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geonhi.com/korean/권순평-소멸된-기억으로부터-2008/
0407-348071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0407-348071.jpg
권순평
소멸된 기억으로부터...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0407-348071.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0407-34807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0407-34807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0407-34807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0407-3480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0407-34811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0407-34811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0407-34812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0407-348123.jpg"], :captions=>["0407-348071", "0407-348074", "0407-348077", "0407-348090", "0407-348111", "0407-348119", "0407-348122", "0407-348123"], :gallery=>{:title=>"소멸된 기억으로부터…, 2008", :description=>"article, 이경률 사진이론가<br>\n메두사의 비극과 소멸의 흔적<br>\n작품에서 거의 실물 크기 혹은 그 이상으로 보여주는 사물들 예컨대 장부, 이발기, 시계, 돈, 책 등과 같은 오래된 유품들은 바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족 유품들이다. 물론 첫 눈에 우연히 발견되고 아무 데나 방치된 유품들로 보이지만 그것들은 단순한 유품이 아니라, 소멸과 망각의 지표로서 적어도 작가의 경험적인 회상으로 소급하여 올라가는 기억-오브제들이다. 거기서 유품들은 회상의 자극물로서 작가 자신의 심연에 오랫동안 침전된 예견치 못한 회상의 음색을 발산하고 있다. 창작 행위의 근본과 진정한 감동은 바로 여기에 있다.<br>\n<br>\n작가의 이미지-행위는 결국 소멸하는 이미지의 방부제 효과와 같이 폐허의 운명으로부터 발굴된 로마 유적과 모든 것을 순간적으로 응고시키는 메두사의 머리를 상기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행위를 통해 그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죽음을 극복하는 철학적인 거시 담론이나 영원을 위한 구원의 메시지가 아니라, 오히려 소멸과 상실의 운명을 수긍하면서 인간 존재에 던지는 보다 근본적인 의문이다. 그것은 곧 하루살이와 같은 인간의 삶과 소멸에 대한 무언의 팬터마임임과 동시에 우리 모두의 공통된 딜레마일 것이다.\n"}, :artist=>{:title=>"권순평, Kwon Soon Pyeong", :description=>"[학력]<br>\n1992 New York University SEHNAP 예술대학원. Fine Art 전공<br>\n1989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순수사진전공<br>\n<br>\n[개인전]<br>\n2008 소멸된 기억으로부터, 인사아트센타, 서울<br>\n2007 비원, 갤러리 화이트 월, 서울<br>\n2005 역사적 기억물, 갤러리 북하우스, 헤이리, 경기<br>\n2000 정제된 풍경, 갤러리 아티누스, 서울<br>\n1995 나의 기억들을 위한 정물, 갤러리 눈, 서울<br>\n1992 The Appropriation of Our Time, 80 East Gallery, New York<br>\n1992 시간의 화석, 갤러리 최, 서울<br>\n<br>\n[그룹전]<br>\n2007 Emerging korean Photographer, Gallery Verk lighten, 스웨덴<br>\n2007 Time Line, 주중한국문화원, 베이징<br>\n2007 한국사진의스펙트럼展, 트렁크갤러리, 서울<br>\n2007 한국.스웨덴 작가 교류展, 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06 한국현대사진展, 부라티슬로바 시립미술관, 슬로바키아<br>\n2006 한국사진페스티발, 갤러리 쌈지, 서울<br>\n2006 카메라 워크,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06 image transit III, 갤러리 록스, 서울\n"}}
소멸된 기억으로부터...
2008
http://geonhi.com/korean/권순평-비원秘園-my-secret-garden-2007/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001-1, 2006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001-1-2006.jpg
권순평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001-1-2006.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001-1-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1-1-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003-1-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3-1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5-1-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007-1-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07-1-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09-1-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012-1-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014-1-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16-1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3/07/비원秘園-My-Secret-Garden-017-1-2006.jpg"], :captions=>["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001-1, 2006",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1-1, 2006",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003-1, 2006",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3-1,2006",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5-1, 2006",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007-1, 200",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07-1, 2006",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09-1, 2006",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012-1, 2006",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014-1, 2006",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16-1,2006",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017-1, 2006"], :gallery=>{:title=>"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2006",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분재: 잃어버린 자연과 축소된 자연<br>\n하늘에서 내려다본 회색 도심에서 초록의 자연으로 느껴지는 것은 아마도 검은 아스팔트를 따라 길게 늘어선 가로수와 콘크리트 건물 곁 혹은 옥상에 건축법에 의거 일정 대지 면적당 할당되어 심어진 조경수일 것이다. 공원이나 녹지가 아닌 이곳의 나무와 꽃들은 흙이 아닌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사이를 비집고 들어서 있다. 인공의 노력이 닿지 않는 하늘에 비해 땅은 본래 자연성을 잃고 아주 작은 틈새로 인공으로 다듬어진 대체의 자연성을 획득한다.<br>\n<br>\n재생된 자연<br>\n키 작은 나무를 작은 분에 옮겨 심어 대자연 속의 노거목과 대목이 주는 풍경과 정취를 축소시켜 보여주는 분재 또한 사람의 손으로 다듬어진 자연이다. 다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콘크리트 외벽이 아닌 내벽에 가까이 자리하고 있고, 사람들의 생활에 더 가까이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초록의 대자연을 깎고 파헤친 자리에 역설적으로 정성을 들여 작은 초록을 재생하고 있다. 그리고 나아가 인공적으로 축소되어 재생된 자연에서 대자연의 평온함과 안정감을 느끼고자 한다. 재생된 자연, 분재는 우거진 숲과 고산 절벽 등의 대자연을 연상시킬수록 가치 있고 아름다운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분재는 인위적으로 가꾸었다 하더라도 가장 자연스러운 풍취를 돋보인다. 인간은 작은 분에 담긴 나무가 해안가나 산 혹은 시골의 흙 위에서 비바람을 맞고 자라는 나무와 꼭 같은 수형이길 바라며, 그것으로 가꾸어간다. 삼나무, 소나무, 단풍나무, 낙엽송, 느티나무, 벚나무, 동백나무, 등나무, 수양버들, 떡갈나무 등 수형만큼이나 수종도 다양하다. 인간은 마음에 드는 수목을 선택하고, 정성을 들여 가지치기, 순 따기, 철사걸이 등을 통해 상상하는 수형을 만들어 낸다. 자연미와 태고 미가 돋보이는 수형을 가진 분재일수록 역으로 가장 사람의 손길을 많이 받은 분재이다.<br>\n<br>\n재현된 자연<br>\n분재는 또한 나무의 수형뿐 아니라 나무가 자연 안에서 만들어내는 풍경과 경치를 재현한다. 고산 절벽에서 아슬아슬하게 자라는 해송을 연상시키듯 소나무는 돌에 얹혀 있고, 울창한 숲의 경치를 한 그루의 나무가 아닌 여러 그루의 수목으로 이뤄낸다. 소나무 숲, 단풍나무 숲, 덩치 큰 떡갈나무 숲이 작은 분에 창조된다. 나무의 수형과 분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모두 자연의 땅과 바람과 비를 대신한다. 사람들은 머릿속 수목의 수형을 재생하는 것뿐 아니라 그것을 이뤄내는 자연을 재현하고 있다.<br>\n<br>\n스스로 파괴해버린 원시적 자연성을 인공 속에 축소화하여 재생, 재현하고 있는 인간의 욕망은 옛 궁궐이나 귀족 저택의 뜰에 자연의 산야 풍경을 담고자 조원을 가꾸는 욕망을 넘어선다. 그것이 자연 속의 자연을 함축하고, 이를 소유하고자 하는 것 있다면 오늘날 자연에 대한 욕망은 대자연에 대한 소유욕뿐 아니라 파괴한 자연에 대해 스스로 건네받은 면죄부이기도 하다. 인공이 자연을 뒤덮을수록 혹은 자연이 이름으로만 남게 될수록 분재와 같은 대자연을 재생하고, 재현하는 인간의 상상과 욕망은 더욱 커져간다. 어쩌면 분재는 가까운 미래, 자연성을 잃어버리고 이를 추억하게 하는 기제가 될는지도 모른다.<br>\n<br>\n사진: 축소된 현실과 환기된 현실<br>\n사진은 현실을 기계적 기록성을 바탕으로 재현한다. 재현된 이미지가 현실과 다름없기에 사람들은 사실의 재현 혹은 현실의 증거로서 사진을 인식한다. 이러한 사진적 사실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사진 이미지의 해석과 이해는 기계적 기록성이라는 사진 메커니즘의 근본적인 속성을 그 바탕으로 하는 바,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현대의 많은 작가들은 이러한 사진적 사실주의 안에서 사람들이 사진을 인식하는 방법과 태도에 의문을 제기한다. 사진이 보여주고 있는 것이 지난 과거, 그 시간에 존재했던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을 어떠한 방식으로 바라보고 인식하느냐에 주목하고 이를 근간으로 사진으로 현실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를 묻고 있다.<br>\n<br>\n축소된 현실, 사진과 확대된 자연<br>\n현실 속 연속되는 시간 가운데 한 찰나, 그리고 현실 속 한정된 공간의 존재를 제시하는 사진은 현실을 시·공간으로 단편화한다. 그것은 연속의 시공간에서 벗어나 사각 프레임에 존재하는 단편화된 시·공간이고, 대상이다. 그리고 그것은 3차원의 현실을 2차원의, 어디까지나 그 크기가 한정되기 마련인 평면에 재현된다. 사진 속 현실은 카메라에 의해 축소되어 재현된 현실이다. 분에서 분리된 분재의 수목을 찍은 사진은 사람들의 이러한 사진 속 현실의 이해와 반한다. 사람들은 사진적 사실주의 안에서 축소된 현실로 수목을 바라본다. 축소된 분재의 수목을 확대한 것이라는 사실은 알려져도, 알려지지 않아도 상관이 없다. 명백한 것은 그 사실을 알든, 늦게 알든, 아니면 모르게 되든 그것은 일차적으로 확대된 분재의 수목이 아닌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목으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의 인식과 이해는 축소된 현실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사진이기 때문에 가능하다.<br>\n<br>\n확대된 자연과 환기된 현실<br>\n대자연의 수목을 축소하여 그대로 재생, 재현한 분재의 수목을 확대한 사진에서 우리가 사진 속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를 발견할 수 있다. 분재의 수목은 인공적으로 가꾸어짐에도 불구하고 가장 자연의 상태를 보일수록, 그리고 나아가 그 수목으로 인해 대자연 속의 자연경관과 경치를 연상시킬 수 있는 것일수록 가치가 있으며, 이를 이상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대자연에서 분리되어 인공적으로 축소된 현실 앞에서 인간은 확대된 자연을 연상하고자 하며, 상상하고자 한다. 그것은 잃어버린 대자연에 대한 회귀본능일 수도 있으며, 자연을 소유하고자 하는 인간 본래의 욕망이기도 하다. 분재의 수목을 확대하여 찍은 사진은 현실에서 분재를 어떻게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인간이 자연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무엇을 욕망하는지, 그 현실을 환기시키고 있다.<br>\n<br>\n축소된 분재 앞에서 인간은 대자연을 생각하고, 확대된 자연의 사진 앞에서 인간은 축소된 현실을 생각한다. 외부세계를 대상으로 절대 현실과 분리될 수 없는 사진에서 이러한 이해와 인식은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지금의 현실을 환기시킨다. 사진이 그 어느 매체보다 재현된 현실을 통해 인간의 생활과 삶에 가까이 갈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사진은 우리의 축소된 현실이기도 하며, 우리의 확대된 욕망이기도 하다.\n"}, :artist=>{:title=>"권순평, Kwon Soon Pyeong", :description=>"[학력]<br>\n1992 New York University SEHNAP 예술대학원. Fine Art 전공<br>\n1989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순수사진전공<br>\n<br>\n[개인전]<br>\n2008 소멸된 기억으로부터, 인사아트센타, 서울<br>\n2007 비원, 갤러리 화이트 월, 서울<br>\n2005 역사적 기억물, 갤러리 북하우스, 헤이리, 경기<br>\n2000 정제된 풍경, 갤러리 아티누스, 서울<br>\n1995 나의 기억들을 위한 정물, 갤러리 눈, 서울<br>\n1992 The Appropriation of Our Time, 80 East Gallery, New York<br>\n1992 시간의 화석, 갤러리 최, 서울<br>\n<br>\n[그룹전]<br>\n2007 Emerging korean Photographer, Gallery Verk lighten, 스웨덴<br>\n2007 Time Line, 주중한국문화원, 베이징<br>\n2007 한국사진의스펙트럼展, 트렁크갤러리, 서울<br>\n2007 한국.스웨덴 작가 교류展, 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06 한국현대사진展, 부라티슬로바 시립미술관, 슬로바키아<br>\n2006 한국사진페스티발, 갤러리 쌈지, 서울<br>\n2006 카메라 워크,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06 image transit III, 갤러리 록스, 서울\n"}}
비원秘園 My Secret Garden
2006
권순평
[학력]
1992 New York University SEHNAP 예술대학원. Fine Art 전공
1989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순수사진전공
[개인전]
2008 소멸된 기억으로부터, 인사아트센타, 서울
2007 비원, 갤러리 화이트 월, 서울
2005 역사적 기억물, 갤러리 북하우스, 헤이리, 경기
2000 정제된 풍경, 갤러리 아티누스, 서울
1995 나의 기억들을 위한 정물, 갤러리 눈, 서울
1992 The Appropriation of Our Time, 80 East Gallery, New York
1992 시간의 화석, 갤러리 최, 서울
[그룹전]
2007 Emerging korean Photographer, Gallery Verk lighten, 스웨덴
2007 Time Line, 주중한국문화원, 베이징
2007 한국사진의스펙트럼展, 트렁크갤러리, 서울
2007 한국.스웨덴 작가 교류展, 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
2006 한국현대사진展, 부라티슬로바 시립미술관, 슬로바키아
2006 한국사진페스티발, 갤러리 쌈지, 서울
2006 카메라 워크,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6 image transit III, 갤러리 록스,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