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geonhi.com/korean/미친년-프로젝트_내-안의-마녀-2005/
153 2005 Witch within Me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53-2005-Witch-within-Me-.jpg
박영숙
미친년 프로젝트
_내 안의 마녀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53-2005-Witch-within-Me--768x102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53-2005-Witch-within-Me--768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54-2005-Witch-within-Me--768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55-2005-Witch-within-Me--768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56-2005-Witch-within-Me--768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57-2005-Witch-within-Me--768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58-2005-Witch-within-Me--768x1024.jpg"], :captions=>["153 2005 Witch within Me", "154 2005 Witch within Me", "155 2005 Witch within Me", "156 2005 Witch within Me", "157 2005 Witch within Me", "158 2005 Witch within Me"], :gallery=>{:title=>"미친년 프로젝트_내 안의 마녀, 2005",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그녀들은 ‘자기 안의 마녀’를 감추어야 했다.<br>\n감추고 또 감추어도 드러나는 발광<br>\n감추고 또 감추어도 끝없이 고개를 쳐드는 마녀.<br>\n<br>\n이제 우리는 ‘내 안의 마녀’를 거침없이 맞아들이자<br>\n잃어버린 직관력을<br>\n잃어버린 따뜻함을<br>\n잃어버린 포용력을<br>\n잃어버린 에로스를<br>\n잃어버린 감미로움을<br>\n<br>\n그것은 ‘미친년’ 그녀의 것<br>\n그녀의 것이지만 나누어야 할 것<br>\n더 풍성해져야 할 것<br>\n너와 나, 모두에게 발굴되어<br>\n세상천지를 놀라게 하게 될 것.\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http://geonhi.com/korean/미친년-프로젝트_꽃이-그녀를-흔든다-2005/
138 2005 A flower shakes Her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38-2005-A-flower-shakes-Her-.jpg
박영숙
미친년 프로젝트
_꽃이 그녀를 흔든다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38-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38-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39-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40-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41-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42-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43-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45-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46-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47-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48-2005-A-fi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49-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50-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51-2005-A-flower-shakes-Her--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51-2005-A-flower-shakes-Her-1-1024x1024.jpg"], :captions=>["138 2005 A flower shakes Her", "139 2005 A flower shakes Her", "140 2005 A Flower shakes Her", "141 2005 A Flower shakes Her", "142 2005 A flower shakes Her", "143 2005 A flower shakes Her", "145 2005 A flower shakes Her", "146 2005 A flower shakes Her", "147 2005 A flower shakes Her", "148 2005 A fiower shakes Her", "149 2005 A flower shakes Her", "150 2005 A flower shakes Her", "151 2005 A flower shakes Her", "151 2005 A flower shakes Her -1"], :gallery=>{:title=>"미친년 프로젝트_꽃이 그녀를 흔든다, 2005",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꽃들에는 전설이 있다. 그 모든 꽃의 전설들은 슬프다. 서양의 꽃 ‘물망초’ 꽃말도 ‘날 잊지 말아요’이니, 그것도 슬프다. 우리나라의 ‘며느리밥풀꽃’에 담긴 전설이 있다. 그 이야기들도 슬프다. 제삿밥 짓다 떨어진 쌀 두 톨이 아까워 입 안에 집어넣은 며느리, 그 현장을 본 시 어머니는 제사상을 위한 신성한 음식에 손댄 며느리의 행동을 지탄하며 집에서 쫓아낸다. 쫓겨난 며느리는 억울함을 안고 죽는다. 그 ‘영혼의 한’이 곧 ‘며느리밥풀꽃’이 되었단다. 이런 꽃말에 얽힌 이야기들을 해체시켜 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br>\n여성을 왜 꽃에 비기는 것일까? 꽃을 아름답다, 연약하다 하듯이 여인도 아름답고 연약하다며 견주는 그 문화적 사유 틀이 나는 무조건 싫다. 거부하고 싶다. 이 모든 꽃에 대한 고정관념들을 나는 전복시키고 싶다. 꽃의 본질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대체해야 한다는 생각, 그런 생각들이 이 ‘꽃이 그녀를 흔든다’를 야기했다.<br>\n<br>\n땅이 미치지 않고 어찌, 꽃을 피울 수 있겠는가<br>\n여자의 몸에서 올라오는 광기<br>\n여자의 몸에서 올라오는 꽃 광기가 꽃을 피게 한다<br>\n이것이 바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생산<br>\n땅 속에 억눌린 채 숨어 있던 영혼의 열림<br>\n바로 개화다<br>\n여자가 미치지 않고 어찌, 노래를 하고, 춤을 추겠는가<br>\n보라, 저 여자가 노래하고 춤춘다<br>\n땅이 미쳐 저 꽃이 핀다<br>\n– 김혜순의 시 ‘꽃이 그녀를 흔들다’\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미친년 프로젝트
_꽃이 그녀를 흔든다
2005
http://geonhi.com/korean/미친년-프로젝트_도쿄의-페미니스트들-2004/
128 2004 Mad Women Tokyo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28-2004-Mad-Women-Tokyo-.jpg
박영숙
미친년 프로젝트
_도쿄의 페미니스트들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28-2004-Mad-Women-Tokyo--1024x102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28-2004-Mad-Women-Tokyo--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29-2004-Mad-Women-Tokyo--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30-2004-Mad-Women-Tokyo--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31-20-04-Mad-Women-Tokyo-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32-2004-Mad-Women-Tokyo--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33-2004-Mad-Women-Tokyo--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34-2994-Mad-Women-Tokyo--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35-2004-Mad-Women-Tokyo--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36-2004-Mad-Women-Tokyo--1024x1024.jpg"], :captions=>["128 2004 Mad Women Tokyo", "129 2004 Mad Women Tokyo", "130 2004 Mad Women Tokyo", "131 20 04 Mad Women Tokyo", "132 2004 Mad Women Tokyo", "133 2004 Mad Women Tokyo", "134 2994 Mad Women Tokyo", "135 2004 Mad Women Tokyo", "136 2004 Mad Women Tokyo"], :gallery=>{:title=>"미친년 프로젝트_도쿄의 페미니스트들, 2004",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1980년대는 일본 여성 운동의 전성기였다. 이 70-80년대 ‘Japan Women’s Lib’는 오늘의 일본 여성들에게는 화려했던 과거다. 사실 그 시대를 회상하는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서, 나는 오늘의 일본 여성들 그 현장을 만날 수 있었다. 그들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꿈꾸고 있었다. ‘미친년 프로젝트 오사카, 도쿄(Mad Women project Osaka, Tokyo)’는 그녀들의 현재, 그녀들 내면, 이 시대의 트라우마(Trauma)적 재현이었다.<br>\n2003년 일본 오사카(Osaka)에서의 박영숙의 ‘미친년 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전은 그 전시 기획을 추진한 일본 NPO ‘아츠아폴리아’의 나가니시 미호(Nakanishi Miho)와 아야 갤러리(Aya Gallery)의 협조를 통해 가능했다. 2002년부터 시작된 재팬 위민스 리브(Japan Women’s Lib)의 주체들이 한국을 방문, 한국 여성문화예술기획(여문)의 미술팀과의 만남이 그 첫출발이었다. 그 이후 ‘여문’이 주관/진행한 ‘제2회 한국 여성미술제 – 동아시아 전’(2001년)에 일본 퍼포먼스 아티스트인 이토 타리(Ito Tari)가 참여했다. 그녀는 적극적으로 나의 개인전을 추진, 진행시켜냈다. 2003년 오사카의 ‘아야(AYA)’ 갤러리에서 드디어 ‘미친년 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전이 실행되었다. 그 전시는 심포지움과 함께 워크숍도 구성되었다. 그 워크숍은 ‘아츠아폴리아’에서 촬영 제작을 지원하여, 그녀들이 ‘미친년’이 되어 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녀들은 ‘미친년’ 되어 보기 경험이 치유적이었다고 하며, 그 공감 프로젝트 진행에 큰 보람을 느끼는 것 같았다. 그때 제작된 그 작업들이 ‘경계에 선 여성들(Women On The Borderlines)’ 전으로 도쿄 에이알티 갤러리(Tokyo A.R.T Gallery)에 전시되었다.<br>\n뒤 이은 ‘미친년 프로젝트 도쿄’도 도쿄 페미니스트들이 주관하는 ‘경계에 선 여성들(Women On The Borderlines)/Tokyo A.R.T Gallery’ 전으로, 그들의 워크숍 프로젝트의 협조를 받아 진행되었다. 전시와 심포지움을 주관한 일본 여성들은 이 워크숍에 참여, 스스로 연기하며 매우 어색해하면서도 다 해냈다. 일본 문화가 배경이 되는 ‘일본 미친년’ 촬영은 쉽지 않았다. 왜냐하면 짧은 시간에 일본만의 문화적 트라우마를 이해한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었다. 일본 여성들이 내 앞에서 마음 놓고 그녀들의 내면적 트라우마를 드러내기 또한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라 짐작되기도 했다. 다만 ‘Mad Women Project Japan’은 그들이 보여준 최대한의 ‘성의’와 뜻을 같이 하겠다는 ‘의지’들의 결실이었다. 오사카에서의 첫 작업은 Japan Women’s Lib의 주체들인 미키 소코(Miki Soko)와 후지(Fuji)의 초상 사진이 그 시작이었다. 다음에는 각 참여자의 자아 정체성의 스토리를 듣고 재현하기 시작했다. 오사카 참여자들은 21세기에 일본 여성들이 처한 각자의 상황, 그 각각의 이야기들을 드러냈다. 조울증에 빠질 수밖에 없는 사운드 아티스트 유꼬, 아야(Aya)의 기모노에 얽힌 이야기, 오키나와 정체성을 가진 아버지와 Japan Women Lib의 주체였던 오사카 공무원인 엄마, 그 둘 사이에서 딸이 겪는 이야기 등. 그 모든 여성들의 삶의 현장 상황들은 힘겨워 보였다. 오사카 작업은 한국 작업과 결코 같지 않지만 또 다른 맥락에서 연장선 상에 있었다.<br>\nTokyo 작업 역시 오사카 작업 경험과 다르게 접근되었다. 우리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여성들의 그 다양한 현장, 21세기를 살아 내기 위한 욕망, 그 욕망들의 실체에 대비되어 상대적 좌절을 느끼는 도쿄의 여성들의 ‘살아 내기’ 재현 그것이었다. 실제로 거식증 환자가 있었고, 폭식증을 대신 연기한 서경식 씨 부인 같은 리더들도 참여했다. 육아로부터 피할 길 없어 자아를 잃고 허덕이던 중년 여성, 그리고 하루에 세 가지 일을 해도 절대 빈곤층에 놓이는 한국계 페미니스트, 21세기 여성으로 살아가며 겪어야 하는 그 트라우마적 요소들은 이 시대의 복잡성을 고스란히 드러냈다.\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미친년 프로젝트
_도쿄의 페미니스트들
2004
http://geonhi.com/korean/미친년-프로젝트_오사카와-도쿄의-페미니스트들-2004/
116 2004 Mad Women Osaka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6-2004-Mad-Women-Osaka-1-1.jpg
박영숙
미친년 프로젝트
_오사카의 페미니스트들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6-2004-Mad-Women-Osaka-1-1.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6-2004-Mad-Women-Osaka-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7-2004-Mad-Women-Osaka--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8-2004-Mad-Women-Osaka-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9-2004-Mad-Women-Osaka-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20-2004-Mad-Women-Osaka-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21-2004-Mad-Women-Osaka--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22-2004-Mad-Women-Osaka--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23-2004-Mad-Women-Osaka--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24-2004-Mad-Women-Osaka--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25-2004-Mad-Women-Osaka--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26-2004-Mad-Women-Osaka-1-1.jpg"], :captions=>["116 2004 Mad Women Osaka", "117 2004 Mad Women Osaka", "118 2004 Mad Women Osaka", "119 2004 Mad Women Osaka", "120 2004 Mad Women Osaka", "121 2004 Mad Women Osaka", "122 2004 Mad Women Osaka", "123 2004 Mad Women Osaka", "124 2004 Mad Women Osaka", "125 2004 Mad Women Osaka", "126 2004 Mad Women Osaka"], :gallery=>{:title=>"미친년 프로젝트_오사카의 페미니스트들, 2004",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1980년대는 일본 여성 운동의 전성기였다. 이 70-80년대 ‘Japan Women’s Lib’는 오늘의 일본 여성들에게는 화려했던 과거다. 사실 그 시대를 회상하는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서, 나는 오늘의 일본 여성들 그 현장을 만날 수 있었다. 그들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꿈꾸고 있었다. ‘미친년 프로젝트 오사카, 도쿄(Mad Women project Osaka, Tokyo)’는 그녀들의 현재, 그녀들 내면, 이 시대의 트라우마(Trauma)적 재현이었다.<br>\n2003년 일본 오사카(Osaka)에서의 박영숙의 ‘미친년 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전은 그 전시 기획을 추진한 일본 NPO ‘아츠아폴리아’의 나가니시 미호(Nakanishi Miho)와 아야 갤러리(Aya Gallery)의 협조를 통해 가능했다. 2002년부터 시작된 재팬 위민스 리브(Japan Women’s Lib)의 주체들이 한국을 방문, 한국 여성문화예술기획(여문)의 미술팀과의 만남이 그 첫출발이었다. 그 이후 ‘여문’이 주관/진행한 ‘제2회 한국 여성미술제 – 동아시아 전’(2001년)에 일본 퍼포먼스 아티스트인 이토 타리(Ito Tari)가 참여했다. 그녀는 적극적으로 나의 개인전을 추진, 진행시켜냈다. 2003년 오사카의 ‘아야(AYA)’ 갤러리에서 드디어 ‘미친년 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전이 실행되었다. 그 전시는 심포지움과 함께 워크숍도 구성되었다. 그 워크숍은 ‘아츠아폴리아’에서 촬영 제작을 지원하여, 그녀들이 ‘미친년’이 되어 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녀들은 ‘미친년’ 되어 보기 경험이 치유적이었다고 하며, 그 공감 프로젝트 진행에 큰 보람을 느끼는 것 같았다. 그때 제작된 그 작업들이 ‘경계에 선 여성들(Women On The Borderlines)’ 전으로 도쿄 에이알티 갤러리(Tokyo A.R.T Gallery)에 전시되었다.<br>\n뒤 이은 ‘미친년 프로젝트 도쿄’도 도쿄 페미니스트들이 주관하는 ‘경계에 선 여성들(Women On The Borderlines)/Tokyo A.R.T Gallery’ 전으로, 그들의 워크숍 프로젝트의 협조를 받아 진행되었다. 전시와 심포지움을 주관한 일본 여성들은 이 워크숍에 참여, 스스로 연기하며 매우 어색해하면서도 다 해냈다. 일본 문화가 배경이 되는 ‘일본 미친년’ 촬영은 쉽지 않았다. 왜냐하면 짧은 시간에 일본만의 문화적 트라우마를 이해한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었다. 일본 여성들이 내 앞에서 마음 놓고 그녀들의 내면적 트라우마를 드러내기 또한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라 짐작되기도 했다. 다만 ‘Mad Women Project Japan’은 그들이 보여준 최대한의 ‘성의’와 뜻을 같이 하겠다는 ‘의지’들의 결실이었다. 오사카에서의 첫 작업은 Japan Women’s Lib의 주체들인 미키 소코(Miki Soko)와 후지(Fuji)의 초상 사진이 그 시작이었다. 다음에는 각 참여자의 자아 정체성의 스토리를 듣고 재현하기 시작했다. 오사카 참여자들은 21세기에 일본 여성들이 처한 각자의 상황, 그 각각의 이야기들을 드러냈다. 조울증에 빠질 수밖에 없는 사운드 아티스트 유꼬, 아야(Aya)의 기모노에 얽힌 이야기, 오키나와 정체성을 가진 아버지와 Japan Women Lib의 주체였던 오사카 공무원인 엄마, 그 둘 사이에서 딸이 겪는 이야기 등. 그 모든 여성들의 삶의 현장 상황들은 힘겨워 보였다. 오사카 작업은 한국 작업과 결코 같지 않지만 또 다른 맥락에서 연장선 상에 있었다.<br>\nTokyo 작업 역시 오사카 작업 경험과 다르게 접근되었다. 우리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여성들의 그 다양한 현장, 21세기를 살아 내기 위한 욕망, 그 욕망들의 실체에 대비되어 상대적 좌절을 느끼는 도쿄의 여성들의 ‘살아 내기’ 재현 그것이었다. 실제로 거식증 환자가 있었고, 폭식증을 대신 연기한 서경식 씨 부인 같은 리더들도 참여했다. 육아로부터 피할 길 없어 자아를 잃고 허덕이던 중년 여성, 그리고 하루에 세 가지 일을 해도 절대 빈곤층에 놓이는 한국계 페미니스트, 21세기 여성으로 살아가며 겪어야 하는 그 트라우마적 요소들은 이 시대의 복잡성을 고스란히 드러냈다.\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미친년 프로젝트
_오사카의 페미니스트들
2004
http://geonhi.com/korean/미친년-프로젝트_헤이리-여신-우마드-2004/
111 2004 헤이리여신 WOMAD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1-2004-해이리여신-WOMAD.jpg
박영숙
미친년 프로젝트
_헤이리 여신 우마드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1-2004-해이리여신-WOMAD-706x102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1-2004-해이리여신-WOMAD-706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2-2004-해이리여신-WOMAD-7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3-2004-해이리여신-WOMAD-7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4-2004-해이리여신-WOMAD-724x1024.jpg"], :captions=>["111 2004 헤이리여신 WOMAD", "112 2004 헤이리여신 WOMAD", "113 2004 헤이리여신 WOMAD", "114 2004 헤이리여신 WOMAD"], :gallery=>{:title=>"미친년 프로젝트_헤이리 여신 우마드, 2004",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우마드 WOMAD란?<br>\n‘여성신문’에서 본 한 기사가 내 눈을 끌었다. 삼성경제연구소에서 김종례라는 경제학자가 펴낸 책 ‘여성시대의 새로운 코드 WOMAD’를 소개한 기사였다. 저자의 21세기 대안적 경제 개념을 제시하는 새로운 논리였다. 끊임없이 떠돌며 사는 유목민(Nomad)들의 삶의 양태를 긍정, 21세기 경제구조가 지양해야 하는 논리 제시 즉, 삶의 터전을 정하지 않고 자유로운 이동을 하며 미지에서 살아남는 유목인들의 속성과 여성들이 결혼을 위한 시집살이, 그 낯선 곳에서의 삶을 살아내는 속성을 다국적 기업화되어가는 세계 경제구조, 국가의 경계(Borderline)조차 모호하게 허물어져 가는 21세기적 양상들 곧, ‘여성시대의 새로운 코드, 우마드 WOMAD’적 재해석으로의 경제 논리. 여성 WOmen과 유목민 noMAD 두 단어를 합성시킨 고유명사 WOMAD, 곧 ‘우마드’를 나는 21세기 여신의 이름으로 차용했다.<br>\n<br>\n21세기를 끌어안을 지혜의 여신. 그녀에게 다가서려는 나의 절절한 몸짓이 시작되었다.<br>\n꿈을 꾸었다.<br>\n갑작스레 돌풍이 ‘헤이리’를 휩쓸었다.<br>\n‘토네이도 Tornado’는 아닌 것 같은데……<br>\n신비한 소리가 마음을 잡아끌어 나는 끌려갔다. 2004년, 내 마음속을 순례하던 여신 ‘우마드 Womad’가 파주 ‘헤이리’에 출현했다 한다.<br>\n돌풍은 사방으로 갈라져 네 기둥을 이룬다. 그 네 기둥은 네 여신으로 변하고 있었다.<br>\n동쪽, 생성과 생산을 주관하는 ‘풍요(豊饒)의 여신’,<br>\n서쪽, 사랑과 욕망을 재현하는 ‘사랑의 여신’,<br>\n남쪽, 정의를 위해 모든 불의를 불태우려는 ‘분노(忿怒)의 여신’,<br>\n북쪽, 타자(他者)의 아픔을 대신, 타자의 세계를 스스로 껴안은 ‘죽음의 여신’.<br>\n이 네 여신이 나타났다. 그런데 갑자기 펑 소리가 났다.<br>\n<br>\n놀랍고, 흥분되고, 반갑고, 드디어 올, 아니 이미 와 버린 그녀. 그는 바로, 2004 ‘헤이리’의 여신, 21세기의 여신 ‘우마드 Womad’!<br>\n눈앞에 생성된 그녀의 공간. 그녀의 공간은 우리를 부르고 있다. 그 속으로 내가 들어간다. 그리고 너도 들어간다. 남녀노소 누구나 다.<br>\n그들은 그녀를 만난다. 자기 안의 여신을 만난다. 치유받고, 힘을 얻어, 가뿐하게 세상 속으로 흩어진다.<br>\n서로의 차이를 긍정하고 더러움도 깨끗함도 구분하지 않는 이해심과 넉넉함, 그래서 더 풍요 로움을 지니는 ‘풍요의 여신’, 힘의 논리로, 전쟁의 논리로, 남성 문화의 논리로 저질러온 그 불의들. 그 앞에 폭풍 같은 질타로 꾸짖는 ‘분노의 여신’, 성적인 것 그 에로스(Eros)를 욕망하는 것은 부끄러운 것이라는 이데올로기, 그 억압해온 성을 자연스럽게 드러내 쾌락으로까지 극복된 ‘사랑의 여신’, ‘에로스의 여신’, 결국에는 스스로 몸을 내어주는 구원과 자비로, 모든 사람들의 자아를 회복시켜 내는 ‘죽음의 여신’.<br>\n온 지구촌 이 땅 저 땅 금 그었던 경계가 허물어지고, 여신의 열기가 여기저기로 펴져 나가고 또 울려 퍼진다. 이성/감성, 논리/직관, 남성성/여성성, 선/악, 아름다움/추함, 높고/낮음, 사랑/쾌락……… 옹졸함, 편협함, 독선, 폭력 그 모든 이분법들이 깨지고 뒤집힌다. 난장판, 도약의 춤판들이 일어난다. 저 멀리 앞산 그 밑 개울가에 무지개가 떠오른다. 선들바람 불고 비파소리 들리더니 갑자기 왁자지껄 아이들이 몰려오고 있다.<br>\n많은 인류학적 보고서가 증언하듯이 태곳적 인류 사회는 많은 경우 모계 사회 형태를 띠었다 한다. 그러나 남성 중심의 집단 체제로 신화를 재구성, 전파하며 모계 사회를 전복시켜 온 인류 역사는 오늘의 지구 현상을 이루어 냈다. 그런데 그들의 신화 심연에는 최고의 신을 여신으로 간주하는 작은 편린들이 숨어 있다. 나는 이러한 여신들의 이야기 속에 흩어져 있는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들어본다. 가부장제만을 유일한 가치로 인정하고, 여성/남성 또는 여성성/남성성에 대해 편협한 시각을 유포시켜 온 인류 역사를 다른 관점으로 해석, 또는 전복해 봄으로써 대안적 미래를 꿈꿔 보려 한다.<br>\n여성인 내 안의 것들이 갖는 독특한 힘과 그 특성, 여신적인 것, 그것들로 오늘을 사는 우리들의 내면을 일깨울 수도 있지 않을까 하고 기대한다.<br>\n가부장제의 그 오랜 폭력과 정복, 억압과 규제의 역사들을 여신들의 평화로운 공생, 책임과 자율, 그 트임의 세계로 바꿔보는 꿈을 같이 꾸고 싶다. 경계를 허물고 진정한 자신을 만나기 위해 끊임없이 욕망해 온 모든 사람들에게 여신을 경험시켜 보려 한다. 이로써 우리 안에 얼어붙어 있는 무수한 여신들의 목소리를 일깨우고, 나아가 올올이 감추어진 진실들을 들추어낸다면, 오늘의 피폐한 사회 구조와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 현실을 회복시켜 낼 대안을 찾아낼 수 있지 않을까?<br>\n삶의 풍요가 이루어지고, 죽음의 심연이 떠오르며, 사랑과 열정이 끓어오르고, 분노의 태풍, 분노의 불길이 그 모든 것을 정화시키리라.\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미친년 프로젝트
_헤이리 여신 우마드
2004
http://geonhi.com/korean/미친년-프로젝트_게이-그리고-레즈비언-2003/
106 2003 무슈버터플라이 #1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06-2003-무슈버터플라이-1.jpg
박영숙
미친년 프로젝트
_게이 그리고 레즈비언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06-2003-무슈버터플라이-1-1024x102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06-2003-무슈버터플라이-1-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07-2003-무슈버터플라이-2-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08-2003-무슈버터플라이-3-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09-2003-무슈버터플라이-4-1024x1024.jpg"], :captions=>["106 2003 무슈버터플라이 #1", "107 2003 무슈버터플라이 #2", "108 2003 무슈버터플라이 #3", "109 2003 무슈버터플라이 #4"], :gallery=>{:title=>"미친년 프로젝트_게이 그리고 레즈비언, 2003",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국가 인권위원 주관 ‘눈 밖에 나다’ 전에 나는 ‘무슈 버터플라이/Monsieur Butterfly’ 작업으로 참여했다. 20세기 몸에 대한 다양한 담론들이 무성했다면, 그 담론들에 힘입어 자신의 성 정체성을 숨기거나 억압하던 이들이 자신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한국에서의 21세기는 그들, 게이 또는 레즈비언들이 커밍아웃 또는 자신의 성 정체성을 적극 ‘드러내기’를 실현해 내는 시대이다. 내가 90년대 몸에 대한 담론들에 심취하고, 섹슈얼리티에 도전하게 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게이’와 ‘레즈비언’에 관심이 쏠렸었다. 그들의 ‘몸의 이야기’에, 그 ‘차이의 이야기’에 내 가슴이 아팠다. 몸의 차이가 차별의 이유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무슈 버터플라이(Monsieur Butterfly)와 레즈비언 결혼식(Lesbian Wedding)은 그들을 차별하지 않겠다는 내 마음의 표현이었다. 그리고 그들의 성 정체성에 대한 동의 표현이기도 하다. 몸이 말하고, 몸이 욕망하고, 몸이 정신을 뛰어넘게 되는 그들만의 몸 현실을 어찌 고정관념으로 단죄해야 한단 말인가? 이 같은 생각에서 그들의 시각화 작업은 당연히 미친년 프로젝트(Mad Women Project)에 같이 연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미친년 프로젝트
_게이 그리고 레즈비언
2003
http://geonhi.com/korean/미친년-프로젝트_화폐개혁-프로젝트-2003/
090 2003 화폐개혁프로젝트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90-2003-화폐개혁프로젝트-.jpg
박영숙
미친년 프로젝트
_화폐개혁 프로젝트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90-2003-화폐개혁프로젝트--711x102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90-2003-화폐개혁프로젝트--711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92-2003-화폐개혁프로젝트--710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93-2003-화폐개혁프로젝트--710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94-2003-화폐개혁프로젝트--710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95-2003-여성주의-돈-465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96-2003-여성주의-돈-472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97-2003-여성주의돈--471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98-2003-여성주의돈-468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99-2003-여성주의돈-468x1024.jpg"], :captions=>["090 2003 화폐개혁프로젝트", "092 2003 화폐개혁프로젝트", "093 2003 화폐개혁프로젝트", "094 2003 화폐개혁프로젝트", "095 2003 여성주의 돈", "096 2003 여성주의 돈", "097 2003 여성주의돈", "098 2003 여성주의돈", "099 2003 여성주의돈"], :gallery=>{:title=>"미친년 프로젝트_화폐개혁 프로젝트, 2003",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돈에는 많은 코드들이 있다. 그 코드들은 당연히(?) 남성들의 역사이다. 전통문화 상징물들, 그것들이 문양으로, 그 돈의 진위를 가리는 기능을 한다. 돈의 기능이 갖는 질서, 그것도 기존 질서가 여성 차별을 하듯 여성 문화들을 소외시키고 있었다. ‘여성성적인 것’, 또는 역사 속 여성 문화들을 코드화 한 돈. 그런 것들을 우리 시대에는 한번 화폐화 해 볼 고민을 해야 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게 되었다.<br>\n<br>\n1. 화폐 속 인물을 선정하다.<br>\n우리들의 할머니? 어머니? 할 말을 다하지 못하고 간 옛 여인들?<br>\n그녀들의 직관력, 시대를 앞서 살아낸 그 에너지, 그 시대에 실천해낸 행동들…… 그 행동들이 그 시대의 남성들의 가슴을 서늘하게 했고, 그들의 마음을 불편하게 했으므로 미친년이라 불리었을 그녀들은 그 시대의 진보였다는 것, 그래서 오늘 그녀들을 다시 호명한다. 소외, 말살, 은폐로 묻혀버린 여성들의 역사, 문화를 다시 호명하며 재현해 표출 시켜 내고 싶다. 그녀들의 몸 행적, 그녀들의 꿈, 그녀들의 일상문화를 들춰내자 싶었다. 의무감을 느꼈다. 많은 페미니스트들과 인물선정 위한 토론이 있었다.<br>\n인간존재의 시작, 여성성의 생명력, 무한한 어머니 삼신할머니. 여필종부 이데올로기에 도전, 시와 학문으로 대응, 여성을 억압하는 불평등사회구조에 저항했던 허난설헌(1563~1589). 1637년(인조 15년)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으로 피신한 인조의 며느리, 청나라에 볼모로 끌려간 후 그 미지에서 식솔들을 위한 경제 활동을 주관, 조선의 인삼과 청나라 비단을 맞교환, 그 이익으로 조선 노예들을 사서 해방시킨 여성경제인 소현세자빈 강씨. 조선의 26대왕 고종의 비 민씨. 대원군 섭정항거, 쇄국정치에 대항, 서양문물개방, 외국과 교류 도모한 진취적 여성외교관이었던. 명성황후. 한국근대사 최초의 서양화가, 여성들에게 요구한 전통문화에 항거, 이혼 사유서를 발칙하게 발표했던, 하여 행려병자로 죽어야 했던 화가 나혜석. 이들 모두가 바로 당대현실에 대항 했던 미친년들, 그녀들의 영혼을 위로하고, 그녀들의 직관력, 그녀들의 삶을 찬양하기 위해. 오늘의 페미니스트들이 그녀들로 변신 한다. 삼신할머니에 여성문화예술기획대표 이혜경이, 허난설헌에 시인 김혜순이, 소현세자빈 강씨에 여성학 학자 김영옥이, 명성왕후에 여성학학자 임옥희가 그리고 나혜석에 페미니스트 화가 윤석남까지 서로 서로 그 역할이 본인이 적합하다며 적극 참여했다.<br>\n<br>\n2. 돈의 문양<br>\n언어 이전의 세계를 상상했다. 시공개념이 다른 세계를, 말로 설명되지 않는 이야기 구조를. 흐물흐물, 몽글몽글, 아롱아롱, 황홀경 그런 세계를 상상 해 보았다. 식물의 형태들에서, 무당 소품에 숨어있던 기호들에서, 음식문화들에서, 자수(刺繡)이미지들에서, 이것들을 여성적 코드들로 끌어들였다.<br>\n<br>\n3. 돈의 단위<br>\n‘환’을 대체할 ‘샘’을사용하기로 했다. 시인 김혜순의 추천 어휘에 모두들 대찬성이다.<br>\n<br>\n샘<br>\n샘은 쉼 없이 샘솟는다. 샘은 마르지 않는다. 샘은 강의 발원지다.<br>\n샘은 모든 생명에게 생명을 주면서 스스로 움직여 멀어져 간다. 샘은 잡을 수도, 모양도 없다. 샘은 낮은 곳으로, 낮은 곳으로 흘러가서 그 생명들에 흘러들지만 그 생명들을 자기 것 이라 하지 않는다.<br>\n샘물은 끝없이 사라진다. 샘물은 한 곳에 머물러 썩지 않는다. 샘물은 스스로 사라짐으로서만 뭇 생물에게 생명을 줄 수 있다. 마치 내가 깃들었다 나온 내 어머니의 몸처럼. 그래서 샘에서 흘러나온 강은 언제나 하늘하고 수평으로 눕는다.<br>\n여성이 유통하는 상징적 화폐단위의 개념이 이 샘과 무엇이 다르랴.\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http://geonhi.com/korean/미친년-프로젝트_갇힌-몸-정처없는-마음-2002/
081 2002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81-2002-.jpg
박영숙
미친년 프로젝트
_갇힌 몸 정처없는 마음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81-2002--1024x102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81-2002--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82-2002--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83-2002--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84-2002--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86-2002--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87-2002--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88-2002--1024x1024.jpg"], :captions=>["081 2002", "082 2002", "083 2002", "084 2002", "086 2002", "087 2002", "088 2002"], :gallery=>{:title=>"미친년 프로젝트_갇힌 몸 정처없는 마음, 2002",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여성들의 일상 공간, 그 공간은 일상적 생활공간이기에 평범하게 생각하게 된다. 그렇지만 그 일상 공간은 결코 평범하지만은 않다.<br>\n여성들에게 있어 어떤 일상들은 지겹고, 무섭고, 끔찍하다. 그녀들의 일상은 억압되었거나, 착취되거나, 소외당하고 있다. 그 느낌은 슬프다. 그 정체가 무엇인지 모른다. 그래서 직관으로만 파악한다. 그녀들은 그 상황들을 거절하고 싶고, 피하고 싶고, 무시하고 싶다. 너무 오래 참고, 오래 용서하며 이해하려 애썼다.<br>\n그러던 어느 날, 그녀는 더 버티지 못해 탈출을 시도한다. 아주 잠시, 아주 멀리, 아주 깊이 그녀만의 시공간을 설정해 버린다. 그 설정된 시공간이 ‘미친년의 시공간’이다. 이제 그녀의 시공간은 ‘이미지 공간’이 되어,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그녀만의 공간이 된다. 그곳을 그녀는 따뜻하고, 포근하고, 아늑하고, 그윽하다고 느낀다.<br>\n그녀는 그 상황에 젖어든다. 결코 깨어나고 싶어 하지 않는다. 그곳에는 억겁의 기억들이 쌓여 있고, 억겁의 이야기가 감겨 있다. 그 기억과 이야기는 슬프고 아름답다. 그녀는 그곳에 잠시, 아니 오래 머문다.<br>\n너 왜 그래? 너 지금 무엇 해? 너 돌았니? 너 미쳤구나?<br>\n모두들 야단이다. 그렇다. 그녀는 그 쌓인 기억과 감겨진 이야기들에 사무쳐서 소리없이 울고 있다. 도마 위 고등어를 내려치다가, 밝은 창 침대 옆에 앉아 있다가, 거울 속 자신을 쳐다보다가, 화분에 물을 주다가, 욕탕에서 물을 뒤집어쓰다가, 잠시 그녀들은 그 상황에 갇힌다. 편안하다. 한 찰나, 한 순간, 그 상황. 그 시공간에 충동된 그 여성은 자신도 모르게 그 ‘시, 공간’에 동화한다.<br>\n미친 것이다.<br>\n나는 그 미쳐버리게 한 모든 것들을 잡아챈다. 그 상황에 미쳐버린 그녀들이 바로 ‘나’이고 ‘우리’이기 때문에. 그 찰나, 그 시공간에 쌓여있는 억겁의 기억, 억겁의 이야기.<br>\n그 ‘기억들의 이야기’가 지금 우리들을 본다.\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미친년 프로젝트
_갇힌 몸 정처없는 마음
2002
http://geonhi.com/korean/미친년-프로젝트_상실-된-성-2001/
075 2001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75-2001-.jpg
박영숙
미친년 프로젝트
_상실 된 성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75-2001--809x102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75-2001--809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76-2001--816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77-2001--797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78-2001--793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79-2001--764x1024.jpg"], :captions=>["075 2001", "076 2001", "077 2001", "078 2001", "079 2001"], :gallery=>{:title=>"미친년 프로젝트_상실 된 성, 2001",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보이지 않는 성(性)을 말하고 싶다. 성은 성 그 자체여야 한다. 그런데 그 성이 마냥 왜곡되어 있다. 그 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된 역사적 산물이라는 것에 나는 놀란다. 더구나, ‘여성의 성’을 말할 때, 여성의 성이 남성이 중심 되어 구성되어진다는 것, 그것에 나는 더 놀란다. 그 끔찍함, 그 심각함. 그런 현실에 대해 말하고 싶다. 그래서, 그 보이지 않는 성, 특히 여성만의 성, 아니 여성이 꼭 알고 있어야 할 성, 그 성에 대해 말하고 싶다.<br>\n여성들에게 성은 실종되었다. 아니 억눌렸다. 아니 환상만을 갖고 있는지도 모른다. 착각일 수도 있다. 불쾌한 것일 수도 있다.<br>\n그녀는 결혼을 환상으로 받아들였었다. 그런데 첫날밤에 그 환상은 깨어졌다. 그녀는 원조교제에 대한 착각이었다는 것을 한 번만의 경험으로도 알게 되었다. 그녀에게 부모들은 성을 알지 못하게 했다. 알려고 하면 음악으로의 성공을 할 수 없다고 엄포를 놓았다. 몸을 판다는 것 그것은 치욕 그 자체였다. 그녀는 그녀 자신이 없다. 그래서 그녀는 그녀 자신의 옷도 없다. 그러니 어찌 그녀에게 성이 있겠는가? 그녀들은 미칠 수도 미쳐지지도 않는다. 버려지고, 던져지고, 소외되고, 그래서 그녀들은 그녀들 자신을 잃었다.\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http://geonhi.com/korean/미친년-프로젝트_미친년들-1999/
067 1999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67-1999-.jpg
박영숙
미친년 프로젝트
_미친년들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67-1999--819x102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67-1999--819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68-1999-820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69-199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70-1999--819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71-1999--820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72-1999--819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73-1999--819x1024.jpg"], :captions=>["067 1999", "068 1999", "069 1999", "070 1999", "071 1999", "072 1999", "073 1999"], :gallery=>{:title=>"미친년 프로젝트_미친년들, 1999",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우리, 여성들은 스스로를 억압해 왔다. 자신들의 삶을 그 누구에게 빼앗긴 줄도 모르면서…… 윤리, 제도, 문화, 사회가 그녀들의 삶의 주인이었던 것이다.<br>\n그녀들에게는 자아가 없었다. 그녀들은 꼭두각시였다. 어머니, 누이, 착한 딸, 예쁜 손녀, 그리고 마음 너그러운 부인으로 불리면서 그녀들은 모두 ‘착한 여자 콤플렉스’에 빠져 있는 것이다. 삶, 자신, 육체, 그리고 지식, 의지, 희망, 미래까지도……<br>\n그러나 그녀들 내면 깊숙한 곳에서 끝없는 속삭임이 있었다. “바보야 그것은 네 삶이 아니야”라고. 그렇다. 그녀들은 그 정체 모를 그것에 귀 기울이기 시작했다. 새로운 경험이었다. 심장이 부서지고, 마음이 아파 오고……그녀들은 그래서 울부짖다 미쳐버렸던 것이다.<br>\n마침내 여자들은 그 ‘착한 여자 콤플렉스’를 ‘광기’로 바꾼다. 사람들은 그녀들을 ‘미친년들’이라고 부른다. 그렇다. 그녀들은 미쳤다. 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미쳐 있는 것이다. 미쳐야만, 자유로울 수 있었다.<br>\n드디어 그녀들을 얽맨 끈을 끊어낸다. 그것은 치유였다. 해방의 시간이었다.\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http://geonhi.com/korean/22681-2/
001-110-175cm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01-110-175cm.jpg
박영숙
육체 그리고 성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01-110-175cm-644x102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01-110-175cm-64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02-110-175cm-64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03-110-175cm-64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04-110-175cm-64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05-110-175cm-64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06-110-175cm-64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07-110-175cm-644x1024.jpg"], :captions=>["001-110-175cm", "002-110-175cm", "003-110-175cm", "004-110-175cm", "005-110-175cm", "006-110-175cm", "007-110-175cm"], :gallery=>{:title=>"육체 그리고 성, 1998",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성은 우리 문화에서 말해서는 안 되는, 그래서 금기시해 온 그 ‘무엇’이었다. 여성의 성은 더 은폐되어야 했었다. 생리학적 성(sex)과 문화적 성(gender)에 대해 말하려면 우리는 몸을 통하지 않고는 어떤 그 무엇도 표현될 수 없다. 그러나 전통문화 속에 내재화된 성, 그래서 관념화된 육체는 벗겨진 몸으로 드러내는 주체와 그 드러내어진 몸을 보는 주체의 평등하지 못한 관계로 인해 많은 문제들을 발생시켜 왔다. 남성 몸에 비해 여성의 몸은 억압돼 있거나 보는 주체를 의식해 나르시시즘적으로 왜곡되었다면, 그 몸을 보는 주체(남성)들의 시선은 관습화된 응시로 여성의 몸의 주인인 양 여성의 몸을 남성의 잣대로 재면서 남성 중심적 평가를 해 왔다.<br>\n여성의 성에 대해 말한다는 것, 그 성을 가시화한다는 것, 어떻게 가시화해야 소통할 수 있는가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야 했다. 오랜 역사를 통해 내재화된 성의 개념에 도전한다는 것, 더구나 그 관념화된 육체, 이성에 반한 저급한 가치로 표상화된 여성의 몸을 새롭게, 다른 개념으로 표현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경험하게 되었다.<br>\n여성의 몸이 벗겨졌을 때,그 벗겨진 몸의 주인의 태도, 그 몸을 보아온 습관적 시선들, 이 모두가 생각났다. 그런데 여성의 몸이든 남성의 몸이든 벗을 때 몸의 주인이나 그 몸을 대하는 상대가 처음에만 주춤거릴 뿐, 일정한 시간이 흐르면 벗겨졌다는 사실을 서로 잊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관념이나 이데올로기라는 사실을 말해주었다. 나는 여성의 성을 히스테리아적으로 접근했다. 알 수 없는,알 것 같은, 보이지 않는, 아니 보이는 것 같은 것들을 상상한다. 여성의 성기,자궁, 클리토리스 등등 이런 것들만을 여성의 성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말하려니 어떻게 보여 주어야 할까를 고민하게 되었다. 성의 형태가 있을 수 있는지? 성의 속성은 무엇인지? 그 아무것도 알 수가 없었다.<br>\n그래서 상상을 해 보았다. 몸을 통해 기호적으로 읽히게 해 보는 것이다. 여성들에 대해 기대하는(바라는) 통념적 기호는 날씬하다, 매끄럽다, 부드럽다, 뽀얗다, 균형 잡혀 있다(이것도 고정 관념화 된 이데올로기이다) 등등인데, 이것들에 반(反)해 뚱뚱하다, 거칠다, 울퉁불퉁하다, 거무튀튀하다, 불균형적이다, 늙었다,상처 있다, 주름살이 많다 등등을 대상화 해보았다. 그 몸의 이미지는 편안하고 자유로워, 거북살스럽지 않았고 자연스러웠다.<br>\n또한 성의 속성, 형태를 이미지로 재현해 보았다.<br>\n–\t사과의 육질이 가진 성감, 그 수분의 생명감을 성적 속성으로<br>\n–\t꽃이 씨앗으로 전환되는 생명성 잉태, 그 꽃의 유혹, 굽이굽이 감도는 미궁적 속성 등 싱싱한 꽃의 생동감,흐드러져 활짝 핀 것의 풍만함, 넉넉함,완성됨<br>\n–\t다리미의 열정, 속도,진취적 생동감<br>\n–\t주전자의 흐름,나눔,무엇인가 다 설명할 수 없는 모든 것들의 함축 등<br>\n<br>\n그녀의 몸에는 상처가 많다. 어릴 적 앓은 소아마비 흔적으로 두 다리의 길이가 다르고,출산 흔적으로 생긴 배의 상처와 살이 쪘다 내리면서 생긴 뱃살의 형태들이 그렇다. 혐오의 대상들이다. 그러나 그 여인은 자연스럽게,자유롭게, 벗은 줄도 모르는 채 마음껏 행동한다. 즐겁게 움직이는 그 몸의 동작은 그 어느 남성의 시선도 의식하지 않았으므로 드러낼 수 있는 태도이다.<br>\n나는 이 기호적 이미지로서 몸을 표현하기 위해서, 실재의 공간이 아닌 ‘무한의 공간’,‘가상의 공간’이 필요해졌다. 현실에 실재(實在)하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기에,알고 있는 이야기가 아니기에,미지의 이야기,상상의 이야기,그래서 확장되기도 하고 축소될 수도 있으며, 결코 3차원의 질서의 재현과 무관한 이야기이기에, 이성적 공간이 아닌 ‘감성의 공간’,’무의식의 공간’으로 가보았다. 그랬더니 이 말이 안 되는 생각들, 몸의 이야기가 가시화되었다.<br>\n나는 이 가시화된 이미지로 전통문화 속에 기표화된 몸 이야기에 대응해, 그 몸의 통념화된 기호 체계를 전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가시화된 몸 이미지가 나는 즐겁다.\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http://geonhi.com/korean/싹-전_뒷방-늙은이-1995/
043 1995 Grandmother's Room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43-1995-Grandmothers-Room-1-1.jpg
박영숙
'싹' 전_'뒷방 늙은이'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43-1995-Grandmothers-Room-1-1-665x102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43-1995-Grandmothers-Room-1-1-665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44-1995-Grandmothers-Room-1-1-1024x66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45-1995-Grandmothers-Room-1-1-1024x668.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46-1995-Grandmothers-Room-1-1-671x1024.jpg"], :captions=>["043 1995 Grandmother 039;s Room", "044 1995 Grandmother 039;s Room", "045 1995 Grandmother 039;s Room", "046 1995 Grandmother 039;s Room"], :gallery=>{:title=>"‘싹’ 전_’뒷방 늙은이’, 1995",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한숨소리, 궁시렁거리는 소리, 혼자 주고받는 말이 아닌 소리, 뜯었다 붙였다 하는 헛손짓, 의미 없는 신문 쪼가리를 의미 있는 듯 소중히 붙이는 버릇, 서두 없는 말 엉뚱한 소리로 뇌까리는 대화 아닌 대화가 들린다. 몰래 감추어 둔 음식에서 나는 냄새가 나고, 저고리 고름 떼어 버선목에 붙이는 행동도 보인다. 아침 밥상에서 훔쳐 내려논 생선 토막이 있는 것 같고, 문갑 서랍에는 박하사탕, 셈베이 그리고 누룽지가 뒤섞여 있을 법하다.<br>\n뒷방에 있었던 이런 것들이 소외된 느낌을 지금도 전하고 있다. 천당에서 나팔꽃이 되어 미소 짓고 내려다보시는 할머니는 그 모든 것들을 다 잊고 그 모두를 용서하신다. 손자가 모를까 봐, 손녀가 잊어버릴까 봐 붙여 놓았던 흔적들은 아직 남아 할머니의 영혼으로 변신해서 그 뒷방을 지킨다. 당당한 안방마님이셨던 할머니, 곳간 열쇠 쥐고 있던 그 손이 빈 손이었다. 외로움에 지쳐 모든 것에 집착했던 할머니의 흔적이 곳곳에 녹아 있다. 이 늙은 여인의 이야기는 아무 데도 기록되지 않아, 바람이 바람결로 전해준다.\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http://geonhi.com/korean/여성-그-다름과-힘-전_자궁-프로젝트-1994/
033 1994 Song of the Uterus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33-1994-Song-of-the-Uterus-.jpg
박영숙
'여성 그 다름과 힘' 전
_자궁 프로젝트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33-1994-Song-of-the-Uterus--1024x660.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33-1994-Song-of-the-Uterus--1024x66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34-1994-Song-of-the-Uterus--1024x68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35-1994-Song-of-the-Uterus--1024x7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36-1994-Song-of-the-Uterus-1024x6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037-1994-Song-of-the-Uterus--1024x761.jpg"], :captions=>["033 1994 Song of the Uterus", "034 1994 Song of the Uterus", "035 1994 Song of the Uterus", "036 1994 Song of the Uterus", "037 1994 Song of the Uterus"], :gallery=>{:title=>"‘여성 그 다름과 힘’ 전_자궁 프로젝트, 1944 ",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이제, 크신 어머니 자고 깨니<br>\n자궁은 생성이 그 본질이다. 하늘 어머니가 지구를 창조했듯, 여성은 자궁으로 오늘도 계속 한 생명을 창조한다. 지구의 창조, 자연의 창조, 인간의 창조, 인간들의 역사가 아직도 계속해 창조 활동을 하고 있다.<br>\n남성들의 역사, 문화는 자연을 극복하려는 의지의 역사였다. 문명화라는 말로 철학과 과학이라는 당위성을 논하며, 정치와 경제의 가치성이라는 이름으로 남성 중심의 역사가 오늘을 이루어 냈다. 이제 그 ‘역사’가 지구를 파괴했다는 다양한 양상들이 지구 여기저기에서 드러나고 있다. 지나친 연구, 지나친 경쟁으로.<br>\n자궁이 그들을 부르고 있다. 자궁으로 돌아와 좀 쉬어 보라고. 자궁이 너희를 품어 거듭 태어나게 하려 하니, 들어와 새로운 양분들을 섭취해 보라고…… 자궁에서 촉각, 청각, 후각, 미각, 시각으로 전해주는 경험, 그 자궁에서의 경험으로 아마 당신을 거듭나게 해 줄 것입니다.<br>\n여기는 ‘크신 어머니의 자궁 속’입니다. 어서 오세요.\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여성 그 다름과 힘' 전
_자궁 프로젝트
1994
http://geonhi.com/korean/우리-봇물을-트자_마녀-1988/
1.1988 우리 봇물을 트자 마녀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988-우리-봇물을-트자-마녀.jpg
박영숙
우리 봇물을 트자_마녀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988-우리-봇물을-트자-마녀-1024x303.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988-우리-봇물을-트자-마녀-1024x30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2.-1988-우리-봇물을-트자-장미-287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3.우리-봇-물을-트자-미래를-향하여-71.1x25cm-1024x36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4.1988-우리-봇-물을-트자-결혼wedding-52.5x35cm-1024x68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5.1988-우리-봇-물을-트자-먼-길-떠난-할머니-67x25cm-1024x3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6.-땅-임자가-뉘시오-52.5x35cm-1024x678.jpg"], :captions=>["1.1988 우리 봇물을 트자 마녀", "2. 1988 우리 봇물을 트자 장미", "3.우리 봇 물을 트자 미래를 향하여 71.1x25cm", "4.1988 우리 봇 물을 트자 결혼(wedding) 52.5x35cm", "5.1988 우리 봇 물을 트자 먼 길 떠난 할머니 67x25cm", "6. 땅 임자가 뉘시오 52.5x35cm"], :gallery=>{:title=>"우리 봇물을 트자_마녀, 1988",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우리 봇물을 트자’ 전: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br>\n‘또 하나의 문화’와 연대하며 여성주의 개념을 학습했다. 글 쓰기와 이미지 구성을 어떻게 해야 남성 문화가 이루어 놓은 표현과 ‘다르게 하기’로 차별될까를 훈련하는 학습이었다. 인문학적 인식을 통한 페미니즘적 예술 표현에 대한 토의와 학습이었다. 이미 많은 작업을 해온 시인들의 시가 우리들의 텍스트였다. 김혜순의 시가 이미지적이어서 그 시의 내용에 얽힌 표현을 시각화해 보는 것이 나의 사진 작업이었다.<br>\n김혜순의 시 ‘마녀 화형식’을 읽고 느낀 나의 마음을 표현한 작품이 바로 ‘마녀’이다. 이 시의 마지막 행 “몸 전체에 불길을 매단 채……”라는 구절이 내 작업을 이끌어냈다. 서양의 역사에서 여성 억압의 대표적인 사례였던 마녀들, 지혜롭고 창의적이며 주체적인 그녀들을 그 시대는 그들의 질서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적대적 존재로 상정, 그녀들을 ‘화형’시켰다는 사실을 듣고, 난 그녀들의 삶을, 행동했던 실천을, 그녀들의 사유 체계를 극대화시켜 내겠다는 결심을 했다. 내 살이 부르르 떨리고 있음을 느꼈다. 그녀들의 죽음을 떠올리며 나는 희생된 마녀들의 영혼을 불러내 위로해 주고 싶었다. 끌어안아주고 싶었다. 치유해주고 싶었다.<br>\n마녀가 우리들이 존재하는 오늘의 세계로 온다면 3차원은 아니라는 생각에서 다차원적 사진, 포토몽타주의 형식을 사용해 보기로 했다. 몽타주로 3차원을 중첩시킨다면 4차원적 표현으로서 중세의 마녀를 21세기 오늘로 초대하는 표현이 가능하다 생각했다. 이 작품이 나의 ‘페미니즘 사진 형식’을 구축하게 만든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br>\n이 작품은 1988년 ‘우리 봇물을 트자: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전에 전시되었고, ‘우리 봇물을 트자’ 전은 페미니즘 아트의 한 효시가 되었다. ‘마녀’에 이어, ‘장미’, ‘먼 길 떠난 할머니’, ‘땅 임자가 뉘시오’, ‘미래를 향하여’, ‘결혼?’ 등 다섯 작품이 더 제작되어 나왔다.\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
http://geonhi.com/korean/36명의-포트레이트-1981/
1. 시인 김영태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시인-김영태-1.jpg
박영숙
36명의 포트레이트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시인-김영태-682x1024.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시인-김영태-682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2.-성악가-박노경-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3.-농구선수-박신자-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4.-작곡가-백병동-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5.-건축가-김원-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6.-한미미술관-관장-송영숙-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7.-금속공예가-김재영-682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8.-연극의상-최보경-683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9.-의상디자이너-트로아-조-683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0.-화가-석란희-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1.-연극인-박정자-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2.-조각가-박윤자-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3.-섬유공예가-안순이-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4.-바이올리니스트-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5.-화가-최욱경-1024x68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6.-매듭공예-정선주-682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7.-강은엽-682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8.카페-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19.-김금지-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20.-김영수-682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21.-김진숙-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22.-무대연출가-683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23.-손석진-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24.-손숙-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25.-신달자-1024x68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26.-오광수-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27.-윤석남-1024x68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28.-이상백-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29.-배우-이영란-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30.-무용가-이정희-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31.-이제하-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32.-정현종-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33.-치과의사-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34.-한영애-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35.-한영애-친구-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7/12/36.-홍승연-1024x682.jpg"], :captions=>["1. 시인 김영태", "2. 성악가 박노경", "3. 농구선수 박신자", "4. 작곡가 백병동", "5. 건축가 김원", "6. 한미미술관 관장 송영숙", "7. 금속공예가 김재영", "8. 연극의상 최보경", "9. 의상디자이너 트로아 조", "10. 화가 석란희", "11. 연극인 박정자", "12. 조각가 박윤자", "13. 섬유공예가 안순이", "14. 바이올리니스트", "15. 화가 최욱경", "16. 매듭공예 정선주", "17. 강은엽", "18.카페", "19. 김금지", "20. 김영수", "21. 김진숙", "22. 무대연출가", "23. 손석진", "24. 손숙", "25. 신달자", "26. 오광수", "27. 윤석남", "28. 이상백", "29. 배우 이영란", "30. 무용가 이정희", "31. 이제하", "32. 정현종", "33. 치과의사", "34. 한영애", "35. 한영애 친구", "36. 홍승연"], :gallery=>{:title=>"36명의 포트레이트, 1981",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1979년 여름, 나는 친구들의 인물 사진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이 기록은 기억을 위한 것도 추억을 위한 것도 아니었다. 그 기록은 나 자신을 돕기 위한 것이었고, 나를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한 것이었다. 39살의 나는 유방암이라는 판정에 두 다리가 휘청거려 주저앉았었다. 39년을 뒤돌아보는 계기였다. 그간 열심히 살았는데, ‘너도 별 것 아니구나’ 싶었다. 수술 도중 죽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허망했다. 철없이 꿈만 많던 나, 벌써 40대…… 나이 앞에서 나를 되돌아보았다. 내 주변의 인물들을 떠올려 보았다. 그들 모두가 뭔가를 이루어 낸 존재들로 우뚝 서있었다. 나는 아직도 정체성 구축에 미흡했다.<br>\n무사하게 퇴원 수속 밟아 집에 돌아왔다. 집 천정이 울렁거렸다. 그 천정에 초점을 맞추려 하니 거기에 떠오른 존재들이 보였다. ‘의미 있는 삶’, ‘의미 있는 나이’로 현재를 책임지고 나아가는 존재들이 보였다. 교수, 시인, 소설가, 작곡가, 성악가, 연극배우, 농구 선수, 화가, 무대 연출가, 연극 의상 디자이너, 패션 디자이너, 그들 각자는 이미 자기 정체성이 확립된 존재들이었다. 부러웠다. 존경스러웠다. 저들을 기록하는 일부터 시작하자고 마음을 먹었다.\n"}, :artist=>{:title=>"박영숙, 朴英淑", :description=>"[개인전]<br>\n2017 두고 왔을 리가 없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16 미친년 · 발화하다,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한국<br>\n2009 Cry Crack Crazy,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서울, 한국<br>\n2006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김재선 갤러리, 부산,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소나무갤러리, 춘천, 강원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한국미술관, 용인, 경기도, 한국<br>\n2005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4 미친년프로젝트 Mad Women Project, Dawn Center, Osaka, Japan<br>\n2004 미친년프로젝트Mad Women Project, The Third Gallery Aya, Osaka, Japan<br>\n1982 노스탈쟈, 파인힐 사진전문갤러리, 서울, 한국<br>\n1981 36명의 포트레이트 / Portraiture of 36 Friends, 공간사랑 갤러리, 서울, 한국<br>\n1975 UN제정 ’75 세계여성의 해’ 기념사진展, 평등 발전 평화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1966 박영숙 개인展, 중앙공보관, 서울, 한국<br>\n<br>\n[그룹전]<br>\n2017 감각의 언어, 몸, 무안군 오승우 미술관, 무안, 한국<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br>\n2015 한국여성미술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전북<br>\n2014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RC Gallery, Chicago, USA<br>\n2014 어머니의 눈으로 Through The Eyes of The Mother, Women Caucus for Art, Korean / Chicago KCCOC, USA<br>\n2012 경기도미술관기획展 ‘게임 x 예술바츠혁명展’, 경기도, 안산, 한국<br>\n2012 이대 창립126주년 기념展 ‘모성 Motherhood’ 한국미술 속의 어머니 / 아시아 미술 속의 어머니,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11 인천상륙 作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br>\n2010 ‘워킹 맘마미아’ 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 국립여성사전시관, 서울, 한국<br>\n2009 New Digital Age, Novosibirsk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br>\n2008 언니가 돌아왔다,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 한국<br>\n2008 한.태 수교 50주년 기념展 Daily Life in Korea, 퀸즈갤러리, 태국<br>\n2006 여성. 일. 미술–한국 미술에 나타난 여성의 노동,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한국<br>\n2005 Frankfurt Book Fair 2005 ‘The Battle of Visions’, Kunsthalle Darmstadt, Frankfurt, Germany<br>\n2004 해이리페스티벌 ‘장소/공간’, 해이리, 경기도, 한국<br>\n2004 ‘Borderline Cases’ Women On The Borderlines, ART Gallery, Tokyo, Japan<br>\n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한국<br>\n2003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기획 사진展,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br>\n2003 여섯 사진작가의 여섯 개의 코드 읽기, Work, Power, The City, Sex, New Technology, Money,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2002 육체 풍경(Body scape), 로댕갤러리, 서울, 한국<br>\n2002 제2회여성미술제, 동아시아여성과 역사 여성플라자, 서울, 한국<br>\n2002 광주비엔날레 2002 ‘멈춤. 止. PAUSE’ 제3프로젝트 ‘집행유예’,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br>\n2001 광주시립미술관주최 오월정신展 ‘행방불명’,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br>\n2001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과 시간, 여성과 공간’,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br>\n1999 여성문화예술기획주최 99 여성미술대展 ‘팥쥐들의 행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br>\n1999 여성사진가협회주최, 여성특위후원, 나무화랑, 서울, 한국<br>\n1999 99 서울사진대展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 서울사진대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98 98사진 영상의 해기념사진展 ‘사진의 시각 확장展’ 현실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998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포스코갤러리, 서울, 한국<br>\n1995 서울선재미술관 개관기념 ‘싹’展, 서울선재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적인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미술관, 서울, 한국<br>\n1994 여성과 현실, 갤러리 21세기, 서울, 한국<br>\n1993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92 여성과 현실,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1988 여성해방 시와 그림의 만남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림마당 민, 서울, 한국<br>\n<br>\n[집필]<br>\n1999-2000 월간 건축인 / Poar에서 영상강의 연재<br>\n1999-2001 월간 사진예술에서 박영숙의 사진개론 연재<br>\n1990-1992 월간 사진예술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란 코너 연재<br>\n1987-1989 월간 월간사진에서 현대 세계 사진작가론 연재<br>\n<br>\n[미술관 컬렉션]<br>\n24. 2016 30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년, 36 pieces 16×20 inch, gelatin silver print, 2016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23. 2015 1, 마녀 (1988) 217.2×26.5cm gelatin silver print<br>\n 2. 장미 (1988) 25.5x133cm, gelatin silver print<br>\n 3, 미래를 향하여 (1988) 71.1x25cm gelatin silver print<br>\n 4. 먼 길 떠난 할머니 (1988) 67x25cm”gelatin silver print<br>\n 5. 땅 임자가 뉘 시오 (1988) 52.5x35cm, gelatin silver print<br>\n 6. 결혼 (1988) 52.5 x 35cm gelatin silver print Hanul M Plus, 파주, 한국<br>\n 22. 2014 육체 그리고 성 (2002) series 5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1.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0. 2014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9.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Lesbian Wedding (2003) Series 2 pieces 70x7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Osaka project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8. 2013 Monsieur Butterfly (2003)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7. 2012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16. 2012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 x 128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5. 201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15 pieces 16×20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강원도, 한국<br>\n14. 2011 Witch Within Me series 6 pieces 127x170cm,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3. 2010 Mad Women’s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series 2 pieces 120x120cm, Osaka Project series 2 pieces 120x120cm, A Flower Shakes Her series. 3 pieces 120x120cm cprint, 한울 출판사, 서울, 한국<br>\n12. 2009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 x 150cm c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br>\n11. 2006 해이리여신 WOMAD (2004) series 4 pieces 120x170cm cprint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br>\n10. 2006 Project for Money Reformation (2003) series 5 pieces 89x128cm cprint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 연구소, 서울, 한국<br>\n9.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cprint,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한국<br>\n8. 2006 Mad Women’s (1999) series 2 pieces 120x150cm,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x120cm cpri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br>\n7. 2005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 120x120cm cprint,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br>\n6. 2005 Mad Women’s (1999) series 1 piece 120x150cm, A Flower Shakes Her (2005) series 1 pieces 120x120cm c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5. 2004 소녀 와 소년의 sexuality (2004) series 2 pieces 120×220cm cprint, 군포청소년회관, 경기도, 한국<br>\n4. 2003 Gay and Lesbian (2003) series 6 Pieces 60x60cm cprint,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서울, 한국<br>\n3. 2002 36명의 포트레이트 Portraiture of 36 Friends (1981) series 21 pieces 11×14 inch, b/w, gelatin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2. 2002 마녀 (1988) 1 piece 145×19cm, b/w, silver print,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br>\n1. 2002 Imprisoned Body, Wandering Spirit (2002) series 2 pieces 120×120cm cibachrom print, 광주비엔날레, 광주, 전남, 한국\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