비울 미술관, 과천)<br>\n2006 Twins Ⅰ(나우 갤러리, 서울)<br>\n2004 여자의 집Ⅱ (룩스 갤러리, 서울)<br>\n1996 황금투구 (나무 화랑, 서울)<br>\n<br>\n[그룹전]<br>\n2024 허스토리, 갤러리 인덱스, 서울<br>\n2024 I will be your mirror, 컨티뉴 옥션, 서울<br>\n2023 기록과 경이: 한국현대사진, 아리조나대학교 CCP 센터, USA<br>\n2023 자연과 인간: 한국현대사진, 한국 문화원, 부다페스트, 헝가리 / 한국 문화원, 로마, 이탈리아<br>\n2022 명랑주파수, 마루아트센터, 서울<br>\n2021 하-하-하우스전, 수원시립미술관, 수원<br>\n2019 , 성남아트센터 큐브 갤러리, 성남<br>\n2018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 청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br>\n2018 아트 텀스, BK 갤러리, 서울<br>\n2018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_ 한국현대사진운동 1988-1999,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Korean Documentary, 브루클린 브릿지 파크, 뉴욕,<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Take Back The Beach, 뉴욕<br>\n2016 공간의 발견(The Discovery of Space),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16 HI Light, 벽과나사이, 서울<br>\n2015 2015 서울사진축제; 기쁜 우리 좋은 날, 북서울 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성남 익산 작가 교류전, 익산 예술의전당, 익산<br>\n2015 Dislocation; Urban Experience in Contemporary East Asian Photography, Smith College Museum of Art, Massachusetts, USA<br>\n2015 가족, 김해 클레이아크 미술관, 김해.<br>\n2015 공간, 사람, 그리고 가족, 춘천 아카이브 프로젝트, 춘천 상상마당, 춘천<br>\n2015 Family Album; Floating Identity, LIG Art Space, 서울<br>\n2014 탐험가의 여행담,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2014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4 2014 전주 국제 사진 페스티발, Women in Asia, 전북예술회관, 전주.<br>\n2013 미술관 속 사진 페스티발, 사진 한국을 말하다, 대전 시립 미술관 / 창원 도립 미술관<br>\n2013 2013 서울사진축제, 시대의 초상, 초상의 시대, 시립미술관, 서울<br>\n2013 검내를 건너온 빛, 루비나아트센터, 분당<br>\n2013 4th Photoquai Biennalle, 께브랑리 뮤지엄/세느강변, 파리, 프랑스.<br>\n2012 국립 현대 미술관 소장품전,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2 미술에 꼬리달기, 경기도미술관 소장품전,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2 홍콩국제사진페스티벌(H.K.Int’l PhotoFest), Parallel Visions 香港國際攝影節; 한국 일본 현대사진전, 홍콩아트센터, 홍콩<br>\n2012 Mega Seoul 4 decade, 한미 사진 미술관, 서울<br>\n2010 Chaotic Harmony-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Santa Barbara, USA<br>\n2009 동강 국제 사진제 강원다큐멘타리 사진사업 특별전, 영월<br>\n2009 The 5th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리엔조, 중국<br>\n2009 The 8th China Photographic Art Festival & 2009 DALI International Photography Exhibition, 운남성, 중국<br>\n2009 한국 현대 사진 60년, 국립 현대 미술관, 서울 / 경남 도립 미술관, 창원<br>\n2008 한국사진의 프로티어전, 갤러리 나우, 서울<br>\n2007 한국 현대 사진의 풍경, 시립 미술관, 서울<br>\n2002 한국 현대 사진의 지평 사람 바람 순회전, 사이타마 근대미술관, 사이타마 / 센다이 미디어테크, 센다이, 일본<br>\n2002 프랑스 초청 한국사진가 특별전, 프랑스 La Galerie Photo, 몽펠리에<br>\n2001 삶의 시간 시간의 얼굴, 토탈 미술관, 서울<br>\n1999 리빙룸전, 보다 갤러리, 서울<br>\n1995 FACE, 한마당 갤러리, 서울<br>\n1994 도시 이야기, 후지 포토 살롱, 서울<br>\n<br>\n[레지던시]<br>\n2014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br>\n[작품소장]<br>\n2024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20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0 KT&G 상상마당, 서울<br>\n2009 송은 문화재단, 서울<br>\n2008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08 국립 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br>\n2002 Joy of Giving Something(JGS) Collection, NY, USA<br>\n<br>\n[수상]<br>\n2024 제 22회 동강 사진상<br>\n2010 제 3회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 최종작가<br>\n2009 제 9회 송은 미술대상 우수상<br>\n2006 제 4회 강원 다큐멘타리 작가상<br>\n1999 제 3회 갤러리 보다 ‘녹음방초분기탱천’ 선정 초대<br>\n<br>\n[기금]<br>\n2020 경기문화재단, RE:SERCH 기금<br>\n2018 경기문화재단, 중견작가 작품집 지원 기금<br>\n2013 서울문화재단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9-2010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07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경기문화재단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강원 다큐멘타리 사업기금<br>\n2006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4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br>\n[출판]<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 성남문화재단, 성남<br>\n2019 가족과 모성, 눈빛,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디웍스, 서울<br>\n2011 Twins, KT&G 상상마당, 서울\n"}}
https://geonhi.com/korean/이선민-도계의-광부들-2006/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경동광업소Kyungdong-mining-station-선탄장.-강원도-도계.-digital-c-print.-2006.jpg
이선민
도계의 광부들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경동광업소Kyungdong-mining-station-선탄장.-강원도-도계.-digital-c-print.-2006.jpg
{:video_url=>nil, :images=>["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경동광업소Kyungdong-mining-station-선탄장.-강원도-도계.-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2.-경동광업소Kyungdong-mining-station-갱도-입구1.-강원도-도계.-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3.-경동광업소Kyungdong-mining-station-갱도-입구2.-강원도-도계.-digital-c-print.-200600001.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4.-경동광업소Kyungdong-mining-station-기계실.-강원도-도계.-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5.-경동광업소Kyungdong-mining-station-휴게실1.-강원도-도계.-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6.-1-경동광업소Kyungdong-mining-station-휴게실2.-강원도-도계.-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7.-경동광업소Kyungdong-mining-station-통리역1.-강원도-도계.-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8.-경동광업소Kyungdong-mining-station-제재소.-강원도-도계.-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9.-삼덕-연탄-공장Samduck-briquet-manufactory-강원도-도계.-digital-c-print.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0.-경동광업소Kyungdong-mining-station-통리역2.-강원도-도계.-digital-c-print.-2006.jpg"], :captions=>["1. 경동광업소(Kyungdong mining station)-선탄장. 강원도 도계. digital c-print. 2006", "2. 경동광업소(Kyungdong mining station)-갱도 입구1. 강원도 도계. digital c-print. 2006", "3. 경동광업소(Kyungdong mining station)-갱도 입구2. 강원도 도계. digital c-print. 2006(00001)", "4. 경동광업소(Kyungdong mining station)-기계실. 강원도 도계. digital c-print. 2006", "5. 경동광업소(Kyungdong mining station)-휴게실1. 강원도 도계. digital c-print. 2006", "6. 경동광업소(Kyungdong mining station)-휴게실2. 강원도 도계. digital c-print. 2006", "7. 경동광업소(Kyungdong mining station)-통리역1. 강원도 도계. digital c-print. 2006", "8. 경동광업소(Kyungdong mining station)-제재소. 강원도 도계. digital c-print. 2006", "9. 삼덕 연탄 공장(Samduck briquet manufactory) 강원도 도계. digital c-print", "10. 경동광업소(Kyungdong mining station)-통리역2. 강원도 도계. digital c-print. 2006"], :gallery=>{:title=>"도계의 광부들, 2006", :description=>""}, :artist=>{:title=>"이선민", :description=>"[학력]<br>\n199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사진 디자인 전공 졸업(MFA)<br>\n<br>\n[개인전]<br>\n2024 시간에서 시간으로, 제 22회 동강사진상 수상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br>\n2022 MZ in 을지로 (스페이스22, 서울)<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Ⅱ (성남아트센터 반달 갤러리, 성남)<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Ⅰ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1 TWINS Ⅱ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br>\n2007 도계 프로젝트 (학고재 갤러리, 서울)<br>\n2007 깊고 고요한 시간 (제비울 미술관, 과천)<br>\n2006 Twins Ⅰ(나우 갤러리, 서울)<br>\n2004 여자의 집Ⅱ (룩스 갤러리, 서울)<br>\n1996 황금투구 (나무 화랑, 서울)<br>\n<br>\n[그룹전]<br>\n2024 허스토리, 갤러리 인덱스, 서울<br>\n2024 I will be your mirror, 컨티뉴 옥션, 서울<br>\n2023 기록과 경이: 한국현대사진, 아리조나대학교 CCP 센터, USA<br>\n2023 자연과 인간: 한국현대사진, 한국 문화원, 부다페스트, 헝가리 / 한국 문화원, 로마, 이탈리아<br>\n2022 명랑주파수, 마루아트센터, 서울<br>\n2021 하-하-하우스전, 수원시립미술관, 수원<br>\n2019 , 성남아트센터 큐브 갤러리, 성남<br>\n2018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 청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br>\n2018 아트 텀스, BK 갤러리, 서울<br>\n2018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_ 한국현대사진운동 1988-1999,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Korean Documentary, 브루클린 브릿지 파크, 뉴욕,<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Take Back The Beach, 뉴욕<br>\n2016 공간의 발견(The Discovery of Space),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16 HI Light, 벽과나사이, 서울<br>\n2015 2015 서울사진축제; 기쁜 우리 좋은 날, 북서울 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성남 익산 작가 교류전, 익산 예술의전당, 익산<br>\n2015 Dislocation; Urban Experience in Contemporary East Asian Photography, Smith College Museum of Art, Massachusetts, USA<br>\n2015 가족, 김해 클레이아크 미술관, 김해.<br>\n2015 공간, 사람, 그리고 가족, 춘천 아카이브 프로젝트, 춘천 상상마당, 춘천<br>\n2015 Family Album; Floating Identity, LIG Art Space, 서울<br>\n2014 탐험가의 여행담,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2014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4 2014 전주 국제 사진 페스티발, Women in Asia, 전북예술회관, 전주.<br>\n2013 미술관 속 사진 페스티발, 사진 한국을 말하다, 대전 시립 미술관 / 창원 도립 미술관<br>\n2013 2013 서울사진축제, 시대의 초상, 초상의 시대, 시립미술관, 서울<br>\n2013 검내를 건너온 빛, 루비나아트센터, 분당<br>\n2013 4th Photoquai Biennalle, 께브랑리 뮤지엄/세느강변, 파리, 프랑스.<br>\n2012 국립 현대 미술관 소장품전,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2 미술에 꼬리달기, 경기도미술관 소장품전,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2 홍콩국제사진페스티벌(H.K.Int’l PhotoFest), Parallel Visions 香港國際攝影節; 한국 일본 현대사진전, 홍콩아트센터, 홍콩<br>\n2012 Mega Seoul 4 decade, 한미 사진 미술관, 서울<br>\n2010 Chaotic Harmony-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Santa Barbara, USA<br>\n2009 동강 국제 사진제 강원다큐멘타리 사진사업 특별전, 영월<br>\n2009 The 5th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리엔조, 중국<br>\n2009 The 8th China Photographic Art Festival & 2009 DALI International Photography Exhibition, 운남성, 중국<br>\n2009 한국 현대 사진 60년, 국립 현대 미술관, 서울 / 경남 도립 미술관, 창원<br>\n2008 한국사진의 프로티어전, 갤러리 나우, 서울<br>\n2007 한국 현대 사진의 풍경, 시립 미술관, 서울<br>\n2002 한국 현대 사진의 지평 사람 바람 순회전, 사이타마 근대미술관, 사이타마 / 센다이 미디어테크, 센다이, 일본<br>\n2002 프랑스 초청 한국사진가 특별전, 프랑스 La Galerie Photo, 몽펠리에<br>\n2001 삶의 시간 시간의 얼굴, 토탈 미술관, 서울<br>\n1999 리빙룸전, 보다 갤러리, 서울<br>\n1995 FACE, 한마당 갤러리, 서울<br>\n1994 도시 이야기, 후지 포토 살롱, 서울<br>\n<br>\n[레지던시]<br>\n2014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br>\n[작품소장]<br>\n2024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20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0 KT&G 상상마당, 서울<br>\n2009 송은 문화재단, 서울<br>\n2008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08 국립 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br>\n2002 Joy of Giving Something(JGS) Collection, NY, USA<br>\n<br>\n[수상]<br>\n2024 제 22회 동강 사진상<br>\n2010 제 3회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 최종작가<br>\n2009 제 9회 송은 미술대상 우수상<br>\n2006 제 4회 강원 다큐멘타리 작가상<br>\n1999 제 3회 갤러리 보다 ‘녹음방초분기탱천’ 선정 초대<br>\n<br>\n[기금]<br>\n2020 경기문화재단, RE:SERCH 기금<br>\n2018 경기문화재단, 중견작가 작품집 지원 기금<br>\n2013 서울문화재단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9-2010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07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경기문화재단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강원 다큐멘타리 사업기금<br>\n2006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4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br>\n[출판]<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 성남문화재단, 성남<br>\n2019 가족과 모성, 눈빛,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디웍스, 서울<br>\n2011 Twins, KT&G 상상마당, 서울\n"}}
https://geonhi.com/korean/이선민-도계-프로젝트-2005-2007/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0.-신이종의집1-성묘120×150cm-c-print.-2005.jpg
이선민
도계 프로젝트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천순랑의-집-120×150cm-c-print-2007.jpg
{:video_url=>"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EB%8F%84%EA%B3%84%ED%94%84%EB%A1%9C%EC%A0%9D%ED%8A%B8-%EC%A0%84%EC%8B%9C-%EC%84%9C%EB%AC%B8_%EC%B5%9C%EC%97%B0%ED%95%98.docx", :images=>["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천순랑의-집-120×150cm-c-print-2007.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2.-신이종의-집3-추석-120×150cm-c-print-2005.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3.-김시남의-집1-제사-120×150cm-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4.-오연호의-집-추석-120×150cm-c-print-2005.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5.-오창섭의-집-추석-120×150cm-c-print-2005.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6.-최명순의-집-추석-120×150cm-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7.-이성우의-집-자조사택-100×120cm-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8.-최한동의-집2-국민주택-120×150cm-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9.-최한동의-집1-국민주택-120×150cm-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0.-신이종의집1-성묘120×150cm-c-print.-2005.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1.-신이종의집2-성묘120×150cm-c-print.-2005.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2.-김시남의-집2-성묘-120×150cm-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3.-홍성우의-집1-벌초-120×150cm-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4.-홍성우의-집1-벌초-120×150cm-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5.-남진선의-집1-벌초-120×150cm-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16.-남진선의-집2-벌초-120×150cm-c-print-2006.jpg"], :captions=>["1. 천순랑의 집, 120×150cm, c-print, 2007", "2. 신이종의 집#3-추석, 120×150cm, c-print, 2005", "3. 김시남의 집#1-제사, 120×150cm, c-print, 2006", "4. 오연호의 집-추석, 120×150cm, c-print, 2005", "5. 오창섭의 집-추석, 120×150cm, c-print, 2005", "6. 최명순의 집-추석, 120×150cm, c-print, 2006", "7. 이성우의 집-자조사택, 100×120cm, c-print, 2006", "8. 최한동의 집#2-국민주택, 120×150cm, c-print, 2006", "9. 최한동의 집#1-국민주택, 120×150cm, c-print, 2006", "10. 신이종의집#1-성묘,120×150cm, c-print. 2005", "11. 신이종의집#2-성묘,120×150cm, c-print. 2005", "12. 김시남의 집#2-성묘, 120×150cm, c-print, 2006", "13. 홍성우의 집#1-벌초, 120×150cm, c-print, 2006", "14. 홍성우의 집#1-벌초, 120×150cm, c-print, 2006", "15. 남진선의 집#1-벌초, 120×150cm, c-print, 2006", "16. 남진선의 집#2-벌초, 120×150cm, c-print, 2006"], :gallery=>{:title=>"도계 프로젝트, 2005-2007", :description=>"article<br>\n<a href=\"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5/05/%EB%8F%84%EA%B3%84%ED%94%84%EB%A1%9C%EC%A0%9D%ED%8A%B8-%EC%A0%84%EC%8B%9C-%EC%84%9C%EB%AC%B8_%EC%B5%9C%EC%97%B0%ED%95%98.docx\">[도계프로젝트 전시 서문_최연하]</a>\n"}, :artist=>{:title=>"이선민", :description=>"[학력]<br>\n199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사진 디자인 전공 졸업(MFA)<br>\n<br>\n[개인전]<br>\n2024 시간에서 시간으로, 제 22회 동강사진상 수상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br>\n2022 MZ in 을지로 (스페이스22, 서울)<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Ⅱ (성남아트센터 반달 갤러리, 성남)<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Ⅰ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1 TWINS Ⅱ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br>\n2007 도계 프로젝트 (학고재 갤러리, 서울)<br>\n2007 깊고 고요한 시간 (제비울 미술관, 과천)<br>\n2006 Twins Ⅰ(나우 갤러리, 서울)<br>\n2004 여자의 집Ⅱ (룩스 갤러리, 서울)<br>\n1996 황금투구 (나무 화랑, 서울)<br>\n<br>\n[그룹전]<br>\n2024 허스토리, 갤러리 인덱스, 서울<br>\n2024 I will be your mirror, 컨티뉴 옥션, 서울<br>\n2023 기록과 경이: 한국현대사진, 아리조나대학교 CCP 센터, USA<br>\n2023 자연과 인간: 한국현대사진, 한국 문화원, 부다페스트, 헝가리 / 한국 문화원, 로마, 이탈리아<br>\n2022 명랑주파수, 마루아트센터, 서울<br>\n2021 하-하-하우스전, 수원시립미술관, 수원<br>\n2019 , 성남아트센터 큐브 갤러리, 성남<br>\n2018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 청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br>\n2018 아트 텀스, BK 갤러리, 서울<br>\n2018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_ 한국현대사진운동 1988-1999,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Korean Documentary, 브루클린 브릿지 파크, 뉴욕,<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Take Back The Beach, 뉴욕<br>\n2016 공간의 발견(The Discovery of Space),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16 HI Light, 벽과나사이, 서울<br>\n2015 2015 서울사진축제; 기쁜 우리 좋은 날, 북서울 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성남 익산 작가 교류전, 익산 예술의전당, 익산<br>\n2015 Dislocation; Urban Experience in Contemporary East Asian Photography, Smith College Museum of Art, Massachusetts, USA<br>\n2015 가족, 김해 클레이아크 미술관, 김해.<br>\n2015 공간, 사람, 그리고 가족, 춘천 아카이브 프로젝트, 춘천 상상마당, 춘천<br>\n2015 Family Album; Floating Identity, LIG Art Space, 서울<br>\n2014 탐험가의 여행담,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2014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4 2014 전주 국제 사진 페스티발, Women in Asia, 전북예술회관, 전주.<br>\n2013 미술관 속 사진 페스티발, 사진 한국을 말하다, 대전 시립 미술관 / 창원 도립 미술관<br>\n2013 2013 서울사진축제, 시대의 초상, 초상의 시대, 시립미술관, 서울<br>\n2013 검내를 건너온 빛, 루비나아트센터, 분당<br>\n2013 4th Photoquai Biennalle, 께브랑리 뮤지엄/세느강변, 파리, 프랑스.<br>\n2012 국립 현대 미술관 소장품전,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2 미술에 꼬리달기, 경기도미술관 소장품전,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2 홍콩국제사진페스티벌(H.K.Int’l PhotoFest), Parallel Visions 香港國際攝影節; 한국 일본 현대사진전, 홍콩아트센터, 홍콩<br>\n2012 Mega Seoul 4 decade, 한미 사진 미술관, 서울<br>\n2010 Chaotic Harmony-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Santa Barbara, USA<br>\n2009 동강 국제 사진제 강원다큐멘타리 사진사업 특별전, 영월<br>\n2009 The 5th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리엔조, 중국<br>\n2009 The 8th China Photographic Art Festival & 2009 DALI International Photography Exhibition, 운남성, 중국<br>\n2009 한국 현대 사진 60년, 국립 현대 미술관, 서울 / 경남 도립 미술관, 창원<br>\n2008 한국사진의 프로티어전, 갤러리 나우, 서울<br>\n2007 한국 현대 사진의 풍경, 시립 미술관, 서울<br>\n2002 한국 현대 사진의 지평 사람 바람 순회전, 사이타마 근대미술관, 사이타마 / 센다이 미디어테크, 센다이, 일본<br>\n2002 프랑스 초청 한국사진가 특별전, 프랑스 La Galerie Photo, 몽펠리에<br>\n2001 삶의 시간 시간의 얼굴, 토탈 미술관, 서울<br>\n1999 리빙룸전, 보다 갤러리, 서울<br>\n1995 FACE, 한마당 갤러리, 서울<br>\n1994 도시 이야기, 후지 포토 살롱, 서울<br>\n<br>\n[레지던시]<br>\n2014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br>\n[작품소장]<br>\n2024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20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0 KT&G 상상마당, 서울<br>\n2009 송은 문화재단, 서울<br>\n2008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08 국립 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br>\n2002 Joy of Giving Something(JGS) Collection, NY, USA<br>\n<br>\n[수상]<br>\n2024 제 22회 동강 사진상<br>\n2010 제 3회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 최종작가<br>\n2009 제 9회 송은 미술대상 우수상<br>\n2006 제 4회 강원 다큐멘타리 작가상<br>\n1999 제 3회 갤러리 보다 ‘녹음방초분기탱천’ 선정 초대<br>\n<br>\n[기금]<br>\n2020 경기문화재단, RE:SERCH 기금<br>\n2018 경기문화재단, 중견작가 작품집 지원 기금<br>\n2013 서울문화재단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9-2010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07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경기문화재단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강원 다큐멘타리 사업기금<br>\n2006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4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br>\n[출판]<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 성남문화재단, 성남<br>\n2019 가족과 모성, 눈빛,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디웍스, 서울<br>\n2011 Twins, KT&G 상상마당, 서울"}}
https://geonhi.com/korean/이선민-twins2/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수정과-지영-c-print-120x145cm-2008.jpg
이선민
Twins Ⅱ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수정과-지영-c-print-120x145cm-2008.jpg
{:video_url=>"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EC%B7%A8%EB%AF%B8%EC%99%80-%EC%B7%A8%ED%96%A5%EC%9D%98-%EA%B0%80%EC%A1%B1-%EC%82%AC%ED%9A%8C%ED%95%99%EC%9D%84-%EC%9C%84%ED%95%98%EC%97%AC_-%EC%B5%9C%EB%B4%89%EB%A6%BC-%EC%82%AC%EC%A7%84%ED%8F%89%EB%A1%A0%EA%B0%80.pdf", :images=>["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수정과-지영-c-print-120x145cm-2008.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2.-상엽과-한솔-c-print-120x145cm-2008.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3.-남주와-시연-c-print-120x145cm-200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4.-태정과-선호-c-print-120x145cm-200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5.-인구와-성우-c-print-120x145cm-200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6.-선희와-다영-c-print-120x145cm-2010.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7.-호석과-원택-c-print-120x145cm-2010.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8.-종우와-경득-c-print-120x145cm-2010.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9.-철호와-진-c-print-120x157cm-2010.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0.운기와-진우-c-print-120x145cm-2009.jpg"], :captions=>["1. 수정과 지영, c-print, 120x145cm, 2008", "2. 상엽과 한솔, c-print, 120x145cm, 2008", "3. 남주와 시연, c-print, 120x145cm, 2009", "4. 태정과 선호, c-print, 120x145cm, 2009", "5. 인구와 성우, c-print, 120x145cm, 2009", "6. 선희와 다영, c-print, 120x145cm, 2010", "7. 호석과 원택, c-print, 120x145cm, 2010", "8. 종우와 경득, c-print, 120x145cm, 2010", "9. 철호와 진, c-print, 120x157cm, 2010", "10.운기와 진우, c-print, 120x145cm, 2009"], :gallery=>{:title=>"Twins Ⅱ, 2011",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2011년 발표된 TwinsⅡ 시리즈는 TwinsⅠ 시리즈에서 보여준 집이라는 공간에서의 욕망의 소비 행위가 자연 속에서의 고급스러운 취미 활동으로 확장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선민은 TwinsⅡ 연작에서 요트, 카레이싱, 승마, 캠핑, 패러글라이딩, 스키 등 고급스러운 레저를 함께 하는 부자 혹은 모녀의 모습을 촬영하였다. 이들은 자연 공간 속에서 똑같은 옷을 입고 취미 생활을 함께 하며 부모의 유전자와 더불어 취향과 취미까지 대물림하고 있다.<br>\n<br>\n이 일련의 사진들을 통하여 작가 이선민은 가족 구성원들은 결국 신분을 고수하거나 끌어올리기 위해 힘쓰는 후천적 쌍둥이임을 말하고 있다. 여기에 또한 동일시의 강제가 등장한다. 고급스러운 레저 행위 속에 부모의 경제적 수준과 취향을 아이와 함께 소비하며 자신들이 현재 누리고 있는 삶의 수준과 조건을 유지하고 그것을 지속하려는 욕망이 드러난다. 그리하여 이 평화롭고 훈훈한 가족사진 안에서 무서운 욕망과 자본주의의 소비적 담론과 계급갈등과 완강한 위계가 취미 생활 속에 아무렇지도 않게 당연하듯 차갑게 보이는 것이다.<br>\n<br>\narticle<br>\n<a href=\"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EC%B7%A8%EB%AF%B8%EC%99%80-%EC%B7%A8%ED%96%A5%EC%9D%98-%EA%B0%80%EC%A1%B1-%EC%82%AC%ED%9A%8C%ED%95%99%EC%9D%84-%EC%9C%84%ED%95%98%EC%97%AC_-%EC%B5%9C%EB%B4%89%EB%A6%BC-%EC%82%AC%EC%A7%84%ED%8F%89%EB%A1%A0%EA%B0%80.pdf\">[취미와 취향의 가족 사회학을 위하여_ 최봉림 사진평론가]</a>\n"}, :artist=>{:title=>"이선민", :description=>"[학력]<br>\n199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사진 디자인 전공 졸업(MFA)<br>\n<br>\n[개인전]<br>\n2024 시간에서 시간으로, 제 22회 동강사진상 수상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br>\n2022 MZ in 을지로 (스페이스22, 서울)<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Ⅱ (성남아트센터 반달 갤러리, 성남)<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Ⅰ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1 TWINS Ⅱ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br>\n2007 도계 프로젝트 (학고재 갤러리, 서울)<br>\n2007 깊고 고요한 시간 (제비울 미술관, 과천)<br>\n2006 Twins Ⅰ(나우 갤러리, 서울)<br>\n2004 여자의 집Ⅱ (룩스 갤러리, 서울)<br>\n1996 황금투구 (나무 화랑, 서울)<br>\n<br>\n[그룹전]<br>\n2024 허스토리, 갤러리 인덱스, 서울<br>\n2024 I will be your mirror, 컨티뉴 옥션, 서울<br>\n2023 기록과 경이: 한국현대사진, 아리조나대학교 CCP 센터, USA<br>\n2023 자연과 인간: 한국현대사진, 한국 문화원, 부다페스트, 헝가리 / 한국 문화원, 로마, 이탈리아<br>\n2022 명랑주파수, 마루아트센터, 서울<br>\n2021 하-하-하우스전, 수원시립미술관, 수원<br>\n2019 , 성남아트센터 큐브 갤러리, 성남<br>\n2018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 청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br>\n2018 아트 텀스, BK 갤러리, 서울<br>\n2018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_ 한국현대사진운동 1988-1999,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Korean Documentary, 브루클린 브릿지 파크, 뉴욕,<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Take Back The Beach, 뉴욕<br>\n2016 공간의 발견(The Discovery of Space),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16 HI Light, 벽과나사이, 서울<br>\n2015 2015 서울사진축제; 기쁜 우리 좋은 날, 북서울 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성남 익산 작가 교류전, 익산 예술의전당, 익산<br>\n2015 Dislocation; Urban Experience in Contemporary East Asian Photography, Smith College Museum of Art, Massachusetts, USA<br>\n2015 가족, 김해 클레이아크 미술관, 김해.<br>\n2015 공간, 사람, 그리고 가족, 춘천 아카이브 프로젝트, 춘천 상상마당, 춘천<br>\n2015 Family Album; Floating Identity, LIG Art Space, 서울<br>\n2014 탐험가의 여행담,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2014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4 2014 전주 국제 사진 페스티발, Women in Asia, 전북예술회관, 전주.<br>\n2013 미술관 속 사진 페스티발, 사진 한국을 말하다, 대전 시립 미술관 / 창원 도립 미술관<br>\n2013 2013 서울사진축제, 시대의 초상, 초상의 시대, 시립미술관, 서울<br>\n2013 검내를 건너온 빛, 루비나아트센터, 분당<br>\n2013 4th Photoquai Biennalle, 께브랑리 뮤지엄/세느강변, 파리, 프랑스.<br>\n2012 국립 현대 미술관 소장품전,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2 미술에 꼬리달기, 경기도미술관 소장품전,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2 홍콩국제사진페스티벌(H.K.Int’l PhotoFest), Parallel Visions 香港國際攝影節; 한국 일본 현대사진전, 홍콩아트센터, 홍콩<br>\n2012 Mega Seoul 4 decade, 한미 사진 미술관, 서울<br>\n2010 Chaotic Harmony-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Santa Barbara, USA<br>\n2009 동강 국제 사진제 강원다큐멘타리 사진사업 특별전, 영월<br>\n2009 The 5th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리엔조, 중국<br>\n2009 The 8th China Photographic Art Festival & 2009 DALI International Photography Exhibition, 운남성, 중국<br>\n2009 한국 현대 사진 60년, 국립 현대 미술관, 서울 / 경남 도립 미술관, 창원<br>\n2008 한국사진의 프로티어전, 갤러리 나우, 서울<br>\n2007 한국 현대 사진의 풍경, 시립 미술관, 서울<br>\n2002 한국 현대 사진의 지평 사람 바람 순회전, 사이타마 근대미술관, 사이타마 / 센다이 미디어테크, 센다이, 일본<br>\n2002 프랑스 초청 한국사진가 특별전, 프랑스 La Galerie Photo, 몽펠리에<br>\n2001 삶의 시간 시간의 얼굴, 토탈 미술관, 서울<br>\n1999 리빙룸전, 보다 갤러리, 서울<br>\n1995 FACE, 한마당 갤러리, 서울<br>\n1994 도시 이야기, 후지 포토 살롱, 서울<br>\n<br>\n[레지던시]<br>\n2014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br>\n[작품소장]<br>\n2024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20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0 KT&G 상상마당, 서울<br>\n2009 송은 문화재단, 서울<br>\n2008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08 국립 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br>\n2002 Joy of Giving Something(JGS) Collection, NY, USA<br>\n<br>\n[수상]<br>\n2024 제 22회 동강 사진상<br>\n2010 제 3회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 최종작가<br>\n2009 제 9회 송은 미술대상 우수상<br>\n2006 제 4회 강원 다큐멘타리 작가상<br>\n1999 제 3회 갤러리 보다 ‘녹음방초분기탱천’ 선정 초대<br>\n<br>\n[기금]<br>\n2020 경기문화재단, RE:SERCH 기금<br>\n2018 경기문화재단, 중견작가 작품집 지원 기금<br>\n2013 서울문화재단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9-2010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07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경기문화재단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강원 다큐멘타리 사업기금<br>\n2006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4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br>\n[출판]<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 성남문화재단, 성남<br>\n2019 가족과 모성, 눈빛,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디웍스, 서울<br>\n2011 Twins, KT&G 상상마당, 서울\n"}}
https://geonhi.com/korean/이선민-twins/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가인과-영은-ga-in-and-Young-un-digital-c-print-2006.jpg
이선민
TwinsⅠ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가인과-영은-ga-in-and-Young-un-digital-c-print-2006.jpg
{:video_url=>"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EC%9D%B4%EC%84%A0%EB%AF%BC-%EC%8B%A0%EC%88%98%EC%A7%84-%ED%8F%89%EB%A1%A0.pdf", :images=>["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가인과-영은-ga-in-and-Young-un-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다인과-다은-Da-in-and-Da-eun-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도윤과-도인-Do-yun-and-Do-in-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민정과-민영-Ming-jung-and-Min-young-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소현과-영은-So-hyen-and-Young-un-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연희와-정윤-Yeun-i-and-Jung-yun-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예은과-예진-Yeu-un-and-Yeu-jin-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정현과-수현-Jung-heun-and-Su-heun-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지숙-정현과-동현-Ji-suk-Jung-hyun-and-Dong-hyun.-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태화와-희지-Tae-hwa-and-Hee-ji-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하정과-희은-Ha-jung-and-Hee-yeun-digital-c-print-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Twins-희선과-지선-Hee-sun-and-Ji-sun-digital-c-print-2006.jpg"], :captions=>["Twins, 가인과 영은, ga-in and Young-un, digital c-print, 2006", "Twins, 다인과 다은, Da-in and Da-eun, digital c-print, 2006", "Twins, 도윤과 도인, Do-yun and Do-in, digital c-print, 2006", "Twins, 민정과 민영, Ming-jung and Min-young, digital c-print, 2006", "Twins, 소현과 영은, So-hyen and Young-un, digital c-print, 2006", "Twins, 연희와 정윤, Yeun-i and Jung-yun, digital c-print, 2006", "Twins, 예은과 예진, Yeu-un and Yeu-jin, digital c-print, 2006", "Twins, 정현과 수현, Jung-heun and Su-heun, digital c-print, 2006", "Twins, 지숙, 정현과 동현, Ji-suk, Jung-hyun and Dong-hyun. digital c-print, 2006", "Twins, 태화와 희지, Tae-hwa and Hee-ji, digital c-print, 2006", "Twins, 하정과 희은, Ha-jung and Hee-yeun, digital c-print, 2006", "Twins, 희선과 지선, Hee-sun and Ji-sun, digital c-print, 2006"], :gallery=>{:title=>" TwinsⅠ, 2006", :description=>"article<br>\n<a href=\"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EC%9D%B4%EC%84%A0%EB%AF%BC-%EC%8B%A0%EC%88%98%EC%A7%84-%ED%8F%89%EB%A1%A0.pdf\">[신수진]</a>\n"}, :artist=>{:title=>"이선민, LEE Sunmin", :description=>"[학력]<br>\n199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사진 디자인 전공 졸업<br>\n<br>\n[개인전]<br>\n2011 TWINS, KT&G 상상마당갤러리, 서울<br>\n2007 도계 프로젝트, 학고재갤러리, 서울<br>\n2007 깊고 고요한 시간, 제비울미술관, 과천<br>\n2006 Twins, 나우갤러리, 서울<br>\n2004 여자의 집Ⅱ, 룩스갤러리, 서울<br>\n1996 황금투구, 나무화랑, 서울<br>\n<br>\n[그룹전]<br>\n2012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2 미술에 꼬리달기-경기도미술관 소장품展,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2 홍콩 국제사진페스티벌(H.K.Int’l Photo Fest)-한국 일본 현대사진展, 파오갤러리(홍콩아트센터), 홍콩<br>\n2012 Testing Testing-송은문화재단 소장품展, 송은아트큐브, 서울<br>\n2012 Mega Seoul 4 decade, 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2012 대한민국사진축제, 킨텍스학여울, 서울<br>\n2011 KT&G 한국사진가 지원 프로그램(SKOPF) 소장품展, 상상마당갤러리, 서울<br>\n2011 Another voice, 옆집갤러리, 서울<br>\n2010 대구비엔날레 우수 포트폴리오展, 대구비엔날레, 대구<br>\n2010 Chaotic Harmony-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Santa Barbara, USA<br>\n2010 서울포토페어, 코엑스, 서울<br>\n2009 Chaotic Harmony-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The Museum of Fine Art, Houston, USA<br>\n2009 부산 국제멀티아트쇼, 부산문화회관, 부산<br>\n2009 송은미술대상展, 인사아트센터, 서울<br>\n2009 웰컴 투 훼미리, 가일미술관, 청평<br>\n2009 동강국제사진제 강원다큐멘타리 사진사업 특별展, 영월<br>\n2009 The 5th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리엔조, 중국<br>\n2009 The 8th China Photographic Art Festival & 2009 DALI International Photography Exhibition, 운남성, 중국<br>\n2009 한국 현재사진60년,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09 공공의 걸작-경기도미술관 신소장품展,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08 사진의북쪽, 관훈갤러리, 서울<br>\n2008 국제사진페스티벌, 구서울역사, 서울<br>\n2008 한국 현대사진60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08 여성60년사, 그 삶의 발자취, 여성플라자, 서울<br>\n2008 한국사진의 프론티어展, 나우갤러리, 서울<br>\n2007 한국 현대사진의 풍경, 시립미술관, 서울<br>\n2006 사람, 사람들, 인사아트센터, 서울<br>\n2006 여성, 일, 미술,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br>\n2002 한국 현대사진의 지평 사람 바람展, 일본 사이타마 근대미술관, 사이타마, 일본 / 일본 센다이 미디어테크, 센다이, 일본<br>\n2002 프랑스 초청 한국사진가 특별展, 프랑스 La Galerie Photo, 몽펠리에, 프랑스<br>\n2001 삶의시간, 시간의얼굴, 토탈미술관, 서울<br>\n2000 행복도안展, 보다갤러리, 서울<br>\n1999 리빙룸, 보다갤러리, 서울<br>\n1995 FACE, 한마당갤러리, 서울<br>\n1994 도시 이야기, 후지포토싸롱, 서울<br>\n<br>\n[수상 및 경력]<br>\n2013 서울문화재단기금<br>\n2010 최종작가 KT&G 상상마당 한국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10 KT&G 상상마당 한국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09 KT&G 상상마당 한국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09 송은미술대상<br>\n2007 한국문예진흥기금<br>\n2007 강원다큐멘타리 사업기금<br>\n2006 강원다큐멘타리 작가상<br>\n2006 한국문예진흥기금<br>\n2004 한국문예진흥기금<br>\n<br>\n[작품소장]<br>\n2012 국립현대미술관<br>\n2010 KT&G 상상마당<br>\n2009 송은문화재단<br>\n2008 경기도미술관<br>\n2008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br>\n2002 Joy of Giving Something (NY, USA)\n"}}
https://geonhi.com/korean/이선민-도계-프로젝트/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남진선의-집1-벌초풍경2006.jpg
이선민
도계 프로젝트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남진선의-집1-벌초풍경2006.jpg
{:video_url=>nil, :images=>["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남진선의-집1-벌초풍경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김인수의-집-유신사택-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남진선의-집2-벌초풍경-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신이종의-집1-성묘풍경-2005.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신이종의-집2-성묘풍경-2005.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신이종의-집3-추석풍경.2005.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오연호의-집-추석풍경-2005.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이성우의-집1-자조사택-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천순랑의-집.2007.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최명순의-집-추석풍경-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최한동의-집1-국민주택-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최한동의-집2-국민주택-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홍성우의-집1-벌초풍경-200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도계-프로젝트-홍성우의-집2-추석풍경-2006.jpg"], :captions=>["도계 프로젝트, 남진선의 집1-벌초풍경2006", "도계 프로젝트, 김인수의 집-유신사택 2006", "도계 프로젝트, 남진선의 집2-벌초풍경 2006", "도계 프로젝트, 신이종의 집1-성묘풍경 2005", "도계 프로젝트, 신이종의 집2-성묘풍경 2005", "도계 프로젝트, 신이종의 집3-추석풍경.2005", "도계 프로젝트, 오연호의 집-추석풍경 2005", "도계 프로젝트, 이성우의 집1- 자조사택 2006", "도계 프로젝트, 천순랑의 집.2007", "도계 프로젝트, 최명순의 집-추석풍경 2006", "도계 프로젝트, 최한동의 집1-국민주택 2006", "도계 프로젝트, 최한동의 집2-국민주택 2006", "도계 프로젝트, 홍성우의 집1-벌초풍경 2006", "도계 프로젝트, 홍성우의 집2-추석풍경 2006"], :gallery=>{:title=>"도계 프로젝트, 2005-2007", :description=>""}, :artist=>{:title=>"이선민, LEE Sunmin", :description=>"[학력]<br>\n199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사진 디자인 전공 졸업<br>\n<br>\n[개인전]<br>\n2011 TWINS, KT&G 상상마당갤러리, 서울<br>\n2007 도계 프로젝트, 학고재갤러리, 서울<br>\n2007 깊고 고요한 시간, 제비울미술관, 과천<br>\n2006 Twins, 나우갤러리, 서울<br>\n2004 여자의 집Ⅱ, 룩스갤러리, 서울<br>\n1996 황금투구, 나무화랑, 서울<br>\n<br>\n[그룹전]<br>\n2012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2 미술에 꼬리달기-경기도미술관 소장품展,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2 홍콩 국제사진페스티벌(H.K.Int’l Photo Fest)-한국 일본 현대사진展, 파오갤러리(홍콩아트센터), 홍콩<br>\n2012 Testing Testing-송은문화재단 소장품展, 송은아트큐브, 서울<br>\n2012 Mega Seoul 4 decade, 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2012 대한민국사진축제, 킨텍스학여울, 서울<br>\n2011 KT&G 한국사진가 지원 프로그램(SKOPF) 소장품展, 상상마당갤러리, 서울<br>\n2011 Another voice, 옆집갤러리, 서울<br>\n2010 대구비엔날레 우수 포트폴리오展, 대구비엔날레, 대구<br>\n2010 Chaotic Harmony-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Santa Barbara, USA<br>\n2010 서울포토페어, 코엑스, 서울<br>\n2009 Chaotic Harmony-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The Museum of Fine Art, Houston, USA<br>\n2009 부산 국제멀티아트쇼, 부산문화회관, 부산<br>\n2009 송은미술대상展, 인사아트센터, 서울<br>\n2009 웰컴 투 훼미리, 가일미술관, 청평<br>\n2009 동강국제사진제 강원다큐멘타리 사진사업 특별展, 영월<br>\n2009 The 5th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리엔조, 중국<br>\n2009 The 8th China Photographic Art Festival & 2009 DALI International Photography Exhibition, 운남성, 중국<br>\n2009 한국 현재사진60년,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09 공공의 걸작-경기도미술관 신소장품展,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08 사진의북쪽, 관훈갤러리, 서울<br>\n2008 국제사진페스티벌, 구서울역사, 서울<br>\n2008 한국 현대사진60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08 여성60년사, 그 삶의 발자취, 여성플라자, 서울<br>\n2008 한국사진의 프론티어展, 나우갤러리, 서울<br>\n2007 한국 현대사진의 풍경, 시립미술관, 서울<br>\n2006 사람, 사람들, 인사아트센터, 서울<br>\n2006 여성, 일, 미술,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br>\n2002 한국 현대사진의 지평 사람 바람展, 일본 사이타마 근대미술관, 사이타마, 일본 / 일본 센다이 미디어테크, 센다이, 일본<br>\n2002 프랑스 초청 한국사진가 특별展, 프랑스 La Galerie Photo, 몽펠리에, 프랑스<br>\n2001 삶의시간, 시간의얼굴, 토탈미술관, 서울<br>\n2000 행복도안展, 보다갤러리, 서울<br>\n1999 리빙룸, 보다갤러리, 서울<br>\n1995 FACE, 한마당갤러리, 서울<br>\n1994 도시 이야기, 후지포토싸롱, 서울<br>\n<br>\n[수상 및 경력]<br>\n2013 서울문화재단기금<br>\n2010 최종작가 KT&G 상상마당 한국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10 KT&G 상상마당 한국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09 KT&G 상상마당 한국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09 송은미술대상<br>\n2007 한국문예진흥기금<br>\n2007 강원다큐멘타리 사업기금<br>\n2006 강원다큐멘타리 작가상<br>\n2006 한국문예진흥기금<br>\n2004 한국문예진흥기금<br>\n<br>\n[작품소장]<br>\n2012 국립현대미술관<br>\n2010 KT&G 상상마당<br>\n2009 송은문화재단<br>\n2008 경기도미술관<br>\n2008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br>\n2002 Joy of Giving Something (NY, USA)\n"}}
https://geonhi.com/korean/이선민-여자의집2/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권혁희의-집#1-추석-풍경-2004.jpg
이선민
여자의집 Ⅱ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권혁희의-집#1-추석-풍경-2004.jpg
{:video_url=>"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EC%9D%B4%EC%84%A0%EB%AF%BC-%EC%B5%9C%EB%B4%89%EB%A6%BC-%EC%82%AC%EC%A7%84%ED%8F%89%EB%A1%A0%EA%B0%80.pdf", :images=>["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권혁희의-집#1-추석-풍경-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권혁희의-집#2-추석-풍경-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규정과-의순-명순-정순-네자매-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길례와-정하-두여자-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김부남의-집-#1-추석-풍경-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김부남의-집-#2-추석-풍경-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김영순의-집-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동분과-옥경-두여자-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서상석의-집-생신-풍경-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안명규의-집-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왕정순의-집-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이순자의-집#1-제사-풍경-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이순자의-집#2-제사-풍경-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이순자의-집#3-제사-풍경-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여자의집Ⅱ-이영숙의-집-추석-풍경-2004.jpg"], :captions=>["여자의집Ⅱ, 권혁희의 집#1-추석 풍경 2004", "여자의집Ⅱ, 권혁희의 집#2-추석 풍경 2004", "여자의집Ⅱ, 규정과 의순, 명순 정순-네자매 2004", "여자의집Ⅱ, 길례와 정하-두여자 2004", "여자의집Ⅱ, 김부남의 집 #1-추석 풍경 2004", "여자의집Ⅱ, 김부남의 집 #2-추석 풍경 2004", "여자의집Ⅱ, 김영순의 집 2004", "여자의집Ⅱ, 동분과 옥경-두여자 2004", "여자의집Ⅱ, 서상석의 집-생신 풍경 2004", "여자의집Ⅱ, 안명규의 집 2004", "여자의집Ⅱ, 왕정순의 집 2004", "여자의집Ⅱ, 이순자의 집#1-제사 풍경 2004", "여자의집Ⅱ, 이순자의 집#2-제사 풍경 2004", "여자의집Ⅱ, 이순자의 집#3-제사 풍경 2004", "여자의집Ⅱ, 이영숙의 집-추석 풍경 2004"], :gallery=>{:title=>"여자의집 Ⅱ, 2004", :description=>"article<br>\n<a href=\"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EC%9D%B4%EC%84%A0%EB%AF%BC-%EC%B5%9C%EB%B4%89%EB%A6%BC-%EC%82%AC%EC%A7%84%ED%8F%89%EB%A1%A0%EA%B0%80.pdf\">[최봉림 사진평론가]</a>\n"}, :artist=>{:title=>"이선민", :description=>"[학력]<br>\n199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사진 디자인 전공 졸업(MFA)<br>\n<br>\n[개인전]<br>\n2024 시간에서 시간으로, 제 22회 동강사진상 수상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br>\n2022 MZ in 을지로 (스페이스22, 서울)<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Ⅱ (성남아트센터 반달 갤러리, 성남)<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Ⅰ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1 TWINS Ⅱ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br>\n2007 도계 프로젝트 (학고재 갤러리, 서울)<br>\n2007 깊고 고요한 시간 (제비울 미술관, 과천)<br>\n2006 Twins Ⅰ(나우 갤러리, 서울)<br>\n2004 여자의 집Ⅱ (룩스 갤러리, 서울)<br>\n1996 황금투구 (나무 화랑, 서울)<br>\n<br>\n[그룹전]<br>\n2024 허스토리, 갤러리 인덱스, 서울<br>\n2024 I will be your mirror, 컨티뉴 옥션, 서울<br>\n2023 기록과 경이: 한국현대사진, 아리조나대학교 CCP 센터, USA<br>\n2023 자연과 인간: 한국현대사진, 한국 문화원, 부다페스트, 헝가리 / 한국 문화원, 로마, 이탈리아<br>\n2022 명랑주파수, 마루아트센터, 서울<br>\n2021 하-하-하우스전, 수원시립미술관, 수원<br>\n2019 , 성남아트센터 큐브 갤러리, 성남<br>\n2018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 청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br>\n2018 아트 텀스, BK 갤러리, 서울<br>\n2018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_ 한국현대사진운동 1988-1999,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Korean Documentary, 브루클린 브릿지 파크, 뉴욕,<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Take Back The Beach, 뉴욕<br>\n2016 공간의 발견(The Discovery of Space),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16 HI Light, 벽과나사이, 서울<br>\n2015 2015 서울사진축제; 기쁜 우리 좋은 날, 북서울 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성남 익산 작가 교류전, 익산 예술의전당, 익산<br>\n2015 Dislocation; Urban Experience in Contemporary East Asian Photography, Smith College Museum of Art, Massachusetts, USA<br>\n2015 가족, 김해 클레이아크 미술관, 김해.<br>\n2015 공간, 사람, 그리고 가족, 춘천 아카이브 프로젝트, 춘천 상상마당, 춘천<br>\n2015 Family Album; Floating Identity, LIG Art Space, 서울<br>\n2014 탐험가의 여행담,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2014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4 2014 전주 국제 사진 페스티발, Women in Asia, 전북예술회관, 전주.<br>\n2013 미술관 속 사진 페스티발, 사진 한국을 말하다, 대전 시립 미술관 / 창원 도립 미술관<br>\n2013 2013 서울사진축제, 시대의 초상, 초상의 시대, 시립미술관, 서울<br>\n2013 검내를 건너온 빛, 루비나아트센터, 분당<br>\n2013 4th Photoquai Biennalle, 께브랑리 뮤지엄/세느강변, 파리, 프랑스.<br>\n2012 국립 현대 미술관 소장품전,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2 미술에 꼬리달기, 경기도미술관 소장품전,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2 홍콩국제사진페스티벌(H.K.Int’l PhotoFest), Parallel Visions 香港國際攝影節; 한국 일본 현대사진전, 홍콩아트센터, 홍콩<br>\n2012 Mega Seoul 4 decade, 한미 사진 미술관, 서울<br>\n2010 Chaotic Harmony-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Santa Barbara, USA<br>\n2009 동강 국제 사진제 강원다큐멘타리 사진사업 특별전, 영월<br>\n2009 The 5th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리엔조, 중국<br>\n2009 The 8th China Photographic Art Festival & 2009 DALI International Photography Exhibition, 운남성, 중국<br>\n2009 한국 현대 사진 60년, 국립 현대 미술관, 서울 / 경남 도립 미술관, 창원<br>\n2008 한국사진의 프로티어전, 갤러리 나우, 서울<br>\n2007 한국 현대 사진의 풍경, 시립 미술관, 서울<br>\n2002 한국 현대 사진의 지평 사람 바람 순회전, 사이타마 근대미술관, 사이타마 / 센다이 미디어테크, 센다이, 일본<br>\n2002 프랑스 초청 한국사진가 특별전, 프랑스 La Galerie Photo, 몽펠리에<br>\n2001 삶의 시간 시간의 얼굴, 토탈 미술관, 서울<br>\n1999 리빙룸전, 보다 갤러리, 서울<br>\n1995 FACE, 한마당 갤러리, 서울<br>\n1994 도시 이야기, 후지 포토 살롱, 서울<br>\n<br>\n[레지던시]<br>\n2014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br>\n[작품소장]<br>\n2024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20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0 KT&G 상상마당, 서울<br>\n2009 송은 문화재단, 서울<br>\n2008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08 국립 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br>\n2002 Joy of Giving Something(JGS) Collection, NY, USA<br>\n<br>\n[수상]<br>\n2024 제 22회 동강 사진상<br>\n2010 제 3회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 최종작가<br>\n2009 제 9회 송은 미술대상 우수상<br>\n2006 제 4회 강원 다큐멘타리 작가상<br>\n1999 제 3회 갤러리 보다 ‘녹음방초분기탱천’ 선정 초대<br>\n<br>\n[기금]<br>\n2020 경기문화재단, RE:SERCH 기금<br>\n2018 경기문화재단, 중견작가 작품집 지원 기금<br>\n2013 서울문화재단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9-2010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07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경기문화재단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강원 다큐멘타리 사업기금<br>\n2006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4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br>\n[출판]<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 성남문화재단, 성남<br>\n2019 가족과 모성, 눈빛,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디웍스, 서울<br>\n2011 Twins, KT&G 상상마당, 서울\n"}}
https://geonhi.com/korean/이선민-여자의-집1/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여자의-집-자윤이네-80×80㎝-c-print-1999.jpg
이선민
여자의 집Ⅰ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여자의-집-자윤이네-80×80㎝-c-print-1999.jpg
{:video_url=>nil, :images=>["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여자의-집-자윤이네-80×80㎝-c-print-199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2.-종원이네#1-80×80㎝-digital-c-print-199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3.-종원이네#2-80×80㎝-digital-c-print-199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4.-금희네#1-80×80㎝-c-print-199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5.-동욱이네-80×80㎝-c-print-199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6.-희준이네-80×80㎝-c-print-200400002.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7.-지훈이네#2-80×80㎝-c-print-2004.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8.-태우네-80×80㎝-digital-c-print-2002.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9.-지훈이네#1-80×80㎝-c-print-2000.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0.-현우네-80×80㎝-digital-c-print-2000.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1.-유진이네-80x80cm-c-print-199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2.-수완이네-80×120㎝-digital-c-print-1999-T-1.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3.-금희네#2-80×80㎝-c-print-1999.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4.-준훈이네-80×80㎝-c-print-2000.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5.-유경이네-80×80㎝-c-print-2004.jpg"], :captions=>["1. 여자의 집 자윤이네, 80×80㎝, c-print, 1999", "2. 종원이네#1, 80×80㎝, digital c-print, 1999", "3. 종원이네#2, 80×80㎝, digital c-print, 1999", "4. 금희네#1, 80×80㎝, c-print, 1999", "5. 동욱이네, 80×80㎝, c-print, 1999", "6. 희준이네, 80×80㎝, c-print, 2004(00002)", "7. 지훈이네#2, 80×80㎝, c-print, 2004", "8. 태우네, 80×80㎝, digital c-print, 2002", "9. 지훈이네#1 80×80㎝, c-print, 2000", "10. 현우네, 80×80㎝, digital c-print, 2000", "11. 유진이네, 80x80cm, c-print, 1999", "12. 수완이네, 80×120㎝, digital c-print, 1999-T-1", "13. 금희네#2, 80×80㎝, c-print, 1999", "14. 준훈이네, 80×80㎝, c-print, 2000", "15. 유경이네, 80×80㎝, c-print, 2004"], :gallery=>{:title=>"여자의 집 Ⅰ, 1999-2004", :description=>"article, 최봉림 사진평론가<br>\n삶의 시간, 시간의 얼굴<br>\n30대 주부와 가정을 소재로 한 이선민의 작업은 최소한의 연출을 통해 비판적 거리 두기를 실현하는 모범적인 예다. 작가는 실제 30대 가정 속에서 일어나는 일상사에 조심스럽게 끼어들어 거리 두기, 낯섦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상황을 조절한다. 그러나 이 최소한의 개입은 엄청난 결과를 초래한다. 낯설게 변모한 일상적 현실 속에서 30대 가정의 권태와 무기력, 소통의 단절과 피로가 엄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선민의 사진 속에서는 가히 두려워할만한 진실의 입이 30대의 삶에 관한 어떤 상투적 담론과 공허한 행복론을 뒷걸음치게 하고야 만다. 이행되지 않은 사랑의 약속, 믿을 수 없는 행복의 기약, 쓰러져 가는 젊은 날의 꿈 등,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 이선민의 일상적 사진 장면들은 따라서 비극적이다.\n"}, :artist=>{:title=>"이선민", :description=>"[학력]<br>\n199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사진 디자인 전공 졸업(MFA)<br>\n<br>\n[개인전]<br>\n2024 시간에서 시간으로, 제 22회 동강사진상 수상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br>\n2022 MZ in 을지로 (스페이스22, 서울)<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Ⅱ (성남아트센터 반달 갤러리, 성남)<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Ⅰ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1 TWINS Ⅱ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br>\n2007 도계 프로젝트 (학고재 갤러리, 서울)<br>\n2007 깊고 고요한 시간 (제비울 미술관, 과천)<br>\n2006 Twins Ⅰ(나우 갤러리, 서울)<br>\n2004 여자의 집Ⅱ (룩스 갤러리, 서울)<br>\n1996 황금투구 (나무 화랑, 서울)<br>\n<br>\n[그룹전]<br>\n2024 허스토리, 갤러리 인덱스, 서울<br>\n2024 I will be your mirror, 컨티뉴 옥션, 서울<br>\n2023 기록과 경이: 한국현대사진, 아리조나대학교 CCP 센터, USA<br>\n2023 자연과 인간: 한국현대사진, 한국 문화원, 부다페스트, 헝가리 / 한국 문화원, 로마, 이탈리아<br>\n2022 명랑주파수, 마루아트센터, 서울<br>\n2021 하-하-하우스전, 수원시립미술관, 수원<br>\n2019 , 성남아트센터 큐브 갤러리, 성남<br>\n2018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 청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br>\n2018 아트 텀스, BK 갤러리, 서울<br>\n2018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_ 한국현대사진운동 1988-1999,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Korean Documentary, 브루클린 브릿지 파크, 뉴욕,<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Take Back The Beach, 뉴욕<br>\n2016 공간의 발견(The Discovery of Space),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16 HI Light, 벽과나사이, 서울<br>\n2015 2015 서울사진축제; 기쁜 우리 좋은 날, 북서울 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성남 익산 작가 교류전, 익산 예술의전당, 익산<br>\n2015 Dislocation; Urban Experience in Contemporary East Asian Photography, Smith College Museum of Art, Massachusetts, USA<br>\n2015 가족, 김해 클레이아크 미술관, 김해.<br>\n2015 공간, 사람, 그리고 가족, 춘천 아카이브 프로젝트, 춘천 상상마당, 춘천<br>\n2015 Family Album; Floating Identity, LIG Art Space, 서울<br>\n2014 탐험가의 여행담,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2014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4 2014 전주 국제 사진 페스티발, Women in Asia, 전북예술회관, 전주.<br>\n2013 미술관 속 사진 페스티발, 사진 한국을 말하다, 대전 시립 미술관 / 창원 도립 미술관<br>\n2013 2013 서울사진축제, 시대의 초상, 초상의 시대, 시립미술관, 서울<br>\n2013 검내를 건너온 빛, 루비나아트센터, 분당<br>\n2013 4th Photoquai Biennalle, 께브랑리 뮤지엄/세느강변, 파리, 프랑스.<br>\n2012 국립 현대 미술관 소장품전,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2 미술에 꼬리달기, 경기도미술관 소장품전,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2 홍콩국제사진페스티벌(H.K.Int’l PhotoFest), Parallel Visions 香港國際攝影節; 한국 일본 현대사진전, 홍콩아트센터, 홍콩<br>\n2012 Mega Seoul 4 decade, 한미 사진 미술관, 서울<br>\n2010 Chaotic Harmony-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Santa Barbara, USA<br>\n2009 동강 국제 사진제 강원다큐멘타리 사진사업 특별전, 영월<br>\n2009 The 5th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리엔조, 중국<br>\n2009 The 8th China Photographic Art Festival & 2009 DALI International Photography Exhibition, 운남성, 중국<br>\n2009 한국 현대 사진 60년, 국립 현대 미술관, 서울 / 경남 도립 미술관, 창원<br>\n2008 한국사진의 프로티어전, 갤러리 나우, 서울<br>\n2007 한국 현대 사진의 풍경, 시립 미술관, 서울<br>\n2002 한국 현대 사진의 지평 사람 바람 순회전, 사이타마 근대미술관, 사이타마 / 센다이 미디어테크, 센다이, 일본<br>\n2002 프랑스 초청 한국사진가 특별전, 프랑스 La Galerie Photo, 몽펠리에<br>\n2001 삶의 시간 시간의 얼굴, 토탈 미술관, 서울<br>\n1999 리빙룸전, 보다 갤러리, 서울<br>\n1995 FACE, 한마당 갤러리, 서울<br>\n1994 도시 이야기, 후지 포토 살롱, 서울<br>\n<br>\n[레지던시]<br>\n2014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br>\n[작품소장]<br>\n2024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20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0 KT&G 상상마당, 서울<br>\n2009 송은 문화재단, 서울<br>\n2008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08 국립 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br>\n2002 Joy of Giving Something(JGS) Collection, NY, USA<br>\n<br>\n[수상]<br>\n2024 제 22회 동강 사진상<br>\n2010 제 3회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 최종작가<br>\n2009 제 9회 송은 미술대상 우수상<br>\n2006 제 4회 강원 다큐멘타리 작가상<br>\n1999 제 3회 갤러리 보다 ‘녹음방초분기탱천’ 선정 초대<br>\n<br>\n[기금]<br>\n2020 경기문화재단, RE:SERCH 기금<br>\n2018 경기문화재단, 중견작가 작품집 지원 기금<br>\n2013 서울문화재단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9-2010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07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경기문화재단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강원 다큐멘타리 사업기금<br>\n2006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4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br>\n[출판]<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 성남문화재단, 성남<br>\n2019 가족과 모성, 눈빛,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디웍스, 서울<br>\n2011 Twins, KT&G 상상마당, 서울\n"}}
https://geonhi.com/korean/이선민-황금투구/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untitled1.-gelatin-silver-print.jpg
이선민
황금투구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untitled1.-gelatin-silver-print.jpg
{:video_url=>nil, :images=>["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untitled1.-gelatin-silver-print.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2.-untitled3.-gelatin-silver-print.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3.-untitled5.-gelatin-silver-print.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4.-untitled6.-gelatin-silver-print.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5.-untitled7.-gelatin-silver-print.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6.-untitled-8-gelatin-silver-print-199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7.-untitled-9-gelatin-silver-print-199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8.-untitled-10-gelatin-silver-print-199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9.-untitled-11-gelatin-silver-print-199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0.-untitled-12-gelatin-silver-print-199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1.-untitled-14-gelatin-silver-print-1996.jpg", "https://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6/12.-untitled-15-gelatin-silver-print-1996.jpg"], :captions=>["1.untitled1. gelatin silver print", "2. untitled3. gelatin silver print", "3. untitled5. gelatin silver print", "4. untitled6. gelatin silver print", "5. untitled7. gelatin silver print", "6. untitled #8, gelatin silver print, 1996", "7. untitled #9, gelatin silver print, 1996", "8. untitled #10, gelatin silver print, 1996", "9. untitled #11, gelatin silver print, 1996", "10. untitled #12, gelatin silver print, 1996", "11. untitled #14, gelatin silver print, 1996", "12. untitled #15, gelatin silver print, 1996"], :gallery=>{:title=>"황금투구, 1995", :description=>"article, 이경민 사진비평가<br>\n우리는 아무리 완벽하다고 생각하는 재현 체계 속에서도 항상 벌거숭이 임금님일 수밖에 없다. 권력이란 그것을 쥐고 있는 사람의 것이기보다는 항상 보이지 않는 곳에서 그자를 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늘날 이야기되고 있는 포스트모던 이론 또는 그 철학은 이러한 재현 체계 그리고 그 체계를 움직이게 하는 숨은 권력을 밝히려는 일련의 노력들이다. (그래서 재현의 문제, 표상성의 문제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가르는 주된 이슈가 되었다.)<br>\n<br>\n이선민은 사진이라는 시각 매체를 다루고 있으므로 권력이라는 추상적인 관념을 어떻게 사진 속에 담아 시각화시킬 것인가가 그의 작업의 핵심이다. 여기서 그는 피상적으로 흐를 수 있는 권력의 문제를 ‘원근법이라는 시각적 권력 상징’ (이것은 모델이 입고 있는 의상이 될 수 있고 그 모델들의 포즈가 될 수 있다.)을 이용하여 알레고리 적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가 노리는 것은 권력 그 자체의 해체가 아니라 그 모순구조의 드러냄이다. 그것은 재현 체계를 통해서만 그 구조를 파헤칠 수 있고 우리는 그 체계를 떠나서는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은폐된 것들을 드러내는 반복된 과정을 통해 ‘올바른’ 권력의 행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인간이 추구하는 진정한 합리화에 보다 가깝게 다가서게 될 것이다. ………. 사진이 갖는 정치학은 여기에 있는 것이다.\n"}, :artist=>{:title=>"이선민", :description=>"[학력]<br>\n199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사진 디자인 전공 졸업(MFA)<br>\n<br>\n[개인전]<br>\n2024 시간에서 시간으로, 제 22회 동강사진상 수상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br>\n2022 MZ in 을지로 (스페이스22, 서울)<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Ⅱ (성남아트센터 반달 갤러리, 성남)<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Ⅰ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룩스 갤러리, 서울)<br>\n2011 TWINS Ⅱ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br>\n2007 도계 프로젝트 (학고재 갤러리, 서울)<br>\n2007 깊고 고요한 시간 (제비울 미술관, 과천)<br>\n2006 Twins Ⅰ(나우 갤러리, 서울)<br>\n2004 여자의 집Ⅱ (룩스 갤러리, 서울)<br>\n1996 황금투구 (나무 화랑, 서울)<br>\n<br>\n[그룹전]<br>\n2024 허스토리, 갤러리 인덱스, 서울<br>\n2024 I will be your mirror, 컨티뉴 옥션, 서울<br>\n2023 기록과 경이: 한국현대사진, 아리조나대학교 CCP 센터, USA<br>\n2023 자연과 인간: 한국현대사진, 한국 문화원, 부다페스트, 헝가리 / 한국 문화원, 로마, 이탈리아<br>\n2022 명랑주파수, 마루아트센터, 서울<br>\n2021 하-하-하우스전, 수원시립미술관, 수원<br>\n2019 , 성남아트센터 큐브 갤러리, 성남<br>\n2018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 청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br>\n2018 아트 텀스, BK 갤러리, 서울<br>\n2018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_ 한국현대사진운동 1988-1999,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Korean Documentary, 브루클린 브릿지 파크, 뉴욕,<br>\n2017 포토빌 국제 사진 축제, Take Back The Beach, 뉴욕<br>\n2016 공간의 발견(The Discovery of Space),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16 HI Light, 벽과나사이, 서울<br>\n2015 2015 서울사진축제; 기쁜 우리 좋은 날, 북서울 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성남 익산 작가 교류전, 익산 예술의전당, 익산<br>\n2015 Dislocation; Urban Experience in Contemporary East Asian Photography, Smith College Museum of Art, Massachusetts, USA<br>\n2015 가족, 김해 클레이아크 미술관, 김해.<br>\n2015 공간, 사람, 그리고 가족, 춘천 아카이브 프로젝트, 춘천 상상마당, 춘천<br>\n2015 Family Album; Floating Identity, LIG Art Space, 서울<br>\n2014 탐험가의 여행담,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2014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4 2014 전주 국제 사진 페스티발, Women in Asia, 전북예술회관, 전주.<br>\n2013 미술관 속 사진 페스티발, 사진 한국을 말하다, 대전 시립 미술관 / 창원 도립 미술관<br>\n2013 2013 서울사진축제, 시대의 초상, 초상의 시대, 시립미술관, 서울<br>\n2013 검내를 건너온 빛, 루비나아트센터, 분당<br>\n2013 4th Photoquai Biennalle, 께브랑리 뮤지엄/세느강변, 파리, 프랑스.<br>\n2012 국립 현대 미술관 소장품전,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2 미술에 꼬리달기, 경기도미술관 소장품전,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2 홍콩국제사진페스티벌(H.K.Int’l PhotoFest), Parallel Visions 香港國際攝影節; 한국 일본 현대사진전, 홍콩아트센터, 홍콩<br>\n2012 Mega Seoul 4 decade, 한미 사진 미술관, 서울<br>\n2010 Chaotic Harmony-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Santa Barbara, USA<br>\n2009 동강 국제 사진제 강원다큐멘타리 사진사업 특별전, 영월<br>\n2009 The 5th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리엔조, 중국<br>\n2009 The 8th China Photographic Art Festival & 2009 DALI International Photography Exhibition, 운남성, 중국<br>\n2009 한국 현대 사진 60년, 국립 현대 미술관, 서울 / 경남 도립 미술관, 창원<br>\n2008 한국사진의 프로티어전, 갤러리 나우, 서울<br>\n2007 한국 현대 사진의 풍경, 시립 미술관, 서울<br>\n2002 한국 현대 사진의 지평 사람 바람 순회전, 사이타마 근대미술관, 사이타마 / 센다이 미디어테크, 센다이, 일본<br>\n2002 프랑스 초청 한국사진가 특별전, 프랑스 La Galerie Photo, 몽펠리에<br>\n2001 삶의 시간 시간의 얼굴, 토탈 미술관, 서울<br>\n1999 리빙룸전, 보다 갤러리, 서울<br>\n1995 FACE, 한마당 갤러리, 서울<br>\n1994 도시 이야기, 후지 포토 살롱, 서울<br>\n<br>\n[레지던시]<br>\n2014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br>\n<br>\n[작품소장]<br>\n2024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20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br>\n2010 KT&G 상상마당, 서울<br>\n2009 송은 문화재단, 서울<br>\n2008 경기도 미술관, 안산<br>\n2008 국립 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br>\n2002 Joy of Giving Something(JGS) Collection, NY, USA<br>\n<br>\n[수상]<br>\n2024 제 22회 동강 사진상<br>\n2010 제 3회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 최종작가<br>\n2009 제 9회 송은 미술대상 우수상<br>\n2006 제 4회 강원 다큐멘타리 작가상<br>\n1999 제 3회 갤러리 보다 ‘녹음방초분기탱천’ 선정 초대<br>\n<br>\n[기금]<br>\n2020 경기문화재단, RE:SERCH 기금<br>\n2018 경기문화재단, 중견작가 작품집 지원 기금<br>\n2013 서울문화재단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9-2010 KT&G 상상마당 한국 사진가 지원프로그램(SKOPF)<br>\n2007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경기문화재단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7 강원 다큐멘타리 사업기금<br>\n2006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2004 한국 문예진흥기금 시각분야 개인전 지원 기금<br>\n<br>\n[출판]<br>\n2020 아버지의 시대로부터, 성남문화재단, 성남<br>\n2019 가족과 모성, 눈빛, 서울<br>\n2013 Translocating Women, 디웍스, 서울<br>\n2011 Twins, KT&G 상상마당, 서울\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