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geonhi.com/korean/박정민-경기광경展-2012-2019/
강화도, 풍차 펜션 _ Pigment Print. Facemount on Plexiglas _ 61x76cm _ 2013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강화도-풍차-펜션-_-Pigment-Print.-Facemount-on-Plexiglas-_-61x76cm-_-2013.jpg
박정민
경기광경展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강화도-풍차-펜션-_-Pigment-Print.-Facemount-on-Plexiglas-_-61x76cm-_-2013.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강화도-풍차-펜션-_-Pigment-Print.-Facemount-on-Plexiglas-_-61x76cm-_-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시화호-우음도-_-Pigment-Print.-Facemount-on-Plexiglas-_-53x228cm-_-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시화호-형도-_-Pigment-Print.-Facemount-on-Plexiglas-_-61x76cm-_-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시흥-오이도에서-송도-신도시-_-Pigment-Print.-Facemount-on-Plexiglas-_-42x127cm-_-20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시흥-정왕동-_-Digital-C-Print-_-가변-크기-_-201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오산-독산성에서-동탄-신도시-_-Pigment-Print.-Facemount-on-Plexiglas-_-42x127cm-_-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오산-열두-개의-푸른-파이프-_-Digital-C-Print-_-21x30cm-x12-_-201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의왕-양회기지-_-Pigment-Print.-Facemount-on-Plexiglas-_-51x76cm-_-201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의왕-오봉역-_-Pigment-Print.-Facemount-on-Plexiglas-_-51x76cm-_-201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화성-매향리-_-Pigment-Print.-Facemount-on-Plexiglas-_-51x76cm-_-2018.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21/04/박정민-_-경기광경展-화성-화옹-지구-_-Pigment-Print.-Facemount-on-Plexiglas-_-61x76cm-_-2018.jpg"], :captions=>["강화도, 풍차 펜션 _ Pigment Print. Facemount on Plexiglas _ 61x76cm _ 2013", "시화호, 우음도 _ Pigment Print. Facemount on Plexiglas _ 53x228cm _ 2014", "시화호, 형도 _ Pigment Print. Facemount on Plexiglas _ 61x76cm _ 2014", "시흥 오이도에서, 송도 신도시 _ Pigment Print. Facemount on Plexiglas _ 42x127cm _ 2012", "시흥, 정왕동 _ Digital C-Print _ 가변 크기 _ 2019", "오산 독산성에서, 동탄 신도시 _ Pigment Print. Facemount on Plexiglas _ 42x127cm _ 2015", "오산, 열두 개의 푸른 파이프 _ Digital C-Print _ 21x30cm (x12) _ 2016", "의왕, 양회기지 _ Pigment Print. Facemount on Plexiglas _ 51x76cm _ 2017", "의왕, 오봉역 _ Pigment Print. Facemount on Plexiglas _ 51x76cm _ 2017", "화성, 매향리 _ Pigment Print. Facemount on Plexiglas _ 51x76cm _ 2018", "화성, 화옹 지구 _ Pigment Print. Facemount on Plexiglas _ 61x76cm _ 2018"], :gallery=>{:title=>"경기광경展, 2012-2019",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경기 京畿 당나라 때 도성(京)과 그 주변 500리(畿)를 통틀어 일컫던 데서 온 말. 점차 수도 인근이라는 의미로 변하였다. ‘畿’자는 경계, 언저리를 뜻하는 幾와 곡창지대라는 의미의 田이 합쳐진 것.<br>\n<br>\n경기도 京畿道 수도권 빼기 서울/인천. 면적 10.185㎢ (전국토의 10%). 인구 1342만 (전국민의 25%). 참고로 한국의 수도권은 미 브루킹스 연구소 선정 세계 4위의 광역경제권.<br>\n<br>\n여기 와서 산 지 만 10년이 되었다. 시외, 근교, 외곽이라는 인식은 지난날의 것. 아무도 분당이나 광교를 그런 식으로 부르지 않는다. 그리하여 여기에도 다시 중심과 변두리의 경계가 생겨났다.<br>\n<br>\n경기도의 풍경은 그래서 두 가지로 나뉜다: 개발된 곳과 개발될 곳. 포화 단계에 이른 서울이 끓어넘친 자국인양 그것은 얼룩덜룩하다. 저 외진 곳 어디에도 중장비 노란 고함을 피할 길이 없는가 하면 새댁같은 신도시마다엔 따다 붙인 흔적이 도화색이다. 이런 두 부류 장면을 씨줄과 날줄 삼아 직조해놓으면 경기도 풍경이 된다.<br>\n<br>\n그것은 꽤나 야누스적인 모양이어서 상반된 얼굴에도 불구하고 마음을 담아 날리는 화살표만큼은 오롯이 한복판 꼭지점을 향한다. 토막토막 분절된 채 밀고 잡아당기는 길항의 시퀀스 틈으로 파찰음이 날개를 친다.<br>\n<br>\n‘사는 곳을 천천히, 차곡차곡 마주해갈 것’은 사진가의 전공필수. 하물며 당대의 핫플임에랴. 4대강 사업이며 관광홍보 조형물을 찾아 전국을 뒤지는 동안 정작 비등점에 가까워가던 곳은 내 주변이었다는 사실을 외면하지 못할 즈음에야 나는 비로소 이곳을 직시할 수 있게 되었다.<br>\n<br>\n수원 딥틱에 이은 두 번째 경기도 작업의 연(緣)이자 변(辯)이다. 서울을 대신해 변화의 갈급증에 시달리는 곳, 생겨난 만큼 사라져간 것들을 기억할 여유조차 호사스런 이곳에서 나는 간신히 눈을 비비고 물끄러미 바라볼 마음을 먹는다.\n"}, :artist=>{:title=>"박정민, Park Jungmin", :description=>"[학력]<br>\n2014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사진영상미디어학과 졸업<br>\n1997 한신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졸업<br>\n1993 한신대학교 철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21 경기광경展, 행궁길갤러리, 수원<br>\n2015 하나를 위한 이중주, 대안공간 눈, 수원<br>\n2014 Characterized, 더 케이 갤러리, 서울 & 스페이스 1326, 창원<br>\n2014 Down by the River, 카페 갤러리 원, 서울 & 도어북스, 대전<br>\n2013 4대강, 4년간, 상명 갤러리, 서울 & 갤러리 iT, 서울<br>\n2011 Interscape, 갤러리 룩스, 서울<br>\n<br>\n[그룹전]<br>\n2020 제7회 수원국제사진축제, 수원<br>\n2020 경계의 바다, 사진공간 움, 수원<br>\n2018 경기스케이프, 예술공간 봄, 수원<br>\n2017 수원 오산 의왕,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6 길 위의 오산, 꿈두레도서관 제1갤러리 & 오매 갤러리, 오산<br>\n2016 제1회 수원사진단체연합 화성사진전, 수원천변 일대, 수원<br>\n2015 행복에세이, 예술공간 봄, 수원<br>\n2015 제2회 수원화성국제사진축제, 수원<br>\n2015 전주국제사진제 2015, 전주<br>\n2015 신풍동에서의 꿈을 기록하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4 Humans of Cities, 수원화성홍보관, 수원<br>\n2014 수원 화성을 걷고 기록하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4 6번 항로 – 출발점,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3 기억 – 국제사진페스티벌, 주중 한국문화원 전시실, 중국 베이징<br>\n2012 포토 페어 2012, 코엑스홀, 서울<br>\n2011 Help Earth – 국제사진페스티벌, 갤러리 이앙, 서울<br>\n2011 Today Visual Journalism 2011, 상명 갤러리, 서울 & KBS 시청자 갤러리, 서울<br>\n2010 판타스마고리안, 갤러리 브레송, 서울<br>\n2010 경천대 시민사진전, 나무 갤러리, 서울<br>\n2009 공존을 꿈꾸며, 공간 루, 서울<br>\n2008 2008 인권사진전, 시청역사, 서울<br>\n2008 지역주거공동체 ‘평지’ 거리사진전, 보문동, 서울<br>\n2007 문전성시, 서울메트로미술관, 서울<br>\n2007 우리 동네 사진페스티벌,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 서울<br>\n2006 이웃_하다, EBS 스페이스, 서울<br>\n<br>\n[수상 및 경력]<br>\n2020 사진가 그룹 ‘다큐경기’ 회장<br>\n2015 온빛 다큐멘터리 기관지 편집위원<br>\n2015 대안공간 눈 전시지원 프로그램 선정, 수원<br>\n2014 행궁동 레지던시, 수원<br>\n<br>\n[출판]<br>\n2014 포토 노트 Vol.1, 온빛 다큐멘터리<br>\n<br>\n[작품소장]<br>\n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n"}}
http://geonhi.com/korean/15353/
하나를 위한 이중주 - 동북노대/수변쉼터 I. Pigment Print. 40x122cm. 2014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5/11/하나를-위한-이중주-동북노대/수변쉼터-I.-Pigment-Print.-40x122cm.-2014.jpg
박정민
하나를 위한 이중주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5/11/하나를-위한-이중주-동북노대/수변쉼터-I.-Pigment-Print.-40x122cm.-201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5/11/하나를-위한-이중주-동북노대/수변쉼터-I.-Pigment-Print.-40x122cm.-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5/11/하나를-위한-이중주-동북포루/어번-레비.-Pigment-Print.-60x82cm.-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5/11/하나를-위한-이중주-동일치/어번-레비.-Pigment-Print.-40x122cm.-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5/11/하나를-위한-이중주-동일포루/정다운-다리.-Pigment-Print.-40x122cm.-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5/11/하나를-위한-이중주-방화수류정-일대의-성벽/수변테라스.-Pigment-Print.-40x122cm.-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5/11/하나를-위한-이중주-방화수류정과-용연/신대호수.-Pigment-Print.-40x122cm.-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5/11/하나를-위한-이중주-봉돈/녹교.-Pigment-Print.-40x122cm.-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5/11/하나를-위한-이중주-용연/향긋한-꽃섬.-Pigment-Print.-40x122cm.-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5/11/하나를-위한-이중주-장안문/신비한-물너미.-Pigment-Print.-40x122cm.-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5/11/하나를-위한-이중주-화서문과-서북공심돈/인공암벽장.-Pigment-Print.-38x137cm.-2015.jpg"], :captions=>["하나를 위한 이중주 - 동북노대/수변쉼터 I. Pigment Print. 40x122cm. 2014", "하나를 위한 이중주 - 동북포루/어번 레비. Pigment Print. 60x82cm. 2015", "하나를 위한 이중주 - 동일치/어번 레비. Pigment Print. 40x122cm. 2015", "하나를 위한 이중주 - 동일포루/정다운 다리. Pigment Print. 40x122cm. 2015", "하나를 위한 이중주 - 방화수류정 일대의 성벽/수변테라스. Pigment Print. 40x122cm. 2014", "하나를 위한 이중주 - 방화수류정과 용연/신대호수. Pigment Print. 40x122cm. 2013", "하나를 위한 이중주 - 봉돈/녹교. Pigment Print. 40x122cm. 2015", "하나를 위한 이중주 - 용연/향긋한 꽃섬. Pigment Print. 40x122cm. 2015", "하나를 위한 이중주 - 장안문/신비한 물너미. Pigment Print. 40x122cm. 2014", "하나를 위한 이중주 - 화서문과 서북공심돈/인공암벽장. Pigment Print. 38x137cm. 2015"], :gallery=>{:title=>"하나를 위한 이중주, 2013-2015",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219년 동안 한 도시의 아이콘 역할을 도맡아온 수원 화성에 대구(對句)가 하나 생겼으니 이제 갓 두 돌이 된 광교호수공원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라는 드높은 지위에 비할 바 아닐지나 그 역시 주민들의 사랑에 더해 2014 대한민국 경관대상이라는 견장까지 달았다. 여기에 연원이라 할 원천저수지와 신대저수지가 1929년 조성 이후 지역의 대표적인 유원지로 꼽혀왔다는 전사(前史)까지 들추어본다면 둘 사이의 비교가 그리 무리만도 아닐 것이다. 뒷받침이 되어줄 만한 시각체험도 매일같이 펼쳐진다. 판이한 배경과 성격 따위 아랑곳없이 ‘트랙’을 돌기 바쁜 이용객들의 모습을 번갈아 지켜보다 나는 좀 더 적극적으로 둘을 짝지어줘야겠다고 마음먹게 되었던 것이다. 그것은 짐짓 넌지시 던져보는 물음인 동시에 꼬깃꼬깃한 사연들로 덧댄 개인적 헌정이기도 했다.<br>\n하나씩 매듭지어나간 형상의 유사성들은 따라서 설계자의 의도나 시점의 우연적 중첩을 넘어 나의 바램에 가장 큰 원천이 있었을 것이다. 누군가는 결코 엮이고 싶지 않을는지도 모르는, 그래서 설마하니 드러날 리 없다는 듯 은근히 전개되는 둘 사이에 담 쌓기 운동이 애써 복개하고자 하는 그 질기고 해묵은 관계에 대한 바램 말이다.이 닮은꼴들로부터 차이점과 공통점에 관한 상상과 담론들이 촉발되기를, 나아가 행정구역상으로는 하나이면서도 내재적으로는 결코 단일하지 못한 수원이라는─그리고 비슷한 처지에 놓여있는 다른 많은─도시를 가로지르는 구획과 배제의 담벼락에 작은 숨구멍이 틔워지기를 희망한다.<br>\n두 이미지의 재현 방법을 최대한 달리 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나는 낡고 오래된 역사유적으로, 또 하나는 갓 지어진 신도시의 조경시설로 여기기 쉽지만 둘 다 속살은 물론 겉옷조차 그리 얇은 홑겹이 아니다. 따라서 이것은 기꺼이 패자가 되기를 자처하는, 그래야만 목적이 달성되는 너스레 섞인 게임으로의 초대다. 두 공간의 교합지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환기시키고자 나는 역설의 시각언어를 택했다.\n"}, :artist=>{:title=>"박정민, Park Jungmin", :description=>"[학력]<br>\n2014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사진영상미디어학과 졸업<br>\n1997 한신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졸업<br>\n1993 한신대학교 철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21 경기광경展, 행궁길갤러리, 수원<br>\n2015 하나를 위한 이중주, 대안공간 눈, 수원<br>\n2014 Characterized, 더 케이 갤러리, 서울 & 스페이스 1326, 창원<br>\n2014 Down by the River, 카페 갤러리 원, 서울 & 도어북스, 대전<br>\n2013 4대강, 4년간, 상명 갤러리, 서울 & 갤러리 iT, 서울<br>\n2011 Interscape, 갤러리 룩스, 서울<br>\n<br>\n[그룹전]<br>\n2020 제7회 수원국제사진축제, 수원<br>\n2020 경계의 바다, 사진공간 움, 수원<br>\n2018 경기스케이프, 예술공간 봄, 수원<br>\n2017 수원 오산 의왕,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6 길 위의 오산, 꿈두레도서관 제1갤러리 & 오매 갤러리, 오산<br>\n2016 제1회 수원사진단체연합 화성사진전, 수원천변 일대, 수원<br>\n2015 행복에세이, 예술공간 봄, 수원<br>\n2015 제2회 수원화성국제사진축제, 수원<br>\n2015 전주국제사진제 2015, 전주<br>\n2015 신풍동에서의 꿈을 기록하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4 Humans of Cities, 수원화성홍보관, 수원<br>\n2014 수원 화성을 걷고 기록하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4 6번 항로 – 출발점,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3 기억 – 국제사진페스티벌, 주중 한국문화원 전시실, 중국 베이징<br>\n2012 포토 페어 2012, 코엑스홀, 서울<br>\n2011 Help Earth – 국제사진페스티벌, 갤러리 이앙, 서울<br>\n2011 Today Visual Journalism 2011, 상명 갤러리, 서울 & KBS 시청자 갤러리, 서울<br>\n2010 판타스마고리안, 갤러리 브레송, 서울<br>\n2010 경천대 시민사진전, 나무 갤러리, 서울<br>\n2009 공존을 꿈꾸며, 공간 루, 서울<br>\n2008 2008 인권사진전, 시청역사, 서울<br>\n2008 지역주거공동체 ‘평지’ 거리사진전, 보문동, 서울<br>\n2007 문전성시, 서울메트로미술관, 서울<br>\n2007 우리 동네 사진페스티벌,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 서울<br>\n2006 이웃_하다, EBS 스페이스, 서울<br>\n<br>\n[수상 및 경력]<br>\n2020 사진가 그룹 ‘다큐경기’ 회장<br>\n2015 온빛 다큐멘터리 기관지 편집위원<br>\n2015 대안공간 눈 전시지원 프로그램 선정, 수원<br>\n2014 행궁동 레지던시, 수원<br>\n<br>\n[출판]<br>\n2014 포토 노트 Vol.1, 온빛 다큐멘터리<br>\n<br>\n[작품소장]<br>\n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n"}}
http://geonhi.com/korean/박정민-characterized-2011-2014/
01_괴산, 임꺽정. Pigment Print. 88x110cm & 32x110cm. 2011/2013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_괴산-임꺽정.-Pigment-Print.-88x110cm-32x110cm.-2011/2013.jpg
박정민
Characterized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_괴산-임꺽정.-Pigment-Print.-88x110cm-32x110cm.-2011/2013.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EB%B0%95%EC%A0%95%EB%AF%BC-Characterized-%EC%86%A1%EC%88%98%EC%A0%95.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_괴산-임꺽정.-Pigment-Print.-88x110cm-32x110cm.-2011/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2_구례-산수유.-Pigment-Print.-88x110cm-32x110cm.-2012/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3_금산-모자-인삼.-Pigment-Print.-110x88cm-30x88cm.-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4_남원-미꾸라지.-Pigment-Print.-110x88cm-30x88cm.-2012/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5_단양-온달과-평강.-Pigment-Print.-110x88cm-30x88cm.-20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6_사천-토끼와-거북이.-Pigment-Print.-88x110cm-32x110cm.-20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7_속초-해오미.-Pigment-Print.-110x88cm-30x88cm.-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8_영양-반딧불이.-Pigment-Print.-110x88cm-30x88cm.-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9_인제-수달이.-Pigment-Print.-88x110cm-32x110cm.-2012/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0_인천-월디.-Pigment-Print.-88x110cm-32x110cm.-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1_정선-금깨비와-은깨비.-Pigment-Print.-88x110cm-32x110cm.-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2_제천-박달과-금봉.-Pigment-Print.-88x110cm-32x110cm.-2011/20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3_진천-호돌이.-Pigment-Print.-88x110cm-32x110cm.-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4_청양-푸르미와-발그미.-Pigment-Print.-88x110cm-32x110cm.-2012/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5_충북-열여섯-쌍의-고드미와-바르미.-Pigment-Print.-각-20x20cm.-2012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6_충주-복숭아.-Pigment-Print.-88x110cm-32x110cm.-2012/2013.jpg"], :captions=>["01_괴산, 임꺽정. Pigment Print. 88x110cm & 32x110cm. 2011/2013", "02_구례, 산수유. Pigment Print. 88x110cm & 32x110cm. 2012/2013", "03_금산, 모자 인삼. Pigment Print. 110x88cm & 30x88cm. 2013", "04_남원, 미꾸라지. Pigment Print. 110x88cm & 30x88cm. 2012/2013", "05_단양, 온달과 평강. Pigment Print. 110x88cm & 30x88cm. 2012", "06_사천, 토끼와 거북이. Pigment Print. 88x110cm & 32x110cm. 2012", "07_속초, 해오미. Pigment Print. 110x88cm & 30x88cm. 2013", "08_영양, 반딧불이. Pigment Print. 110x88cm & 30x88cm. 2013", "09_인제, 수달이. Pigment Print. 88x110cm & 32x110cm. 2012/2013", "010_인천, 월디. Pigment Print. 88x110cm & 32x110cm. 2013", "011_정선, 금깨비와 은깨비. Pigment Print. 88x110cm & 32x110cm. 2013", "012_제천, 박달과 금봉. Pigment Print. 88x110cm & 32x110cm. 2011/2012", "013_진천, 호돌이. Pigment Print. 88x110cm & 32x110cm. 2014", "014_청양, 푸르미와 발그미. Pigment Print. 88x110cm & 32x110cm. 2012/2013", "015_충북, 열여섯 쌍의 고드미와 바르미. Pigment Print. 각 20x20cm. 2012~2013", "016_충주, 복숭아. Pigment Print. 88x110cm & 32x110cm. 2012/2013"], :gallery=>{:title=>"Characterized, 2011-2014",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어느새 경치가 달라졌다. 그것은 주 5일제, 지방자치제, 균형발전과 같은 명령어들로 내려앉아 대도시를 제외한 온 나라를 테마파크의 채도로 물들여갔다. 그전까지 도시인에게 시골은 전원일기와 재래시장을 통해 간접적이되 구체적으로 존재해왔으며 상대편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제 둘 사이의 관계는 시장 좌판에서 정보화마을 홈페이지로, 브라운관 속의 불야성에서 민자도로의 헤드라이트 행렬로, 요컨대 더 직접적이되 오히려 피상적인 뭔가로 대체되었다. 그 결과 우리는 안 내려고 애쓰느라 갓 상경한 티가 더 나는 ‘촌놈’ 같아진 시골 풍경과 아웃도어 용품으로 돌돌 말고 원정 온 듯 휘젓고 다니는 ‘도시것’스러운 생태공원 사이를 오가게 되었다, 내지는 오도 가도 못하게 되었다.<br>\n<br>\n이번 차례는 시골의 역습이다. 그리고 새로운 세기를 맞아 한껏 고무된 중앙정부가 이를 위해 내어준 책략이 하나 있으니 이름하여 캐릭터 산업 육성책이라 한다. 시군별로 빠짐없이 우직하기도 한 지자체들은 쥐어짜서라도 무엇인가 특화(characterize)해내기를 마다지 않았고, 유달리 충직한 그 일군은 삼면 입체로 만들어 세우기까지 했다. 이런 연유로 도심의 판타스마고리아에서 밀려난 듯한 형상들이 전국 각지에서 신판 천하대장군을 자처하기에 이르렀으니, 구관의 역할이 들이지 말 것을 가려내는 데 있었다면 이들은 가리지 말고 들일 것을 오늘날의 미덕으로 삼고 있다. 하나같이 엄지를 치켜세우거나 두 팔을 벌린 동작들은 교육이라도 받고 온 모양새다.<br>\n결국 뭔가 특화되긴 했다. 그러나 고장마다의 역사며 특산물 따위 애초 의도했던 소소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도농 간 욕망의 접합 지점으로서, 오직 더 많은 물질적 풍요라는 한국적 꼭짓점을 손 모아 가리킴으로써 이들은 아무런 특징 없는 특화라는 한국적 특색의 특성화에 성공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따라서 저 알록달록한 피조물들이 우리 자신의 미메시스 자격으로 서있는 것임을 알아채어가는 곤혹의 관찰기요 자괴의 불망기다. 그리고 이 과정 내내 둘로 나뉘어 티격태격하는 시선의 이중성을 굳이 복개하려 들지 않았다―보이고자 꾸민 캐릭터 조형물 자체에 대한 꾸며지고자 의도한 모습대로의 관찰이 하나, 그리고 도무지 꾸며질 가망 없이 주변을 나뒹구는 그들의 고향, 이 안쓰러운 거처에 대한 성찰이 다른 하나.<br>\n나뉜 시선은 이미지화된 욕망이라는 우리의 주인공과 등장 배경 사이의 간극을 펼쳐 보임과 동시에 포장하기와 파헤치기, 우러르기와 거리 두기, 미화의 유구한 풍습과 그의 집요한 도전자를 대질시킴으로써 사진이라는 미디엄이 구현해온 두 갈래 길 사이의 먼 차별성과 질긴 연관성을 상기하고자 함이다. 보여주고 싶은 것과 보고자 하는 것, 보이기 싫은 것과 볼 마음 없는 것들의 숨바꼭질 흙먼지; 뒤로 우리가 알던 시골은 간데없다.<br>\n<br>\narticle<br>\n<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EB%B0%95%EC%A0%95%EB%AF%BC-Characterized-%EC%86%A1%EC%88%98%EC%A0%95.pdf\">[송수정]</a>\n"}, :artist=>{:title=>"박정민, Park Jungmin", :description=>"[학력]<br>\n2014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사진영상미디어학과 졸업<br>\n1997 한신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졸업<br>\n1993 한신대학교 철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21 경기광경展, 행궁길갤러리, 수원<br>\n2015 하나를 위한 이중주, 대안공간 눈, 수원<br>\n2014 Characterized, 더 케이 갤러리, 서울 & 스페이스 1326, 창원<br>\n2014 Down by the River, 카페 갤러리 원, 서울 & 도어북스, 대전<br>\n2013 4대강, 4년간, 상명 갤러리, 서울 & 갤러리 iT, 서울<br>\n2011 Interscape, 갤러리 룩스, 서울<br>\n<br>\n[그룹전]<br>\n2020 제7회 수원국제사진축제, 수원<br>\n2020 경계의 바다, 사진공간 움, 수원<br>\n2018 경기스케이프, 예술공간 봄, 수원<br>\n2017 수원 오산 의왕,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6 길 위의 오산, 꿈두레도서관 제1갤러리 & 오매 갤러리, 오산<br>\n2016 제1회 수원사진단체연합 화성사진전, 수원천변 일대, 수원<br>\n2015 행복에세이, 예술공간 봄, 수원<br>\n2015 제2회 수원화성국제사진축제, 수원<br>\n2015 전주국제사진제 2015, 전주<br>\n2015 신풍동에서의 꿈을 기록하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4 Humans of Cities, 수원화성홍보관, 수원<br>\n2014 수원 화성을 걷고 기록하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4 6번 항로 – 출발점,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3 기억 – 국제사진페스티벌, 주중 한국문화원 전시실, 중국 베이징<br>\n2012 포토 페어 2012, 코엑스홀, 서울<br>\n2011 Help Earth – 국제사진페스티벌, 갤러리 이앙, 서울<br>\n2011 Today Visual Journalism 2011, 상명 갤러리, 서울 & KBS 시청자 갤러리, 서울<br>\n2010 판타스마고리안, 갤러리 브레송, 서울<br>\n2010 경천대 시민사진전, 나무 갤러리, 서울<br>\n2009 공존을 꿈꾸며, 공간 루, 서울<br>\n2008 2008 인권사진전, 시청역사, 서울<br>\n2008 지역주거공동체 ‘평지’ 거리사진전, 보문동, 서울<br>\n2007 문전성시, 서울메트로미술관, 서울<br>\n2007 우리 동네 사진페스티벌,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 서울<br>\n2006 이웃_하다, EBS 스페이스, 서울<br>\n<br>\n[수상 및 경력]<br>\n2020 사진가 그룹 ‘다큐경기’ 회장<br>\n2015 온빛 다큐멘터리 기관지 편집위원<br>\n2015 대안공간 눈 전시지원 프로그램 선정, 수원<br>\n2014 행궁동 레지던시, 수원<br>\n<br>\n[출판]<br>\n2014 포토 노트 Vol.1, 온빛 다큐멘터리<br>\n<br>\n[작품소장]<br>\n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n"}}
http://geonhi.com/korean/박정민-한강에서의-르네상스-2010-2013/
한강에서의 르네상스_Renaissance in Hangang_동작대교, 세빛둥둥섬 공사현장_Construction Site of Floating Island, Dongjak Bridge_Pigment Print_55x150cm_2010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한강에서의-르네상스_Renaissance-in-Hangang_동작대교-세빛둥둥섬-공사현장_Construction-Site-of-Floating-Island-Dongjak-Bridge_Pigment-Print_55x150cm_2010.jpg
박정민
한강에서의 르네상스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한강에서의-르네상스_Renaissance-in-Hangang_동작대교-세빛둥둥섬-공사현장_Construction-Site-of-Floating-Island-Dongjak-Bridge_Pigment-Print_55x150cm_2010.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한강에서의-르네상스_Renaissance-in-Hangang_동작대교-세빛둥둥섬-공사현장_Construction-Site-of-Floating-Island-Dongjak-Bridge_Pigment-Print_55x150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한강에서의-르네상스_Renaissance-in-Hangang_뚝섬유원지_Ttukseom-Resort_Pigment-Print_89x71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한강에서의-르네상스_Renaissance-in-Hangang_세빛둥둥섬_Floating-Island_Pigment-Print_71x89cm_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한강에서의-르네상스_Renaissance-in-Hangang_양화대교_Yanghwa-Bridge_Pigment-Print_89x71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한강에서의-르네상스_Renaissance-in-Hangang_잠실대교_Jamsil-Bridge_Pigment-Print_71x89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한강에서의-르네상스_Renaissance-in-Hangang_한강대교_Hangang-Bridge_Pigment-Print_71x89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한강에서의-르네상스_Renaissance-in-Hangang_한남대교-한강수상택시_Water-Taxi-Hannam-Bridge_Pigment-Print_89x71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한강에서의-르네상스_Renaissance-in-Hangang_한남대교_Hannam-Bridge_Pigment-Print_89x71cm_2010.jpg"], :captions=>["한강에서의 르네상스_Renaissance in Hangang_동작대교, 세빛둥둥섬 공사현장_Construction Site of Floating Island, Dongjak Bridge_Pigment Print_55x150cm_2010", "한강에서의 르네상스_Renaissance in Hangang_뚝섬유원지_Ttukseom Resort_Pigment Print_89x71cm_2010", "한강에서의 르네상스_Renaissance in Hangang_세빛둥둥섬_Floating Island_Pigment Print_71x89cm_2013", "한강에서의 르네상스_Renaissance in Hangang_양화대교_Yanghwa Bridge_Pigment Print_89x71cm_2010", "한강에서의 르네상스_Renaissance in Hangang_잠실대교_Jamsil Bridge_Pigment Print_71x89cm_2010", "한강에서의 르네상스_Renaissance in Hangang_한강대교_Hangang Bridge_Pigment Print_71x89cm_2010", "한강에서의 르네상스_Renaissance in Hangang_한남대교, 한강수상택시_Water Taxi, Hannam Bridge_Pigment Print_89x71cm_2010", "한강에서의 르네상스_Renaissance in Hangang_한남대교_Hannam Bridge_Pigment Print_89x71cm_2010"], :gallery=>{:title=>"한강에서의 르네상스, 2010-2013",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이제 우리의 한강이 새롭게 태어납니다. ‘한강르네상스’라는 새 옷을 갈아입고서 편안하고 아름다운 내일을 향해 흐르고자 합니다. 한강르네상스가 완성할 한강의 새 모습을 기대하세요. 2030년 완공을 목표로 2007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한강르네상스는 진정한 자연성 회복을 통해 자연과 사람, 사람과 사람의 소통을 실현할 것입니다.<br>\n우리의 한강은 야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합니다. 아름다운 야경은 한강이 지닌 장점 중 하나죠. 그래서 강 안팎을 아우르는 한강 다리와 아파트, 지구별 특성이 반영된 한강공원의 야경을 조화롭게 연출함으로써 한강의 장점을 극대화할 예정입니다. 한강은 우리 선조들의 풍류와 애환이 고스란히 담긴 상징적 장소입니다. 그래서 한강의 모습 안에서 서울, 나아가 대한민국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엿볼 수 있죠.”<br>\n– 서울특별시 한강 사업본부 홍보물 ‘한강 르네상스’에서<br>\n<br>\n물론이다. 공간은 그곳에 사는 사람의 모습을 닮게 되어있다. 사진으로밖에 찾아볼 길 없는 과거 한강의 모습이 기억 속에서밖에 남아있지 않은 우리의 과거를 지시하는 지표 index일 것인 만큼이나, 지금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고 있는 서울 한강의 모습은 그러한 우리가 거의 실시간으로 새겨 넣고 있는 흔적 trace일 것이다. 정식 명칭이 ‘한강교량 전망쉼터’인 다리 위의 구조물들은 모두 7개로, 2009년 7월부터 2010년 봄 사이에 만들어졌다. 한때 플로팅 아일랜드로도 불렸던 반포의 ‘세빛둥둥섬’은 2010년 6월 초에 진수가 완료되고도 정상운영은 마냥 오리무중이다. 한강 르네상스 사업과 연계되어 진행되었던 ‘경인 아라뱃길’은 개통이 완료되어 약간의 자전거와 보다 약간의 유람선이 지나다니고 있는 한편, ‘한강 예술섬’을 비롯한 여타의 사업은 하나둘 백지화되어갔다. 세류의 변화에 따라 향방을 달리해온 이 프로젝트가 언제 어떻게 또 물줄기를 바꿀지, 사실은 아무도 모른다. 그리고 이 사진들의 시의성이 이렇게 여러 해 동안 유지될지 역시, 찍을 때의 나도 실은 몰랐다. 지금도 야경 속의 세빛둥둥섬은 블랙홀같이 으스스하다.<br>\n<br>\narticle<br>\n포스트모더니즘이 철 지난 유행처럼 되고 나서야 한국은 후기 산업사회가 되었다. 과연 한국다운 전개다. 그 앞과 뒤 사이에 어떤 척도가 가로놓여있든, 거기에 환호하든 무관심하든 우리가 이미 도달해버렸다는 사실만은 분명해 보이는 까닭은, 자축이라도 하듯 양귀비처럼 피어난 이 도시의 황홀 때문일지도 모른다.<br>\n발터 벤야민의 80년 전 레퍼토리는 이곳에 더 이상 잘 들어맞지 않는다. 대략 50년쯤 시대를 앞서 나갔던 이 천재는 근현대의 도시를 어지럽고 휘황찬란하게 돌아가는 판타스 마고리아(Phantasmagoria; 요술환등, 주마등)에 비유한 바 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더 이상 주마등 안을 들여다보지 못한다. 실은 어지럽게 돌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조차 못한다. 이미 그 안에 꼼짝할 수 없이 포섭되어 있는 탓이다. 마치 지구에서 나고 자란 모든 생물이 자전을 의식하지 못하듯이. 여기 우리는 판타스 마고리아의 구성요소, 그것으로부터 떠난 삶을 상상하기도 힘겨운 판타스 마고리안으로 살아가고 있다.<br>\n사진이 이를 극복할 수 있는가. 변화시키거나 대안을 제시하거나 아니면 제대로 비판이라도 해볼 수 있는가. 아니, 단지 응시할 수 있을 뿐이다. 사진은 한때 너무 많이 보여줌으로써 아무것도 못 보게 만드는 시대의 첨병이었으나, 이제는 영상에 밀리고 플래시 애니메이션에 뒤처지는 고문관이 되었다. 이 구닥다리를 기꺼이 집어 들고, 우리는 찬찬히 들여다보는 능력의 회복을 의도한다. 우리가 지금 발 디딘 곳이 어디인지, 어떤 모습으로 살아있는지, 무엇이 되어가고 있는지 잠시나마 가만히 살펴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 그러고 보면 사진만큼 응시하기 좋은 것도 없다.\n"}, :artist=>{:title=>"박정민, Park Jungmin", :description=>"[학력]<br>\n2014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사진영상미디어학과 졸업<br>\n1997 한신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졸업<br>\n1993 한신대학교 철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21 경기광경展, 행궁길갤러리, 수원<br>\n2015 하나를 위한 이중주, 대안공간 눈, 수원<br>\n2014 Characterized, 더 케이 갤러리, 서울 & 스페이스 1326, 창원<br>\n2014 Down by the River, 카페 갤러리 원, 서울 & 도어북스, 대전<br>\n2013 4대강, 4년간, 상명 갤러리, 서울 & 갤러리 iT, 서울<br>\n2011 Interscape, 갤러리 룩스, 서울<br>\n<br>\n[그룹전]<br>\n2020 제7회 수원국제사진축제, 수원<br>\n2020 경계의 바다, 사진공간 움, 수원<br>\n2018 경기스케이프, 예술공간 봄, 수원<br>\n2017 수원 오산 의왕,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6 길 위의 오산, 꿈두레도서관 제1갤러리 & 오매 갤러리, 오산<br>\n2016 제1회 수원사진단체연합 화성사진전, 수원천변 일대, 수원<br>\n2015 행복에세이, 예술공간 봄, 수원<br>\n2015 제2회 수원화성국제사진축제, 수원<br>\n2015 전주국제사진제 2015, 전주<br>\n2015 신풍동에서의 꿈을 기록하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4 Humans of Cities, 수원화성홍보관, 수원<br>\n2014 수원 화성을 걷고 기록하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4 6번 항로 – 출발점,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3 기억 – 국제사진페스티벌, 주중 한국문화원 전시실, 중국 베이징<br>\n2012 포토 페어 2012, 코엑스홀, 서울<br>\n2011 Help Earth – 국제사진페스티벌, 갤러리 이앙, 서울<br>\n2011 Today Visual Journalism 2011, 상명 갤러리, 서울 & KBS 시청자 갤러리, 서울<br>\n2010 판타스마고리안, 갤러리 브레송, 서울<br>\n2010 경천대 시민사진전, 나무 갤러리, 서울<br>\n2009 공존을 꿈꾸며, 공간 루, 서울<br>\n2008 2008 인권사진전, 시청역사, 서울<br>\n2008 지역주거공동체 ‘평지’ 거리사진전, 보문동, 서울<br>\n2007 문전성시, 서울메트로미술관, 서울<br>\n2007 우리 동네 사진페스티벌,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 서울<br>\n2006 이웃_하다, EBS 스페이스, 서울<br>\n<br>\n[수상 및 경력]<br>\n2020 사진가 그룹 ‘다큐경기’ 회장<br>\n2015 온빛 다큐멘터리 기관지 편집위원<br>\n2015 대안공간 눈 전시지원 프로그램 선정, 수원<br>\n2014 행궁동 레지던시, 수원<br>\n<br>\n[출판]<br>\n2014 포토 노트 Vol.1, 온빛 다큐멘터리<br>\n<br>\n[작품소장]<br>\n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n"}}
http://geonhi.com/korean/박정민-down-by-the-river-2010-2013/
Down by the River_공주, 곰나루_Gomnaru, Gongju_Pigment Print_105x70cm_2011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공주-곰나루_Gomnaru-Gongju_Pigment-Print_105x70cm_2011.jpg
박정민
Down by the River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공주-곰나루_Gomnaru-Gongju_Pigment-Print_105x70cm_2011.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공주-곰나루_Gomnaru-Gongju_Pigment-Print_105x70cm_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부여-금강_Geumgang-Buyeo_Pigment-Print_100x150cm_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상주-준설토-적치장_Spoil-Bank-Sangju_Pigment-Print_80x240cm_20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세종-세종보-마리나_Sejongbo-Marina-Sejong_Pigment-Print_70x105cm_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양평-두물머리_Dumulmoeri-Yangpyeong_Pigment-Print_70x105cm_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여주-남한강_Namhangang-Yeoju_Pigment-Print_70x105cm_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여주-남한강_Namhangang-Yeoju_Pigment-Print_75x100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여주-이포보_Ipobo-Yeoju_Pigment-Print_63x170cm_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여주-이포보_Ipobo-Yeoju_Pigment-Print_70x105cm_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연기-금강_Geumgang-Yeongi_Pigment-Print_80x100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영월-남한강_Namhangang-Yeongwol_Pigment-Print_80x100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예천-낙동강_Nakdonggang-Yecheon_Pigment-Print_100x80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인천-경인아라뱃길_Gyeongin-Ara-Waterway-Incheon_Pigment-Print_75x100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Down-by-the-River_창녕-낙동강_Nakdonggang-Changnyeong_Pigment-Print_75x100cm_2010.jpg"], :captions=>["Down by the River_공주, 곰나루_Gomnaru, Gongju_Pigment Print_105x70cm_2011", "Down by the River_부여, 금강_Geumgang, Buyeo_Pigment Print_100x150cm_2013", "Down by the River_상주, 준설토 적치장_Spoil Bank, Sangju_Pigment Print_80x240cm_2012", "Down by the River_세종, 세종보 마리나_Sejongbo Marina, Sejong_Pigment Print_70x105cm_2013", "Down by the River_양평, 두물머리_Dumulmoeri, Yangpyeong_Pigment Print_70x105cm_2011", "Down by the River_여주, 남한강_Namhangang, Yeoju_Pigment Print_70x105cm_2011", "Down by the River_여주, 남한강_Namhangang, Yeoju_Pigment Print_75x100cm_2010", "Down by the River_여주, 이포보_Ipobo, Yeoju_Pigment Print_63x170cm_2011", "Down by the River_여주, 이포보_Ipobo, Yeoju_Pigment Print_70x105cm_2011", "Down by the River_연기, 금강_Geumgang, Yeongi_Pigment Print_80x100cm_2010", "Down by the River_영월, 남한강_Namhangang, Yeongwol_Pigment Print_80x100cm_2010", "Down by the River_예천, 낙동강_Nakdonggang, Yecheon_Pigment Print_100x80cm_2010", "Down by the River_인천, 경인아라뱃길_Gyeongin Ara Waterway, Incheon_Pigment Print_75x100cm_2010", "Down by the River_창녕, 낙동강_Nakdonggang, Changnyeong_Pigment Print_75x100cm_2010"], :gallery=>{:title=>"Down by the River, 2010-2013",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4대 강 살리기 사업은 2009년 6월 8일에 마스터플랜이 발표되고 같은 해 11월 22일에 착공하여 2012년까지 시행된 국책사업으로 사업규모와 예산 양면에서 이른바 단군 이래 최대 규모라 불린다. 그런 만큼 찬반 논란도 격렬했는데, 찬성 측에서는 사업을 통해 수자원 확보, 홍수예방, 수질개선, 생태복원, 일자리 창출, 지역균형발전 등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반면 반대 측은 이 중 어떤 항목에도 동의하지 않는다. 논란은 사업 완료와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잦아들기는커녕 오히려 증폭되는 양상이다.<br>\n그러나 사업의 거대한 규모나 이를 둘러싼 지면상의 격렬한 논란과 달리 대다수 국민들의 반응은 상당히 소극적이며 이해의 깊이 또한 피상적인 것이 사실이다. 이는 사업의 특수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찬반 주장의 내용이 너무나 전문적이고 사업시행 지역에의 접근성도 좋지 않으며 지역민과의 갈등 또한 드물기 때문이다. 대다수 대형 국책사업과 환경문제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났던 현상에 다름 아니다. 이와 같은 모순이 주는 난감함이야말로 작업의 가장 큰 동기가 되었다. 한쪽 입장을 일방적으로 취하여 찬성 혹은 반대라는 전제 하에 ‘그림을 맞춰나가는’ 것도, 아무 고민도 의문도 없이 그저 무미건조한 기록물을 생산해내는 것도 적절한 자세는 아닐 것 같았다. 오히려 나는 적극적으로 궁금해하기로 했다. 마치 낯선 이방인이라도 된 것처럼 눈앞에 벌어지는 기이한 사회적-산업적 풍경을 묵묵히 응시하며 의문과 성찰의 시선을 견지하고자 애썼다. 현장의 분위기도 이러한 노력을 거들었다. 착공 이후 최근까지 4년간 약 40차례에 걸쳐 마주해온 풍경/광경들 자체가 그만큼 낯설고 기이하며 광막하기까지 했기 때문이다. 모든 면에서 4대강 사업의 축소판이라 부르기에 손색이 없을 경인 아라뱃길을 작업 대상에 포함시키기로 한 데에는 사업 성격뿐 아니라 광경의 유사성도 이유가 되었다.<br>\n4대 강 살리기 사업은 지금도 숱한 논란 속에 휩싸인 채 사업 전반에 걸친 법적, 제도적 사후 검증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우리 모두가 직면하고 있는 환경문제라는 보다 큰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접근하는 반성적-성찰적 모색의 태도는 흔치 않다. 대상과의 직접적인 마주함을 바탕으로 그것의 실존성을 조용히 그러나 끈질기게 상기시키는 사진의 본성은 이러한 모색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동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br>\n환경문제에 사진이 필요한 이유다.\n"}, :artist=>{:title=>"박정민, Park Jungmin", :description=>"[학력]<br>\n2014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사진영상미디어학과 졸업<br>\n1997 한신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졸업<br>\n1993 한신대학교 철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21 경기광경展, 행궁길갤러리, 수원<br>\n2015 하나를 위한 이중주, 대안공간 눈, 수원<br>\n2014 Characterized, 더 케이 갤러리, 서울 & 스페이스 1326, 창원<br>\n2014 Down by the River, 카페 갤러리 원, 서울 & 도어북스, 대전<br>\n2013 4대강, 4년간, 상명 갤러리, 서울 & 갤러리 iT, 서울<br>\n2011 Interscape, 갤러리 룩스, 서울<br>\n<br>\n[그룹전]<br>\n2020 제7회 수원국제사진축제, 수원<br>\n2020 경계의 바다, 사진공간 움, 수원<br>\n2018 경기스케이프, 예술공간 봄, 수원<br>\n2017 수원 오산 의왕,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6 길 위의 오산, 꿈두레도서관 제1갤러리 & 오매 갤러리, 오산<br>\n2016 제1회 수원사진단체연합 화성사진전, 수원천변 일대, 수원<br>\n2015 행복에세이, 예술공간 봄, 수원<br>\n2015 제2회 수원화성국제사진축제, 수원<br>\n2015 전주국제사진제 2015, 전주<br>\n2015 신풍동에서의 꿈을 기록하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4 Humans of Cities, 수원화성홍보관, 수원<br>\n2014 수원 화성을 걷고 기록하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4 6번 항로 – 출발점,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3 기억 – 국제사진페스티벌, 주중 한국문화원 전시실, 중국 베이징<br>\n2012 포토 페어 2012, 코엑스홀, 서울<br>\n2011 Help Earth – 국제사진페스티벌, 갤러리 이앙, 서울<br>\n2011 Today Visual Journalism 2011, 상명 갤러리, 서울 & KBS 시청자 갤러리, 서울<br>\n2010 판타스마고리안, 갤러리 브레송, 서울<br>\n2010 경천대 시민사진전, 나무 갤러리, 서울<br>\n2009 공존을 꿈꾸며, 공간 루, 서울<br>\n2008 2008 인권사진전, 시청역사, 서울<br>\n2008 지역주거공동체 ‘평지’ 거리사진전, 보문동, 서울<br>\n2007 문전성시, 서울메트로미술관, 서울<br>\n2007 우리 동네 사진페스티벌,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 서울<br>\n2006 이웃_하다, EBS 스페이스, 서울<br>\n<br>\n[수상 및 경력]<br>\n2020 사진가 그룹 ‘다큐경기’ 회장<br>\n2015 온빛 다큐멘터리 기관지 편집위원<br>\n2015 대안공간 눈 전시지원 프로그램 선정, 수원<br>\n2014 행궁동 레지던시, 수원<br>\n<br>\n[출판]<br>\n2014 포토 노트 Vol.1, 온빛 다큐멘터리<br>\n<br>\n[작품소장]<br>\n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n"}}
Down by the River
2010-2013
http://geonhi.com/korean/박정민-interscape-2007-2011/
Interscape_공주, 공산성_Gongsanseong, Gongju_Pigment Print_73x110cm_2009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공주-공산성_Gongsanseong-Gongju_Pigment-Print_73x110cm_2009.jpg
박정민
Interscape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공주-공산성_Gongsanseong-Gongju_Pigment-Print_73x110cm_2009.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공주-공산성_Gongsanseong-Gongju_Pigment-Print_73x110cm_200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공주-연미산_Yeonmisan-Gongju_Pigment-Print_73x110cm_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괴산-화양구곡_Hwayanggugok-Goesan_Pigment-Print_73x110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나주-앙암_Angam-Naju_Pigment-Print_73x110cm_200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단양-남한강_Namhangang-Danyang_Pigment-Print_80x100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목포-영산강-하구둑_Yeongsangang-Estuary-Dam-Mokpo_Pigment-Print_73x110cm_200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부산-낙동강-하구둑_Nakdonggang-Estuary-Dam-Busan_Pigment-Print_73x110cm_200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부산-다대포_Dadepo-Beach-Busan_Pigment-Print_73x110cm_200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부여-금강_Geumgang-Buyeo_Pigment-Print_73x110cm_200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상주-경천대-국민관광지_Gyeongcheondae-National-Resort-Sangju_Pigment-Print_80x100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서울-불암산_Buramsan-Seoul_Pigment-Print_55x220cm_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서울-서래섬_Seoraeseom-Seoul_Pigment-Print_73x110cm_2008.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서천-금강-하구_Mouth-of-Geumgang-Seocheon_Pigment-Print_73x110cm_200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여주-신륵사-앞_Near-Silleuksa-Yeoju_Pigment-Print_73x110cm_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여주-준설토-적치장_Spoil-Bank-Yeoju_Pigment-Print_80x100cm_20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옥천-장계-국민관광지_Janggye-National-Resort-Okcheon_Pigment-Print_110x73cm_200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인천-경인운하_Gyeongin-Canal-Incheon_Pigment-Print_100x80cm_20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02/Interscape_화성-매향리_Koon-ni-Range-Hwaseong_Pigment-Print_80x100cm_2010.jpg"], :captions=>["Interscape_공주, 공산성_Gongsanseong, Gongju_Pigment Print_73x110cm_2009", "Interscape_공주, 연미산_Yeonmisan, Gongju_Pigment Print_73x110cm_2011", "Interscape_괴산, 화양구곡_Hwayanggugok, Goesan_Pigment Print_73x110cm_2010", "Interscape_나주, 앙암_Angam, Naju_Pigment Print_73x110cm_2009", "Interscape_단양, 남한강_Namhangang, Danyang_Pigment Print_80x100cm_2010", "Interscape_목포, 영산강 하구둑_Yeongsangang Estuary Dam, Mokpo_Pigment Print_73x110cm_2009", "Interscape_부산, 낙동강 하구둑_Nakdonggang Estuary Dam, Busan_Pigment Print_73x110cm_2009", "Interscape_부산, 다대포_Dadepo Beach, Busan_Pigment Print_73x110cm_2009", "Interscape_부여, 금강_Geumgang, Buyeo_Pigment Print_73x110cm_2009", "Interscape_상주, 경천대 국민관광지_Gyeongcheondae National Resort, Sangju_Pigment Print_80x100cm_2010", "Interscape_서울, 불암산_Buramsan, Seoul_Pigment Print_55x220cm_2007", "Interscape_서울, 서래섬_Seoraeseom, Seoul_Pigment Print_73x110cm_2008", "Interscape_서천, 금강 하구_Mouth of Geumgang, Seocheon_Pigment Print_73x110cm_2009", "Interscape_여주, 신륵사 앞_Near Silleuksa, Yeoju_Pigment Print_73x110cm_2011", "Interscape_여주, 준설토 적치장_Spoil Bank, Yeoju_Pigment Print_80x100cm_2011", "Interscape_옥천, 장계 국민관광지_Janggye National Resort, Okcheon_Pigment Print_110x73cm_2009", "Interscape_인천, 경인운하_Gyeongin Canal, Incheon_Pigment Print_100x80cm_2010", "Interscape_화성, 매향리_Koon-ni Range, Hwaseong_Pigment Print_80x100cm_2010"], :gallery=>{:title=>"Interscape, 2007-2011",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강가, 어딘가 즈음 멈춰 앉아 낚싯대를 편다. 보통은 카메라라고 부르는 물건이지만 나는 낚시할 때 쓴다. 굳이 강이어야 해서 강가로 나온 건 아니다. 때로는 들이기도 하고 혹은 바다일 때도 있지만 걷다 보면 대개는 강인 이유는 내 많은 선조들의 뒤를 밟은 격일 게다. 문명의 탄생지라는 말은 곧 문명과 자연 간의 갈등과 충돌의 진원지라는 뜻이기도 할 터. 수만 년 시간의 끄트머리 몇 년 남짓을 내 몫으로 챙기고 있다.<br>\n낚시를 드리운 다음엔 찌를 노려볼 차례다. 지리멸렬한 세상을 단박에 예의 주시할 만한 광경으로 바꿔놓는 뷰파인더의 사지절단 마술에 환호부터 보내고 난 다음, 눌러앉아 한동안 뚫어져라 볼 일이다. 천천히, 물음표 비슷해 보이는 흐릿한 어떤 것이 바늘 주변을 헤엄쳐 다니기 시작한다.<br>\n<br>\n환경이라는 어젠다 혹은 아포리아를 붙들고 씨름하기 시작한 지는 조금 더 되었다. 갈수록 모든 것이 명확하지 않아만 가니 짐작컨대 후자일 것이다. 하필이면 또 카메라를 잡고서였으니 사정은 더욱 심각했다. 처음 너무도 굳건해 보였던 그 많은 느낌표들은 시간이 갈수록 고개를 떨궈 물음표가 되어가는데, 카메라라는 물건은 이런 국면을 전환시키는 따위의 용도로는 아무런 보탬이 못됐다. 지팡이로 쓸까 싶어 짚어도 보고 창검으로 쓸까 휘둘러도 봤지만 마땅치가 않다. 짚자니 미끄러지고 겨누자니 빗맞기만 한다. 이번에도 누군가는 과학적으로 명석판명한 규명을 해낼 것이고 또 누군가는 정치적으로 호호탕탕한 주장을 실행에 옮길 것이다. 혹자는 기도하고 혹자는 개발할 것이며(신도시든 신기술이든) 좌우지간 환경문제의 통섭적 성격에 걸맞은 다종 다양한 대처법을 선보이리라 믿는다. 대신에 나는 카메라라는 물건에 비로소 걸맞은 짓에 나서기로 했다.<br>\n“근본적으로 바꾸려면 먼저 지금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정확히 보아야 한다. 이것을 해낼 수 있게 되면 변화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한 스리랑카 스님이 쓴 위빠사나 책에 나오는 구절이다. 그러니까, 제일 먼저, 있는 그대로를, 언필칭 ‘여여하게’ 보는 데서부터라는 말일 것이다. 사진이 가장 잘할 수 있어 보이는 탓에 또한 가장 빈번히 그르치곤 해왔던 바로 그 일이다.<br>\n포클레인은 이젠 숫제 이 산천의 허수아비. 배웅이랍시고 내치는 저 굉음이 그러나 이 강가에서의 첫 소절은 아닐 것이다. 누군가는 여기에서 적장의 목을 베었고, 들꽃은 그 위로 살아보자고 피어올랐을 것이며, 무역선이 떠나던 날 또 누군가는 그 꽃을 따 쌈지에 품기를 몇 번이었을까. 그 모두의 후렴이자 뒤이어지는 모두의 앞 소절일 저 포클레인을 그저 그것만으로 있는 그대로라 할 수는 없는 일이다.<br>\n<br>\n그렇다면 어떻게? 풀 길 없는 타래 뭉치를 들고 나와 강물 속에 드리워놓는다. 뚫어져라 보아가며 주문이라도 걸듯 되뇌인다. 견자여 견자여 무엇을 보느냐. 물음은 대치되지 않는다. 다만 낚아 올려도 좋을 만큼 또렷해질 뿐이다. 나의 노래는 여기까지. 물어가며 본 것을 보여주며 물을 따름이다. 어쩌면 이거야말로 내 위에 드리운 바늘 일지 모르지만, 그렇다 해도 낚고 낚임의 질긴 인드라망을 마다할 도리란 없는 것이다.<br>\n\n"}, :artist=>{:title=>"박정민, Park Jungmin", :description=>"[학력]<br>\n2014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사진영상미디어학과 졸업<br>\n1997 한신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졸업<br>\n1993 한신대학교 철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21 경기광경展, 행궁길갤러리, 수원<br>\n2015 하나를 위한 이중주, 대안공간 눈, 수원<br>\n2014 Characterized, 더 케이 갤러리, 서울 & 스페이스 1326, 창원<br>\n2014 Down by the River, 카페 갤러리 원, 서울 & 도어북스, 대전<br>\n2013 4대강, 4년간, 상명 갤러리, 서울 & 갤러리 iT, 서울<br>\n2011 Interscape, 갤러리 룩스, 서울<br>\n<br>\n[그룹전]<br>\n2020 제7회 수원국제사진축제, 수원<br>\n2020 경계의 바다, 사진공간 움, 수원<br>\n2018 경기스케이프, 예술공간 봄, 수원<br>\n2017 수원 오산 의왕, 광교 갤러리, 서울<br>\n2016 길 위의 오산, 꿈두레도서관 제1갤러리 & 오매 갤러리, 오산<br>\n2016 제1회 수원사진단체연합 화성사진전, 수원천변 일대, 수원<br>\n2015 행복에세이, 예술공간 봄, 수원<br>\n2015 제2회 수원화성국제사진축제, 수원<br>\n2015 전주국제사진제 2015, 전주<br>\n2015 신풍동에서의 꿈을 기록하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4 Humans of Cities, 수원화성홍보관, 수원<br>\n2014 수원 화성을 걷고 기록하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4 6번 항로 – 출발점,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수원<br>\n2013 기억 – 국제사진페스티벌, 주중 한국문화원 전시실, 중국 베이징<br>\n2012 포토 페어 2012, 코엑스홀, 서울<br>\n2011 Help Earth – 국제사진페스티벌, 갤러리 이앙, 서울<br>\n2011 Today Visual Journalism 2011, 상명 갤러리, 서울 & KBS 시청자 갤러리, 서울<br>\n2010 판타스마고리안, 갤러리 브레송, 서울<br>\n2010 경천대 시민사진전, 나무 갤러리, 서울<br>\n2009 공존을 꿈꾸며, 공간 루, 서울<br>\n2008 2008 인권사진전, 시청역사, 서울<br>\n2008 지역주거공동체 ‘평지’ 거리사진전, 보문동, 서울<br>\n2007 문전성시, 서울메트로미술관, 서울<br>\n2007 우리 동네 사진페스티벌,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 서울<br>\n2006 이웃_하다, EBS 스페이스, 서울<br>\n<br>\n[수상 및 경력]<br>\n2020 사진가 그룹 ‘다큐경기’ 회장<br>\n2015 온빛 다큐멘터리 기관지 편집위원<br>\n2015 대안공간 눈 전시지원 프로그램 선정, 수원<br>\n2014 행궁동 레지던시, 수원<br>\n<br>\n[출판]<br>\n2014 포토 노트 Vol.1, 온빛 다큐멘터리<br>\n<br>\n[작품소장]<br>\n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