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geonhi.com/korean/김현수-314-80m2-2016/
01_52x35cm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01_52x35cm.jpg
김현수
314.80m²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01_52x35cm-1024x659.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01_52x35cm-1024x65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02_52x35cm-1024x67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03_52x35cm-1024x65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04_52x35cm-1024x67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05_52x35cm-1024x67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06_52x35cm-1024x65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07_52x35cm-1024x65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08_52x35cm-1024x65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09_52x35cm-1024x65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10_52x35cm-1024x6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11_52x52cm-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12_52x52cm-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13_52x52cm-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14_52x52cm-1024x102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8/05/15_55x25cm-1024x465.jpg"], :captions=>["01_52x35cm", "02_52x35cm", "03_52x35cm", "04_52x35cm", "05_52x35cm", "06_52x35cm", "07_52x35cm", "08_52x35cm", "09_52x35cm", "10_52x35cm", "11_52x52cm", "12_52x52cm", "13_52x52cm", "14_52x52cm", "15_55x25cm"], :gallery=>{:title=>"314.80m², 2016",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314.80m² 는 시, 군 지역에서의 아파트 200세대 당 놀이터의 최소 면적을 말한다. 현대적인 삶을 위해서 발달한 도시는 아이들의 놀이를 배려해야 하는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해야만 하는 법적 규정을 만들었다. 하지만 일정한 규격 속 경제적인 논리에 의해 설계된 놀이터의 모습은 현대인들의 모습을 대변하고 있다. 예전의 우리의 삶보다는 현재 훨씬 윤택한 삶을 살고 있지만 자신의 정체성보다는 사회의 틀 속에서 쳇바퀴 돌듯 서로 비슷하게 살아가는 도시인들의 모습과 닮았다. 이제 사회의 첫발을 내딛는 나의 시선에서 보았을 때 각자 화려하고 멋진 삶을 사는 거 같아 보이지만 사회의 일반화된 삶을 위해 개개인의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도시 위에 던져진 섬처럼 느껴졌다. 이런 현대인들의 화려하지만 쓸쓸해 보이는 모습을 놀이터에 투영시켜보려고 하였다.<br>\n<br>\narticle, 이경문<br>\n시•군 지역에서의 아파트가 반드시 보유해야 하는 200세대 당 놀이터의 최소면적을 의미하는 314.80m² 는 김현수에게 있어서 차갑고 인위적인 도시의 얼굴이자 무엇인가 결핍된 공간이다. 현대의 생존을 위해서 생성되고 발전한 도시는 어린이들의 놀이를 위해 최소한의 면적을 확보하도록 314.80m² 규격의 숨 트임 공간을 아파트 건물과 사이사이에 만들어 놓았다. 자연과 함께 자유롭게 뛰어놀며 사물의 조화를 배우던 작가의 유년시절과 달리 아파트 단지에서 살아가는 현대 도시의 어린이들은 규격화된 공간에서 놀이를 시작하고 친구를 사귀고 사회활동을 시작한다. 특히 신도시에서 새로 건축되는 놀이터들은 알록달록한 색으로 치장되어 깔끔하게 정돈된 인상을 준다. 이 규격화된 조형물들의 모습은 인류가 지어낸 도심 속의 아파트처럼 비슷비슷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때론 구입할 수 있는 상품처럼 보이기도 한다. 작가는 촬영된 사진에서 대상의 색채와 인물들을 인위적으로 제거하고 배경을 생략하는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피사체 일부분을 화면에서 의도적으로 생략시키고 원근법을 무시하여 보는 이에게 시각적 혼돈을 일으킨다 흔하게 만날 수 있는 평범한 공간들을 유형화하고 추상적으로 전환하여 바라봄으로써 도시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이면과 결핍을 탐구하고 있다.\n"}, :artist=>{:title=>"김현수, Kim Hyeon su", :description=>"1994년 부산 출생<br>\n<br>\n[학력]<br>\n2018 대구예술대학교 사진영상미디어학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8 314.80m², IPA갤러리, 창원<br>\n<br>\n[단체전]<br>\n2017 2017 젊은 사진가展 예술상회토마, 대구<br>\n2017 PASA Festival in Suwon 갤러리 벽적골, 수원\n"}}
314.80m²
2016
김현수
1994년 부산 출생
[학력]
2018 대구예술대학교 사진영상미디어학과 졸업
[개인전]
2018 314.80m², IPA갤러리, 창원
[단체전]
2017 2017 젊은 사진가展 예술상회토마, 대구
2017 PASA Festival in Suwon 갤러리 벽적골, 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