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geonhi.com/korean/신동필-비전향장기수-2000/
비전향장기수_01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1.jpg
신동필
비전향장기수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1.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8.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12/비전향장기수_016.jpg"], :captions=>["비전향장기수_01", "비전향장기수_02", "비전향장기수_03", "비전향장기수_04", "비전향장기수_05", "비전향장기수_06", "비전향장기수_07", "비전향장기수_08", "비전향장기수_09", "비전향장기수_010", "비전향장기수_011", "비전향장기수_012", "비전향장기수_013", "비전향장기수_014", "비전향장기수_015", "비전향장기수_016"], :gallery=>{:title=>"비전향 장기수, 2000",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이 사진은 분단의 아픈 역사를 자신의 온몸에 문신처럼 새기며 살아온 분들의 모습이다. 2000년 6월 12일, 김대중 대통령의 방북 회담 후, 나는 지방과 서울을 오가며 비전향 장기수 분들과 함께 생활을 하다시피 했고, 나이의 경계를 넘어선 건강한 몸과 따뜻하고 진솔한 그분들의 모습을 가까이서 보았다. 분단이 낳은 현실 속에서 짧게는 13년, 길게는 44년 동안 0.75평의 독방에서 젊은 시절을 다 보내고, 출소한 후에도 여전히 진정한 가족 구성원으로 받아들여지지 못한 채 살았던 비전향 장기수. 비 오듯 흐르는 땀과 등에 짊어진 배낭과 카메라의 무게보다는 역사 속에 자리 잡은 비전향 장기수의 모습이 무겁게 느껴지는 나날이었다. 나는 누가 더 옳고 그른가를 따지고 싶지 않았다. 누가 더 오래 동안 숨죽이고 아픈 세월을 견뎌왔는지도 묻고 싶지도 않았다. 지루한 장맛비가 매질하듯 쏟아지는 동안 함께 고민하였다. 아픈 시간을 견뎌 온 이들은 2001년 9월 2일 판문점을 통해 그리던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오늘 ‘비전향 장기수’ 63인의 기록 속에서 그분들을 다시 생각해본다.\n"}, :artist=>{:title=>"신동필, Shin Dong-Phil", :description=>"1965 강원도 원주 출생<br>\n<br>\n[학력]<br>\n2000 상명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 포토저널리즘 졸업<br>\n1998 나고야 일본디자이너 예술학교 사진공부<br>\n1990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09 재일민족학교, 인동문화센타<br>\n2005 사랑을 행동으로, 한전플라자 갤러리<br>\n2005 자유, 국립현대미술관 창동스튜디오 전시실<br>\n2002 또 다른 가족, 코닥포토살롱<br>\n2001 광부 이춘하 사진展, 02갤러리<br>\n1999 교토 40번지, 문화일보 갤러리 / 원주문화원 전시실<br>\n<br>\n[그룹전]<br>\n2005 원폭 60년. 고통의 기억과 연대 그리고 평화, 극회 의원회관로비, 국회도서관 전시장<br>\n2005 만남. 그 의미展, 어울림미술관<br>\n2004 RED HEAVEN, 국립현대미술관 창동스튜디오 전시실<br>\n2004 Neo Vessel AREUM 04-05 : 마이너리리티의 초상, 교토국제교류회관<br>\n2004 한국현대사진의조망 : 도큐멘터리 포토그라피 33인展,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br>\n2004 동강사진축展<br>\n2003 한국 일본 오키나와에 관한 기록과 기억, 사진가 10인의 눈, 오키나와 / 오사카 / 도쿄 / 서울<br>\n2003 한국현대사진의 조망2,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br>\n2003 동강사진축展<br>\n2002 동명정보대학교 교수展, 동명정보대학교 갤러리<br>\n2002 Again 2002, 경기문화재단, 문화일보 갤러리<br>\n2001 포토저널리즘 페스티벌: 비전향 장기수, 포토아이 갤러리<br>\n2001 징용그 후, 경기문화재단 개관 초대展, 경기문화재단 전시실<br>\n2000 (사)민족사진가협회 ‘2000 우리시대 오늘의 정신’展, 문예진흥회관 전시실<br>\n1998 일본예술디자이너학교 졸업전, 아이치현 미술관<br>\n등 30여회<br>\n<br>\n[수상 및 경력]<br>\n2004 제2회 강원다큐멘타리 사진 사업 공모, 강원도<br>\n2004 국립현대미술관 창동스튜디오 제3기 입주 작가<br>\n2004 ‘마이너리티의 초상’ 일본전시 사진부분 큐레이터, 아름<br>\n2003 한일사진가 ’10인의 눈’展 실행위원장, 한겨레신문사, 한전갤러리 공동주최<br>\n2002 문예진흥기금, 경기문화재단<br>\n2002 동강사진축전 실행위원, 동강사진마을 운영위원회<br>\n2001 사진비평상 작품부문, 타임스페이스, 스포츠조선<br>\n<br>\n[사진집]<br>\n2009 재일민족학교, 도서출판 사진과 글<br>\n2006 다큐멘터리 1985-2005, 도서출판 가나북스<br>\n2005 사랑으로 해동으로 : 홀트창립 50주년기념 사진집, 도서출판 사진과 글<br>\n2002 종군위안부할머니 사진집, 여성부 공저<br>\n2001 ‘우리 다시 꼬옥 만나요’ : 비전향 장기수 63인의 남녘생활, 도서출판 창<br>\n<br>\n[작품소장]<br>\n2004 동강사진박물관 10점 영구소장<br>\n2003 국가인권위원회<br>\n2002 대구대학교 특수학교\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