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geonhi.com/korean/김상돈-monument-zero-2014/
01. Monument Zero - Crying Face,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50x50cm, 2014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Monument-Zero-Crying-Face-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50x50cm-2014-1.jpg
김상돈
Monument Zero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Monument-Zero-Crying-Face-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50x50cm-2014-1.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1.-Monument-Zero-Crying-Face-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50x5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2.-Monument-Zero-Crying-Face-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50x5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3.-Monument-Zero-Hand-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50x5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4.-Monument-Zero-Rescue-Ship-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50x5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5.-Monument-Zero-Rescue-Ship-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50x5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6.-Monument-Zero-Standing-Man-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70x7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7.-Monument-Zero-Standing-Man-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70x7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8.-Monument-Zero-Standing-Man-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70x7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09.-Monument-Zero-Standing-Man-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70x7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10.-Monument-Zero-Antenna-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70x7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11.-Monument-Zero-Antenna-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70x7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12.-Monument-Zero-Antenna-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70x7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13.-Monument-Zero-Torma-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100x77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14.-Monument-Zero-Seven-Times-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70x7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15.-Monument-Zero-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100x10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16.-Monument-Zero-Mt.Sumi-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100x100cm-2014-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4/10/17.-Monument-Zero-Photograph-of-Hard-Paper-Structure-Inkjet-Print-100x100cm-2014-1.jpg"], :captions=>["01. Monument Zero - Crying Face,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50x50cm, 2014", "02. Monument Zero - Crying Face,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50x50cm, 2014", "03. Monument Zero - Hand,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50x50cm, 2014", "04. Monument Zero - Rescue Ship,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50x50cm, 2014", "05. Monument Zero - Rescue Ship,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50x50cm, 2014", "06. Monument Zero - Standing Man,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70x70cm, 2014", "07. Monument Zero - Standing Man,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70x70cm, 2014", "08. Monument Zero - Standing Man,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70x70cm, 2014", "09. Monument Zero - Standing Man,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70x70cm, 2014", "10. Monument Zero - Antenna,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70x70cm, 2014", "11. Monument Zero - Antenna,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70x70cm, 2014", "12. Monument Zero - Antenna,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70x70cm, 2014", "13. Monument Zero - Torma,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100x77cm, 2014", "14. Monument Zero - Seven Times,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70x70cm, 2014", "15. Monument Zero,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100x100cm, 2014", "16. Monument Zero - Mt.Sumi,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100x100cm, 2014", "17. Monument Zero, Photograph of Hard Paper Structure, Inkjet Print, 100x100cm, 2014"], :gallery=>{:title=>"Monument Zero, 2014",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시간<br>\n지난 4월 16일, 많은 아이들이 죽었다. 앞으로 흐르는 시간의 궤도상에서 나보다 뒤에 태어난 이들이 먼저 사라져 버린 것이다. 원래 시간은 가변적이고 상대적이며 심지어 자의적인 것이라 한다. 그러나 그것은 주로 과거의 시간을 재배치하거나 재구성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시간의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이다. 반면, 4. 16이 내게 준 시간의 경험은 앞으로 도래할 미래가 미리 잘려나간 느낌이었다. 많은 미성년자들이 한꺼번에 사라짐으로써, 미래 시간이라는 궤도에 큰 구멍이 난 것이다. 그것은 현재에 만들어진 시간의 구멍이지만, 동시에 미래에 난 구멍이었다. 세월호 참사는 현재 속의 미래가 죽어버린 사건이었던 것이다. 미래가 되지 못하는 현재는 존재 근거 ground를 잃고 휘청댄다.<br>\n<br>\n싱크홀<br>\n나는 4. 16 이후 줄곧 현재라는 시간대에 난 생생한 미래의 구멍을 바라보고 있었다. 마치 시간의 구멍을 확인이라도 해주듯이, 이번에는 거리 한 복판에 공간의 구멍이 발견되기 시작했다. 싱크홀은 우리가 디디고 선 공간에 나타난 매우 즉물적인 구멍이었다. 사람들이 지표면에 생긴 구멍에 놀라는 사이, 나는 뉴스에 등장한 땅 밑의 거대한 지하에 더욱 놀랐다. 싱크홀은 지하의 땅이 ‘사라짐으로써’ 드러낸 형상이었던 것이다. 세월호 참사와 싱크홀의 출현 사이에서, 나는 ‘부재’가 조성하는 적극적인 형태가 있음을 확인했다. 부재는 단순히 없음 nothingness 과는 상이한, 감각적으로 또렷하고 적극적인 존재이다. 부재는 현존과 다른 존재방식으로 현존을 완성하는 즉물적인 촉이다.<br>\n<br>\n부재의 기념비<br>\n부재는 그 자체로 강력한 존재이지만, 현존과의 대자적 관계 속에서 역설적으로 현존의 언어를 빌어서만 드러난다. 마찬가지로, 미술에서 ‘부재’의 존재 방식을 표현하려는 시도는 결국 부재감을 탐지하려는 현존의 언어를 빌릴 수밖에 없다. 부재를 드러내는 기념비를 만들고 싶었다. 부재가 존재하는 방식을 닮은 조형을 구축하고 싶었다. 나는 지난 몇 달간 종이, 유토 등의 재료로 서사, 형상, 시간, 공간 상의 부재감을 표현하는 조형물을 만들었다. 종이를 자르면 빛이 나뉘면서 공간이 분할되곤 했다. 그렇게 잘린 종이를 다시 이어 붙이면 형상이 만들어지지만 동시에 다른 빈 공간이 등장하기도 했다. 때로는 서사를 따라, 때로는 형상 icon을 따라, 때로는 시간성과 공간성이라는 좌표에 따라 부재의 조형이 만들어져 갔다. 그리고 이들을 사진으로 촬영하였다. 실체와 비실체, 현존과 부재 사이의 틈으로 작용하는 사진을 만들고 싶었다.<br>\n<br>\n모뉴먼트 제로<br>\n이렇게 만들어진 ‘모뉴먼트 제로’는 나의 조형연구 연작의 네 번째 작품이다. 첫 시작은 2013년 염상섭의 소설을 기초로 한 서사적 종이 오브제 시리즈 ‘만세전’이었다. 같은 해 겨울, 나는 북한산이 빛의 섬광을 받아 순간 다른 시공간 차원대로 전치된 상태를 표현한 종이 조형 오브제 ‘단백광’을 발표했다. 금년 초 발표한 ‘안테나’ 시리즈는 파편화된 사물-인간-도구들이 상호 연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서로 의지해가며 직립해 있는 군상 오브제들이었다. 이번 ‘모뉴먼트 제로’는 이러한 조형연구 연장선에서 즉물적 재료로 부재를 조형화 해보고 그것을 인화해 보려는 노력이다. 나에게 이 시리즈는 공간에 종이로 그린 드로잉이면서, 구체적인 구조물이고, 동시에 비물질적인 이미지이다. 부재는 그렇게 존재한다.\n"}, :artist=>{:title=>"김상돈, Kim Sangdon", :description=>"1973 서울 출생<br>\n<br>\n[학력]<br>\n2004 베를린국립예술대학교 순수미술과 마이스터쉴러 졸업<br>\n2003 베를린국립예술대학교 순수미술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4 Monument Zero, 트렁크갤러리, 서울<br>\n2012 10회 다음작가展 약수, 아트선재센터, 서울<br>\n2011 우리의 생활사, 갤러리쿤스트독 + 미술연구소, 서울<br>\n2011 Subjective Projections: Sangdon Kim, Bielefelder Kunstverein, 빌레펠트, 독일<br>\n2011 불광동 토템, 트렁크갤러리, 서울<br>\n2004 입주를 축하합니다, 대안공간 풀, 서울<br>\n1997 안전제일, 살 바, 서울<br>\n<br>\n[그룹전]<br>\n2012 부산비엔날레: 배움의 정원, 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2012 대구사진비엔날레: 사진은 마술이다!, 대구<br>\n2012 SeMA Blue: 12개의 방을 위한 12개의 이벤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1 2011 에르메스미술상, 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br>\n2011 흙, 장미, 복합문화공간 꿀 & 꿀풀, 서울<br>\n2011-2012 군산리포트: 생존과 환타지를 운영하는 사람들,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br>\n2011-2012 우여곡절: 군산의 사람과 움직임, 구 군산수협 동부 어판장, 군산아트레지던시, 군산<br>\n2011 강 같은 평화, 스페이스99, 서울<br>\n2011 제10회 동강 국제 사진展: 흐르는 시간, 멈춘 시각, 문화예술회관, 영월<br>\n2011 새로운 발흥지 I: 포스트 네이쳐,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0 2010 서울사진축제: 서울에게 서울을 돌려주다,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서울<br>\n2010 1, 복합문화공간 꿀 & 꿀풀, 서울<br>\n2010 군산이 말하는 것은?, 군산아트레지던시, 군산<br>\n2010 기념비적인 여행, Space C, 코리아나미술관, 서울<br>\n2010 긍지의 날,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br>\n2009 Unconquered : Critical Visions from South Korea, Museo Tamayo Arte Contemporaneo, 멕시코시티<br>\n2009 1990년대 이후의 새로운 정치미술: 악동들/지금 여기,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09 States of Distraction : EMPORIUM, Fabbrica Borroni- Bollate, 밀라노, 이탈리아<br>\n2009 여가, 위장된 노동?, Kaufhof Sinn Leffers, 하노버, 독일<br>\n2008 Dongdu-cheon: A Walk to Remember, A Walk to Envision, New Museum of Contemporary Art, 뉴욕: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7 Activating Korea: Tides of Collective Action, The Govett-Brewster Art Gallery, 플리마우스, 뉴질랜드<br>\n2007 지역연구와 미술 I: 2007 동두천을 주목하는 이유,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7 부산 비엔날레 현대미술展 두 도시 이야기: 부산-서울/서울-부산, 부산현대미술관, 부산<br>\n2007 제3회 오늘의 인권展: 그림자, 신한갤러리, 서울<br>\n2004 Power Ranger, Gallerie Schillerpalais, 베를린, 독일<br>\n2003 Hotel, Berlinische Gallerie, 베를린, 독일<br>\n2000 Wir bauen fuer Sie um 당신의 집을 고쳐드립니다, Westend Bahnhof, 베를린, 독일<br>\n1998 Seoul-Tokyo-Duesseldorf, Kunstraum Duesseldorf, 뒤셀도르프, 독일<br>\n1998 미술주변展, 덕원갤러리, 서울<br>\n<br>\n[출판 · 지면작업 발표]<br>\n2012 다음작가選10 ‘김상돈: 풍경의 배면, 성속의 밀어를 듣다’, 현실문화연구 + SAMUSO, 서울<br>\n2008 I’ve seen that road before,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8 동두천: 미술인리포트, 볼 10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6 ‘+82’지면작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6 중동과 ‘우리’, 볼 2호, 지면작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5 공황, 볼 1호 지면작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2 Wie der er scheinen, 김상돈, 베를린, 독일<br>\n2001 Besucher, 김상돈, 베를린, 독일<br>\n<br>\n[상영회]<br>\n2010 8ème Festival international Signes de Nuitl, 특별초대부문, Festival international SIGNES DE NUIT, 파리 (http://www.signesdenuit.com/paris/P8/exIS_F.htm), 프랑스<br>\n2009 제6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EXiS 2009, 서울<br>\n2009 Spectacle East Asia: Translocation+Publicity+Counterpublics, 시각문화연구 국제 컨퍼런스초청상영, University of Rochester, 뉴욕, 미국<br>\n<br>\n[수상]<br>\n2012 제3회 두산연강예술상 미술부문<br>\n2011 제12회 에르메스재단 미술상<br>\n2011 10회 다음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br>\n<br>\n[작품소장]<br>\n㈜대림산업<br>\n경기도미술관<br>\n한미사진미술관<br>\n평화박물관<br>\n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IAS미디어<br>\n기타 개인 소장\n"}}
http://geonhi.com/korean/김상돈-약수/
썸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썸43.jpg
김상돈
약수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07.약수-video-still-cut-2-single-channel-video-color-with-sound-3-min-33-sec-2012.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07.약수-video-still-cut-2-single-channel-video-color-with-sound-3-min-33-sec-20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01.약수-100x150cm-c-print-20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02.약수-100x150cm-c-print-20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03.약수-80x120cm-c-print-20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04.약수-100x150cm-c-print-20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05.약수-_uv-차단-100x150cm-c-print-20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06.약수-video-still-cut-1-single-channel-video-color-with-sound-3-min-33-sec-2012.jpg"], :captions=>["약수, video still cut-2, single channel video, color with sound, 3 min 33 sec, 2012", "약수, 100x150cm, c-print, 2012", "약수, 100x150cm, c-print, 2012", "약수, 80x120cm, c-print, 2012", "약수, 100x150cm, c-print, 2012", "약수 _uv 차단, 100x150cm, c-print, 2012", "약수, video still cut-1, single channel video, color with sound, 3 min 33 sec, 2012"], :gallery=>{:title=>"약수, 2012",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저는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생활 풍경의 곳곳에서 발견되는 원초적 야성과 토착성에 관심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사람들 개인의 튀는 개성이나 오리엔탈 노스탤지어가 투영된 민족적 토속성, 민속주의 등과는 다른 것입니다. 저의 원시적 야성과 토착성은 도시 현대성이라는 거대 시공간 구조와 시스템을 외면하기보다 이를 인정하고 돌파해 들어가는 현실 직면과 탐험의 자세에서 출발합니다.<br>\n획일적인 일상 현실 속을 헤집고 살아가다 보면 그 안에 다양한 무/생물 개체들이 표출하는 상이한 삶의 형태들이 복잡한 중층으로 병존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저는 그 개별체들이 생각하는 방식과 가치체계를 드러내는 생활 속의 낯선 생존기술의 형태들, 그 속의 잠복되어 있는 다층적 기운들, 그 밀도에 따라 다양하게 취하는 움직임의 양태들, 이들이 연쇄, 전염되는 우연적 확산과 변주의 양상들에서 토착적 야생성을 느낍니다. 이것은 미시적 생활 구조 속에서 기운을 축적해 감으로써 질서와 풍경을 운용해 내는 자기 통치 주체로서의 의지와 수행과 비슷한 것입니다. 자칫 비장하게 들릴지 모르는 이 의지와 수행성은 제게는 생에 얽힌 사연과 관능적인 애욕, 영악한 술수, 우연적 실수, 날카로운 비판, 천연덕스러운 풍자가 혼합된 것입니다.<br>\n<br>\n‘장미의 섬'(2009), ‘불광동 토템'(2010), ‘잠복'(2010), ‘솔베이지의 노래'(2011) 등의 시리즈에 이은 ‘약수'(2012)는 제가 탐험하는 생활환경 속에 기묘하게 위치해 있는 풍경과 기운에 대한 작업입니다. 나는 약수터에서 졸졸 나오는 약수가 마치 세탁기 플라스틱 호스에서 나오는 빨래 땟국물이나 등산객들이 산 정상에서 마시다가 땅에 스며들어 흐르는 막걸리와 같은 것이라 상상할 때가 있습니다. 집단에 편승한 소비와 패권 심리가 큰 만큼 생활 현실에는 판타지를 꿈꾸는 욕망이 팽배해 있습니다. 판타지가 패권을 쫓는 것인지 패권이 판타지를 생산하는 것인지는 모르나, 그 질량과 부피는 동일하게 보입니다. 이러한 생활 현실에서 무/생물 개체들이 분간할 수 없는 도시/자연에 기대하고 행하는 모습은 무엇인가. 자연을 추악하게 소비하고 개발하는 작금의 현상들 가운데, 그 안에서 가능한 유토피아나 멋진 신세계를 지향하는 사회 주체들이 만들어낸 기이하고 키치적이지만 동시에 기복적인 염원의 상황들을 살펴보는 것이 본 작업의 목표입니다.\n"}, :artist=>{:title=>"김상돈, Kim Sangdon", :description=>"1973 서울 출생<br>\n<br>\n[학력]<br>\n2004 베를린국립예술대학교 순수미술과 마이스터쉴러 졸업<br>\n2003 베를린국립예술대학교 순수미술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4 Monument Zero, 트렁크갤러리, 서울<br>\n2012 10회 다음작가展 약수, 아트선재센터, 서울<br>\n2011 우리의 생활사, 갤러리쿤스트독 + 미술연구소, 서울<br>\n2011 Subjective Projections: Sangdon Kim, Bielefelder Kunstverein, 빌레펠트, 독일<br>\n2011 불광동 토템, 트렁크갤러리, 서울<br>\n2004 입주를 축하합니다, 대안공간 풀, 서울<br>\n1997 안전제일, 살 바, 서울<br>\n<br>\n[그룹전]<br>\n2012 부산비엔날레: 배움의 정원, 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2012 대구사진비엔날레: 사진은 마술이다!, 대구<br>\n2012 SeMA Blue: 12개의 방을 위한 12개의 이벤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1 2011 에르메스미술상, 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br>\n2011 흙, 장미, 복합문화공간 꿀 & 꿀풀, 서울<br>\n2011-2012 군산리포트: 생존과 환타지를 운영하는 사람들,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br>\n2011-2012 우여곡절: 군산의 사람과 움직임, 구 군산수협 동부 어판장, 군산아트레지던시, 군산<br>\n2011 강 같은 평화, 스페이스99, 서울<br>\n2011 제10회 동강 국제 사진展: 흐르는 시간, 멈춘 시각, 문화예술회관, 영월<br>\n2011 새로운 발흥지 I: 포스트 네이쳐,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0 2010 서울사진축제: 서울에게 서울을 돌려주다,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서울<br>\n2010 1, 복합문화공간 꿀 & 꿀풀, 서울<br>\n2010 군산이 말하는 것은?, 군산아트레지던시, 군산<br>\n2010 기념비적인 여행, Space C, 코리아나미술관, 서울<br>\n2010 긍지의 날,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br>\n2009 Unconquered : Critical Visions from South Korea, Museo Tamayo Arte Contemporaneo, 멕시코시티<br>\n2009 1990년대 이후의 새로운 정치미술: 악동들/지금 여기,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09 States of Distraction : EMPORIUM, Fabbrica Borroni- Bollate, 밀라노, 이탈리아<br>\n2009 여가, 위장된 노동?, Kaufhof Sinn Leffers, 하노버, 독일<br>\n2008 Dongdu-cheon: A Walk to Remember, A Walk to Envision, New Museum of Contemporary Art, 뉴욕: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7 Activating Korea: Tides of Collective Action, The Govett-Brewster Art Gallery, 플리마우스, 뉴질랜드<br>\n2007 지역연구와 미술 I: 2007 동두천을 주목하는 이유,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7 부산 비엔날레 현대미술展 두 도시 이야기: 부산-서울/서울-부산, 부산현대미술관, 부산<br>\n2007 제3회 오늘의 인권展: 그림자, 신한갤러리, 서울<br>\n2004 Power Ranger, Gallerie Schillerpalais, 베를린, 독일<br>\n2003 Hotel, Berlinische Gallerie, 베를린, 독일<br>\n2000 Wir bauen fuer Sie um 당신의 집을 고쳐드립니다, Westend Bahnhof, 베를린, 독일<br>\n1998 Seoul-Tokyo-Duesseldorf, Kunstraum Duesseldorf, 뒤셀도르프, 독일<br>\n1998 미술주변展, 덕원갤러리, 서울<br>\n<br>\n[출판 · 지면작업 발표]<br>\n2012 다음작가選10 ‘김상돈: 풍경의 배면, 성속의 밀어를 듣다’, 현실문화연구 + SAMUSO, 서울<br>\n2008 I’ve seen that road before,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8 동두천: 미술인리포트, 볼 10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6 ‘+82’지면작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6 중동과 ‘우리’, 볼 2호, 지면작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5 공황, 볼 1호 지면작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2 Wie der er scheinen, 김상돈, 베를린, 독일<br>\n2001 Besucher, 김상돈, 베를린, 독일<br>\n<br>\n[상영회]<br>\n2010 8ème Festival international Signes de Nuitl, 특별초대부문, Festival international SIGNES DE NUIT, 파리 (http://www.signesdenuit.com/paris/P8/exIS_F.htm), 프랑스<br>\n2009 제6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EXiS 2009, 서울<br>\n2009 Spectacle East Asia: Translocation+Publicity+Counterpublics, 시각문화연구 국제 컨퍼런스초청상영, University of Rochester, 뉴욕, 미국<br>\n<br>\n[수상]<br>\n2012 제3회 두산연강예술상 미술부문<br>\n2011 제12회 에르메스재단 미술상<br>\n2011 10회 다음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br>\n<br>\n[작품소장]<br>\n㈜대림산업<br>\n경기도미술관<br>\n한미사진미술관<br>\n평화박물관<br>\n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IAS미디어<br>\n기타 개인 소장\n"}}
http://geonhi.com/korean/김상돈-장미의-섬/
장미의 섬_사진 시리즈-1(100x120cm), inkjet print, 2009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장미의-섬_사진-시리즈-1100x120cm-inkjet-print-2009-1.jpg
김상돈
장미의 섬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장미의-섬_사진-시리즈-1100x120cm-inkjet-print-2009-1.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장미의-섬_사진-시리즈-1100x120cm-inkjet-print-2009-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장미의-섬_사진-시리즈-2100x120cm-inkjet-print-2009-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장미의-섬_사진-시리즈-3100x120cm-inkjet-print-2009-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장미의-섬_사진-시리즈-480x120cm-inkjet-print-2009-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장미의-섬_사진-시리즈-560x90cm-inkjet-print-2009-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장미의-섬_사진-시리즈-6100x120cm-inkjet-print-2009-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장미의-섬_사진-시리즈-7120x100cm-inkjet-print-2009-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장미의-섬_사진-시리즈-880x120cm-inkjet-print-200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장미의-섬_사진-시리즈-9100x260cm-inkjet-print-200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장미의-섬_사진-시리즈-1080x120cm-inkjet-print-2009.jpg"], :captions=>["장미의 섬_사진 시리즈-1(100x120cm), inkjet print, 2009", "장미의 섬_사진 시리즈-2(100x120cm), inkjet print, 2009", "장미의 섬_사진 시리즈-3(100x120cm), inkjet print, 2009", "장미의 섬_사진 시리즈-4(80x120cm), inkjet print, 2009", "장미의 섬_사진 시리즈-5(60x90cm), inkjet print, 2009", "장미의 섬_사진 시리즈-6(100x120cm), inkjet print, 2009", "장미의 섬_사진 시리즈-7(120x100cm), inkjet print, 2009", "장미의 섬_사진 시리즈-8(80x120cm), inkjet print, 2009", "장미의 섬_사진 시리즈-9(100x260cm), inkjet print, 2009", "장미의 섬_사진 시리즈-10(80x120cm), inkjet print, 2009"], :gallery=>{:title=>"장미의 섬, 2009",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우연히 1920년에 만들어진 판화집 ‘인천’의 7월호에 실린 ‘월미도 호텔’이라는 판화를 보게 되었다. 이 판화에는 한 쌍의 조선인 남녀가 물 건너 일본인 전용 유원지에 있는 월미도 호텔을 바라보고 고개를 마주하고 있는 모습이 담겨있었다. 불행한 시대를 직면해 있던 두 조선인의 모습, 그리고 그들이 충분히 예측, 감지할 수 있었을 당시 그곳의 연쇄적 불행들. 아무도 그들을 보호해 주지 못한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았을 그들은 그들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이러한 연쇄적 불행을 직면하면서 여러 다중적인 은폐와 둔갑을 스스로 운영해 냈으리라. 그것은 인천 원주민 외에도 전 국민이 그러했고 지금도 그러하다. 그림 속의 월미도 호텔을 바라보는 조선인은 그렇게 내 안에 남아있다. ‘장미의 섬’은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 함대가 월미도를 보고 붙인 이름이다. 이 작업에서 나는 ‘이방인으로 바라보는 어느 타자화된 지역으로서의 인천’이 아닌 어느 지역, 장소에 내제해 있는 ‘운명을 직면하는 감성’들을 바라보았다. 그것은 외연에 부여된 풍경의 형태를 본다기보다, 시대적 변화와 거세, 감수를 거듭해 가면서 분열과 화해가 교차되며 뻗어나간 감정의 지리(地理)를 경험해 보는 것이다. ‘장미의 섬’은 ‘기념비’, ‘밥풀’, ‘거울’, ‘레미콘’이라는 4편의 비디오와 사진 시리즈, 조각으로 구성되었다.\n"}, :artist=>{:title=>"김상돈, Kim Sangdon", :description=>"1973 서울 출생<br>\n<br>\n[학력]<br>\n2004 베를린국립예술대학교 순수미술과 마이스터쉴러 졸업<br>\n2003 베를린국립예술대학교 순수미술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4 Monument Zero, 트렁크갤러리, 서울<br>\n2012 10회 다음작가展 약수, 아트선재센터, 서울<br>\n2011 우리의 생활사, 갤러리쿤스트독 + 미술연구소, 서울<br>\n2011 Subjective Projections: Sangdon Kim, Bielefelder Kunstverein, 빌레펠트, 독일<br>\n2011 불광동 토템, 트렁크갤러리, 서울<br>\n2004 입주를 축하합니다, 대안공간 풀, 서울<br>\n1997 안전제일, 살 바, 서울<br>\n<br>\n[그룹전]<br>\n2012 부산비엔날레: 배움의 정원, 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2012 대구사진비엔날레: 사진은 마술이다!, 대구<br>\n2012 SeMA Blue: 12개의 방을 위한 12개의 이벤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1 2011 에르메스미술상, 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br>\n2011 흙, 장미, 복합문화공간 꿀 & 꿀풀, 서울<br>\n2011-2012 군산리포트: 생존과 환타지를 운영하는 사람들,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br>\n2011-2012 우여곡절: 군산의 사람과 움직임, 구 군산수협 동부 어판장, 군산아트레지던시, 군산<br>\n2011 강 같은 평화, 스페이스99, 서울<br>\n2011 제10회 동강 국제 사진展: 흐르는 시간, 멈춘 시각, 문화예술회관, 영월<br>\n2011 새로운 발흥지 I: 포스트 네이쳐,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0 2010 서울사진축제: 서울에게 서울을 돌려주다,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서울<br>\n2010 1, 복합문화공간 꿀 & 꿀풀, 서울<br>\n2010 군산이 말하는 것은?, 군산아트레지던시, 군산<br>\n2010 기념비적인 여행, Space C, 코리아나미술관, 서울<br>\n2010 긍지의 날,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br>\n2009 Unconquered : Critical Visions from South Korea, Museo Tamayo Arte Contemporaneo, 멕시코시티<br>\n2009 1990년대 이후의 새로운 정치미술: 악동들/지금 여기,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09 States of Distraction : EMPORIUM, Fabbrica Borroni- Bollate, 밀라노, 이탈리아<br>\n2009 여가, 위장된 노동?, Kaufhof Sinn Leffers, 하노버, 독일<br>\n2008 Dongdu-cheon: A Walk to Remember, A Walk to Envision, New Museum of Contemporary Art, 뉴욕: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7 Activating Korea: Tides of Collective Action, The Govett-Brewster Art Gallery, 플리마우스, 뉴질랜드<br>\n2007 지역연구와 미술 I: 2007 동두천을 주목하는 이유,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7 부산 비엔날레 현대미술展 두 도시 이야기: 부산-서울/서울-부산, 부산현대미술관, 부산<br>\n2007 제3회 오늘의 인권展: 그림자, 신한갤러리, 서울<br>\n2004 Power Ranger, Gallerie Schillerpalais, 베를린, 독일<br>\n2003 Hotel, Berlinische Gallerie, 베를린, 독일<br>\n2000 Wir bauen fuer Sie um 당신의 집을 고쳐드립니다, Westend Bahnhof, 베를린, 독일<br>\n1998 Seoul-Tokyo-Duesseldorf, Kunstraum Duesseldorf, 뒤셀도르프, 독일<br>\n1998 미술주변展, 덕원갤러리, 서울<br>\n<br>\n[출판 · 지면작업 발표]<br>\n2012 다음작가選10 ‘김상돈: 풍경의 배면, 성속의 밀어를 듣다’, 현실문화연구 + SAMUSO, 서울<br>\n2008 I’ve seen that road before,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8 동두천: 미술인리포트, 볼 10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6 ‘+82’지면작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6 중동과 ‘우리’, 볼 2호, 지면작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5 공황, 볼 1호 지면작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2 Wie der er scheinen, 김상돈, 베를린, 독일<br>\n2001 Besucher, 김상돈, 베를린, 독일<br>\n<br>\n[상영회]<br>\n2010 8ème Festival international Signes de Nuitl, 특별초대부문, Festival international SIGNES DE NUIT, 파리 (http://www.signesdenuit.com/paris/P8/exIS_F.htm), 프랑스<br>\n2009 제6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EXiS 2009, 서울<br>\n2009 Spectacle East Asia: Translocation+Publicity+Counterpublics, 시각문화연구 국제 컨퍼런스초청상영, University of Rochester, 뉴욕, 미국<br>\n<br>\n[수상]<br>\n2012 제3회 두산연강예술상 미술부문<br>\n2011 제12회 에르메스재단 미술상<br>\n2011 10회 다음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br>\n<br>\n[작품소장]<br>\n㈜대림산업<br>\n경기도미술관<br>\n한미사진미술관<br>\n평화박물관<br>\n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IAS미디어<br>\n기타 개인 소장\n"}}
http://geonhi.com/korean/김상돈-불광동-토템/
불광동 토템_1, inkjet print, 60x90cm, 2010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불광동-토템_1-inkjet-print-60x90cm-2010-1.jpg
김상돈
불광동 토템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불광동-토템_1-inkjet-print-60x90cm-2010-1.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불광동-토템_1-inkjet-print-60x90cm-2010-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불광동-토템_2-inkjet-print-120x80cm-2010-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불광동-토템_5-inkjet-print-60x90cm-2010-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불광동-토템_8-inkjet-print-80x120cm-2010-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불광동-토템_10-inkjet-print-60x90cm-2010-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불광동-토템_깃발들-inkjet-print-80x80cm-2003-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불광동-토템_밀도-inkjet-print-60x90cm-2010-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4/불광동-토템_자화상-inkjet-print-80x120cm-2010-1.jpg"], :captions=>["불광동 토템_1, inkjet print, 60x90cm, 2010", "불광동 토템_2, inkjet print, 120x80cm, 2010", "불광동 토템_5, inkjet print, 60x90cm, 2010", "불광동 토템_8, inkjet print, 80x120cm, 2010", "불광동 토템_10, inkjet print, 60x90cm, 2010", "불광동 토템_깃발들, inkjet print, 80x80cm 2003", "불광동 토템_밀도, inkjet print, 60x90cm, 2010", "불광동 토템_자화상, inkjet print, 80x120cm, 2010"], :gallery=>{:title=>"불광동 토템, 2003-2010",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불광동 토템’은 내가 살고 있는 동네를 바라보는 작업이다. 그곳에서 나는 생활에 찌든 가난한 현장 속에 숨어있으나 보이지 않는 기묘한 기운의 역학에 매료되었다. 모종의 ‘비밀스런 폭력 혹은 음모’라 내가 즐겨 부르는 이 기묘한 기운들은 장소성과 시공간의 기억, 다층적 주체들의 사적 기억, 일상생활, 미시사, 거대 구조 등이 각축하면서 응축되는 오감과 육감 세계의 경험이다. 이것이 감지될 때 나는 모종의 공포스러운 숭고미와 장엄미, 관능미, 그리고 혐오가 뒤섞인 황홀을 경험한다. 그래서, 개개인의 맹렬한 욕망과 기운들이 얽히고 설킨 카니발과 굿판을 닮은 서낭당을 만들고 싶었던 것 같다. ‘불광동 토템’은 생물이건 무생물이건 스스로 모종의 공포와 위협을 직면하고 심신을 단련하는 재생과 재활의 매개물들을 담은 작업이다.\n"}, :artist=>{:title=>"김상돈, Kim Sangdon", :description=>"1973 서울 출생<br>\n<br>\n[학력]<br>\n2004 베를린국립예술대학교 순수미술과 마이스터쉴러 졸업<br>\n2003 베를린국립예술대학교 순수미술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4 Monument Zero, 트렁크갤러리, 서울<br>\n2012 10회 다음작가展 약수, 아트선재센터, 서울<br>\n2011 우리의 생활사, 갤러리쿤스트독 + 미술연구소, 서울<br>\n2011 Subjective Projections: Sangdon Kim, Bielefelder Kunstverein, 빌레펠트, 독일<br>\n2011 불광동 토템, 트렁크갤러리, 서울<br>\n2004 입주를 축하합니다, 대안공간 풀, 서울<br>\n1997 안전제일, 살 바, 서울<br>\n<br>\n[그룹전]<br>\n2012 부산비엔날레: 배움의 정원, 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2012 대구사진비엔날레: 사진은 마술이다!, 대구<br>\n2012 SeMA Blue: 12개의 방을 위한 12개의 이벤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1 2011 에르메스미술상, 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br>\n2011 흙, 장미, 복합문화공간 꿀 & 꿀풀, 서울<br>\n2011-2012 군산리포트: 생존과 환타지를 운영하는 사람들,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br>\n2011-2012 우여곡절: 군산의 사람과 움직임, 구 군산수협 동부 어판장, 군산아트레지던시, 군산<br>\n2011 강 같은 평화, 스페이스99, 서울<br>\n2011 제10회 동강 국제 사진展: 흐르는 시간, 멈춘 시각, 문화예술회관, 영월<br>\n2011 새로운 발흥지 I: 포스트 네이쳐,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0 2010 서울사진축제: 서울에게 서울을 돌려주다,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서울<br>\n2010 1, 복합문화공간 꿀 & 꿀풀, 서울<br>\n2010 군산이 말하는 것은?, 군산아트레지던시, 군산<br>\n2010 기념비적인 여행, Space C, 코리아나미술관, 서울<br>\n2010 긍지의 날,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br>\n2009 Unconquered : Critical Visions from South Korea, Museo Tamayo Arte Contemporaneo, 멕시코시티<br>\n2009 1990년대 이후의 새로운 정치미술: 악동들/지금 여기,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09 States of Distraction : EMPORIUM, Fabbrica Borroni- Bollate, 밀라노, 이탈리아<br>\n2009 여가, 위장된 노동?, Kaufhof Sinn Leffers, 하노버, 독일<br>\n2008 Dongdu-cheon: A Walk to Remember, A Walk to Envision, New Museum of Contemporary Art, 뉴욕: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7 Activating Korea: Tides of Collective Action, The Govett-Brewster Art Gallery, 플리마우스, 뉴질랜드<br>\n2007 지역연구와 미술 I: 2007 동두천을 주목하는 이유,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7 부산 비엔날레 현대미술展 두 도시 이야기: 부산-서울/서울-부산, 부산현대미술관, 부산<br>\n2007 제3회 오늘의 인권展: 그림자, 신한갤러리, 서울<br>\n2004 Power Ranger, Gallerie Schillerpalais, 베를린, 독일<br>\n2003 Hotel, Berlinische Gallerie, 베를린, 독일<br>\n2000 Wir bauen fuer Sie um 당신의 집을 고쳐드립니다, Westend Bahnhof, 베를린, 독일<br>\n1998 Seoul-Tokyo-Duesseldorf, Kunstraum Duesseldorf, 뒤셀도르프, 독일<br>\n1998 미술주변展, 덕원갤러리, 서울<br>\n<br>\n[출판 · 지면작업 발표]<br>\n2012 다음작가選10 ‘김상돈: 풍경의 배면, 성속의 밀어를 듣다’, 현실문화연구 + SAMUSO, 서울<br>\n2008 I’ve seen that road before,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8 동두천: 미술인리포트, 볼 10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6 ‘+82’지면작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6 중동과 ‘우리’, 볼 2호, 지면작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5 공황, 볼 1호 지면작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서울<br>\n2002 Wie der er scheinen, 김상돈, 베를린, 독일<br>\n2001 Besucher, 김상돈, 베를린, 독일<br>\n<br>\n[상영회]<br>\n2010 8ème Festival international Signes de Nuitl, 특별초대부문, Festival international SIGNES DE NUIT, 파리 (http://www.signesdenuit.com/paris/P8/exIS_F.htm), 프랑스<br>\n2009 제6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EXiS 2009, 서울<br>\n2009 Spectacle East Asia: Translocation+Publicity+Counterpublics, 시각문화연구 국제 컨퍼런스초청상영, University of Rochester, 뉴욕, 미국<br>\n<br>\n[수상]<br>\n2012 제3회 두산연강예술상 미술부문<br>\n2011 제12회 에르메스재단 미술상<br>\n2011 10회 다음작가상, 박건희문화재단<br>\n<br>\n[작품소장]<br>\n㈜대림산업<br>\n경기도미술관<br>\n한미사진미술관<br>\n평화박물관<br>\n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IAS미디어<br>\n기타 개인 소장\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