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geonhi.com/korean/강홍구-청주-2016/
두모 1 110x100 pigment print 2015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모-1-110x100-pigment-print-2015.jpg
강홍구
청주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모-1-110x100-pigment-print-2015.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모-1-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모-2-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모-5-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모-7-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모-8-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모-9-110x10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모-10-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모-11-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모-13-220x9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모-14-220x9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무심천-3-110x10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무심천-5-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무심천-6-150x9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무심천-8-150x9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무심천-9-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무심천-14-150x9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무심천-15-150x9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천-1-220x9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천-2-220x90-pigment-print-201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천-5-110x100-피그먼트-프린트-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천-6-110x100피그먼트-프린트-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천-9-110x100-피그먼트-프린트-20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천-10-110x100-피그먼트-프린트-201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천-16-110x100-피그먼트-프린트-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복대시장-2-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복대시장-7-220x9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복대시장-9-340x8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복대시장-10-240x8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상당산성-1-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상당산성-2-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상당산성-3-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상당산성-7-150x9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성안길-1-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성안길-3-1-110x100-pigment-print-201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성안길-8-150x9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성안길-8-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성안길-9-150x7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성안길-11-150x7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암골-3-110x10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암골-4-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암골-5-220x9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암골-6-240x9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암골-7-110x10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암골-12-110x10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송-3-220x9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송-5-220x9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송-9-180x9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창-3-220x9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유원지-1-110x10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육거리시장-1-220x9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육거리시장-2-220x9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육거리시장-3-220x9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육거리시장-4-220x90-pigment-print-20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육거리시장-11-110x10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육거리시장-12-110x10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청주공단-5-220x90-pigment-print-201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청주공단-7-220x90-pigment-print-2014.jpg"], :captions=>["두모 1 110x100 pigment print 2015", "두모 2 110x100 pigment print 2015", "두모 5 110x100 pigment print 2015", "두모 7 110x100 pigment print 2015", "두모 8 110x100 pigment print 2015", "두모 9 110x100 pigment print 2014", "두모 10 110x100 pigment print 2015", "두모 11 110x100 pigment print 2015", "두모 13 220x90 pigment print 2015", "두모 14 220x90 pigment print 2015", "무심천 3 110x100 pigment print 2014", "무심천 5 110x100 pigment print 2015", "무심천 6 150x90 pigment print 2015", "무심천 8 150x90 pigment print 2015", "무심천 9 110x100 pigment print 2015", "무심천 14 150x90 pigment print 2015", "무심천 15 150x90 pigment print 2014", "미천 1 220x90 pigment print 2014", "미천 2 220x90 pigment print 2016", "미천 5 110x100 피그먼트 프린트 2014", "미천 6 110x100피그먼트 프린트 2014", "미천 9 110x100 피그먼트 프린트 2013", "미천 10 110x100 피그먼트 프린트 2016", "미천 16 110x100 피그먼트 프린트 2014", "복대시장 2 110x100 pigment print 2015", "복대시장 7 220x90 pigment print 2015", "복대시장 9 340x80 pigment print 2015", "복대시장 10 240x80 pigment print 2015", "상당산성 1 110x100 pigment print 2015", "상당산성 2 110x100 pigment print 2015", "상당산성 3 110x100 pigment print 2015", "상당산성 7 150x90 pigment print 2015", "성안길 1 110x100 pigment print 2015", "성안길 3-1 110x100 pigment print 2016", "성안길 8 150x90 pigment print 2014", "성안길 8 110x100 pigment print 2015", "성안길 9 150x70 pigment print 2015", "성안길 11 150x70 pigment print 2015", "수암골 3 110x100 pigment print 2014", "수암골 4 110x100 pigment print 2015", "수암골 5 220x90 pigment print 2014", "수암골 6 240x90 pigment print 2014", "수암골 7 110x100 pigment print 2014", "수암골 12 110x100 pigment print 2014", "오송 3 220x90 pigment print 2014", "오송 5 220x90 pigment print 2014", "오송 9 180x90 pigment print 2014", "오창 3 220x90 pigment print 2015", "유원지 1 110x100 pigment print 2015", "육거리시장 1 220x90 pigment print 2015", "육거리시장 2 220x90 pigment print 2015", "육거리시장 3 220x90 pigment print 2015", "육거리시장 4 220x90 pigment print 2015", "육거리시장 11 110x100 pigment print 2014", "육거리시장 12 110x100 pigment print 2014", "청주공단 5 220x90 pigment print 2014", "청주공단 7 220x90 pigment print 2014"], :gallery=>{:title=>"청주, 2016", :description=>"article<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underprint-2015/
2014 acrylic 2015 on photo 40x60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2014-acrylic-2015-on-photo-40x60.jpg
강홍구
underprint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2014-acrylic-2015-on-photo-40x60.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2014-acrylic-2015-on-photo-40x6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옥-jail-2015-acrylic-on-photo-100x6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게시판-bulletin-board-2015-acrylic-on-photo-100x6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고등어-mackerel-2015-acrylic-on-photo-60x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고릴라-gorilla-2015-acrylic-on-photo-100x3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고양이-cat-2015-acrylic-on-photo-15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고흐-gogh-2015-acrylic-on-photo-100x3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곰-bear-2015-acrylic-on-photo-100x3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구름-cloud-acrylic-on-photo-60x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릇-bowl-2015-acrylic-on-photo-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림자-shadow-2015acrylic-on-photo-60x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꽃-flower-2015-acrylic-on-photo-40x3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나나인치-nanainch-2015-acrylic-on-photo-100x1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달걀-프라이-fried-egg-2015-acrylic-on-photo-11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도둑고양이-stray-cat-2015-acrylic-on-photo-100x1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돌-stone-2015-acrylic-on-photo-100x6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두개골-skull-2045-acrylic-on-photo-40x6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무-daikon-2015-acrylicon-photo-67x4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뭉크-munch-2015-acrylic-on-photo-15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바나나-banana-2015-acrylic-on-photo-100x15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배추-chainese-cabbage-2015-acrylic-on-photo-67x4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부적-talisman-2015-acrylic-on-photo-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불-fire-2015-acrylic-on-photo-24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빵-bread-2015-acrylic-on-photo-100x13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손님-visitor-2015-acrylic-on-photo-100x3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에피타프-epitaph-2015-acrylic-on-photo-40x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원피스-one-piece-2015-acrylic-on-photo-67x4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의자-chair-2015-acrylic-on-photo-15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이불-blanket-2015-acrylic-on-photo-100x3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자동차-car-2015-acrylic-on-photo-17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자전거-bicycle-2015-acrylic-on-photo-47x3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절망-hopeless-2015-acrylic-on-photo-100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제로센-zero-fighter-2015-acrylic-on-photo-15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지옥-hell-2015-acrylic-on-photo-100x6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짜장면-jajangmyeon-2015-acrylic-on-photo-24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참새-sparrow-2015-acrylic-on-photo-24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창문-window-2015-acrylic-on-photo-60x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코끼리-elephant-2015-acrylic-on-photo-100x3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코뿔소-rhino-2015-acrylic-on-photo-100x3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쿠르베-courbot-2015-acrylic-on-photo-17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토끼-rabbit-2015-acrylic-on-photo-45x3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폭격기-babomer-2015-acrylic-on-photo-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풍경-landscape-2015-acrylic-on-photo-150x100.jpg"], :captions=>["2014 acrylic 2015 on photo 40x60", "감옥 jail 2015 acrylic on photo 100x65", "게시판 bulletin board 2015 acrylic on photo 100x65", "고등어 mackerel, 2015 acrylic on photo 60x40", "고릴라 gorilla 2015 acrylic on photo 100x35", "고양이 cat 2015 acrylic on photo 150x100", "고흐 gogh 2015 acrylic on photo 100x35", "곰 bear 2015 acrylic on photo 100x35", "구름 cloud acrylic on photo 60x40", "그릇 bowl 2015 acrylic on photo 200x100", "그림자 shadow 2015acrylic on photo 60x40", "꽃 flower 2015 acrylic on photo 40x30", "나나인치 nanainch 2015 acrylic on photo 100x110", "달걀 프라이 fried egg 2015 acrylic on photo 110x100", "도둑고양이 stray cat 2015 acrylic on photo 100x110", "돌 stone 2015 acrylic on photo 100x65", "두개골 skull 2045 acrylic on photo 40x60", "무 daikon 2015 acrylicon photo 67x45", "뭉크 munch 2015 acrylic on photo 150x100", "바나나 banana 2015 acrylic on photo 100x150", "배추 chainese cabbage 2015 acrylic on photo 67x45", "부적 talisman 2015 acrylic on photo 200x100", "불 fire 2015 acrylic on photo 240x100", "빵 bread 2015 acrylic on photo 100x135", "손님 visitor 2015 acrylic on photo 100x35", "에피타프 epitaph 2015 acrylic on photo 40x40", "원피스 one-piece 2015 acrylic on photo 67x45", "의자 chair 2015 acrylic on photo 150x100", "이불 blanket 2015 acrylic on photo 100x35", "자동차 car 2015 acrylic on photo 170x100", "자전거 bicycle 2015 acrylic on photo 47x30", "절망 hopeless 2015 acrylic on photo 100x70", "제로센 zero fighter 2015 acrylic on photo 150x100", "지옥 hell 2015 acrylic on photo 100x65", "짜장면 jajangmyeon 2015 acrylic on photo 240x100", "참새 sparrow 2015 acrylic on photo 240x100", "창문 window 2015 acrylic on photo 60x40", "코끼리 elephant 2015 acrylic on photo 100x35", "코뿔소 rhino 2015 acrylic on photo 100x35", "쿠르베 courbot 2015 acrylic on photo 170x100", "토끼 rabbit 2015 acrylic on photo 45x30", "폭격기 babomer 2015 acrylic on photo 200x100", "풍경 landscape 2015 acrylic on photo 150x100"], :gallery=>{:title=>"underprint, 2015", :description=>"article<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서울산경-2013/
구름1 2013 50x50 photo _ mixed media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구름1-2013-50x50-photo-_-mixed-media.jpg
강홍구
서울 산경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구름1-2013-50x50-photo-_-mixed-media.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구름1-2013-50x50-photo-_-mixed-media.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구름2-2013-50x50-photo-_-mixed-media.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구름3-2013-50x50-photo-_-mixed-media.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울산경2-부분-2013-320x20-drawing-.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울산경2-부분-2013-320x20-drawing.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울산경3-부분-2013-320x20-drawing.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연기1-2013-105x32-photo-_-mixed-media.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연기2-2013-105x32-photo-_-mixed-media.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인수봉-2013-200x80-photo-_-mixed-media.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족두리봉-2013-150x100-photo-_-mixed-media.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집2-2013-50x50-photo-_-mixed-media.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집3-2013-50x50-photo-_-mixed-media.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집4-2013-105x32-photo-_-mixed-media.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집5-2013-105x32-photo-_-mixed-media.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집6-2013-100x30-photo-_-mixed-media.jpg"], :captions=>["구름1 2013 50x50 photo _ mixed media", "구름2 2013 50x50 photo _ mixed media", "구름3 2013 50x50 photo _ mixed media", "서울 산경2-부분 2013 320x20 drawing", "서울 산경2-부분 2013 320x20 drawing", "서울 산경3-부분 2013 320x20 drawing", "연기1 2013 105x32 photo _ mixed media", "연기2 2013 105x32 photo _ mixed media", "인수봉 2013 200x80 photo _ mixed media", "족두리봉 2013 150x100 photo _ mixed media", "집2 2013 50x50 photo _ mixed media", "집3 2013 50x50 photo _ mixed media", "집4 2013 105x32 photo _ mixed media", "집5 2013 105x32 photo _ mixed media", "집6 2013 100x30 photo _ mixed media"], :gallery=>{:title=>"서울 산경, 2013 ", :description=>"article<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사람의-집-부산-2012/
감천01 pigment print 2012 90x225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01-pigment-print-2012-90x225.jpg
강홍구
사람의 집, 부산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01-pigment-print-2012-90x225.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4%A0%ED%95%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01-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02-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03-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04-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05-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06-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07-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08-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09-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10-pigment-print-2012-80x240-copy.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11-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12-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13-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14-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15-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16-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17-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18-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19-pigment-print-2012-80x240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20-pigment-print-2012-70x17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21-pigment-print-2012-70x17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22-pigment-print-2012-70x17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24-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25-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26-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27-pigment-print-2012-60x3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28-pigment-print-2012-60x3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29-pigment-print-2012-80x4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감천30-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01-pigment-print-2012-12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02-pigment-print-2012-12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03-pigment-print-2012-12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04-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05-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06-pigment-print-2012-90x225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07-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08-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09-pigment-print-2012-7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10-pigment-print-2012-7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11-pigment-print-2012-7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12-pigment-print-2012-7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13-pigment-print-20127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14-pigment-print-2012-7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15-pigment-print-2012-7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17-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18-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19-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20-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21-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22-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23-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24-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25-pigment-print-2012-10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26-pigment-print-2012-80x3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27-pigment-print-2012-70x17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28-pigment-print-2012-70x17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29-pigment-print-2012-70x17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30-pigment-print-2012-70x17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31-pigment-print-2012-70x17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매축지32-pigment-print-2012-70x17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01-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02-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03-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04-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05-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06-pigment-print-2012-70x17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07-pigment-print-2012-10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08-pigment-print-2012-10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09-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10-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11-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12-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13-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14-pigment-print-2012-94x4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문현18-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01-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02-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03-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04-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05-pigment-print-2012-10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06-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07-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08-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09-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10-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11-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12-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만골13-pigment-print-2012-88x3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동01-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동03-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동04-pigment-print-2012-12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동05-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동06-pigment-print-2012-7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동07-pigment-print-2012-7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동08-pigment-print-2012-7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동09-pigment-print-2012-7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동10-pigment-print-2012-7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서동11-pigment-print-2012-8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01-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02-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03-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05-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06-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07-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08-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09-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10-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11-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12-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13-pigment-print-2012-10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14-pigment-print-2012-10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15-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16-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17-pigment-print-2012-80x24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창18-pigment-print-2012-8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01-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02-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03-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04-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05-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06-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07-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08-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09-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10-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11-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12-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13-pigment-print-2012-70x17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영도14-pigment-print-2012-1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우암01-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우암02-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우암03-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우암04-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우암05-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우암06-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우암07-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우암08-pigment-print-2012-90x22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초량01-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초량02-pigment-print-2012-100x12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초량03-pigment-print-2012-100x100.jpg"], :captions=>["감천01 pigment print 2012 90x225", "감천02 pigment print 2012 90x225", "감천03 pigment print 2012 90x225", "감천04 pigment print 2012 90x225", "감천05 pigment print 2012 90x225", "감천06 pigment print 2012 90x225", "감천07 pigment print 2012 80x240", "감천08 pigment print 2012 80x240", "감천09 pigment print 201280x240", "감천10 pigment print 2012 80x240 copy", "감천11 pigment print 2012 80x240", "감천12 pigment print 2012 80x240", "감천13 pigment print 2012 80x240", "감천14 pigment print 2012 80x240", "감천15 pigment print 2012 80x240", "감천16 pigment print 2012 80x240", "감천17 pigment print 2012 90x225", "감천18 pigment print 2012 90x225", "감천19 pigment print 2012 80x2405", "감천20 pigment print 2012 70x175", "감천21 pigment print 2012 70x175", "감천22 pigment print 2012 70x175", "감천24 pigment print 2012 100x120", "감천25 pigment print 2012 100x120", "감천26 pigment print 2012 100x120", "감천27 pigment print 2012 60x300", "감천28 pigment print 2012 60x300", "감천29 pigment print 2012 80x400", "감천30 pigment print 2012 90x225", "매축지01 pigment print 2012 120x100", "매축지02 pigment print 2012 120x100", "매축지03 pigment print 2012 120x100", "매축지04 pigment print 2012 100x120", "매축지05 pigment print 2012 100x120", "매축지06 pigment print 2012 90x2250", "매축지07 pigment print 2012 90x225", "매축지08 pigment print 201290x225", "매축지09 pigment print 2012 70x200", "매축지10 pigment print 2012 70x200", "매축지11 pigment print 2012 70x200", "매축지12 pigment print 2012 70x200", "매축지13 pigment print 201270x200", "매축지14 pigment print 2012 70x200", "매축지15 pigment print 2012 70x200", "매축지17 pigment print 2012 90x225", "매축지18 pigment print 2012 90x225", "매축지19 pigment print 2012 90x225", "매축지20 pigment print 2012 90x225", "매축지21 pigment print 2012 90x225", "매축지22 pigment print 2012 90x225", "매축지23 pigment print 2012 90x225", "매축지24 pigment print 2012 90x225", "매축지25 pigment print 2012 100x200", "매축지26 pigment print 2012 80x300", "매축지27 pigment print 2012 70x175", "매축지28 pigment print 2012 70x175", "매축지29 pigment print 2012 70x175", "매축지30 pigment print 2012 70x175", "매축지31 pigment print 2012 70x175", "매축지32 pigment print 2012 70x175", "문현01 pigment print 2012 100x100", "문현02 pigment print 2012 100x100", "문현03 pigment print 2012100x100", "문현04 pigment print 2012 100x120", "문현05 pigment print 2012 100x120", "문현06 pigment print 2012 70x175", "문현07 pigment print 2012 100x200", "문현08 pigment print 2012 100x200", "문현09 pigment print 2012 90x225", "문현10 pigment print 2012 90x225", "문현11 pigment print 2012 80x240", "문현12 pigment print 2012 80x240", "문현13 pigment print 2012 80x240", "문현14 pigment print 2012 94x400", "문현18 pigment print 2012 80x240", "물만골01 pigment print 2012 100x100", "물만골02 pigment print 2012 100x100", "물만골03 pigment print 2012 100x100", "물만골04 pigment print 2012 100x100", "물만골05 pigment print 2012 100x200", "물만골06 pigment print 2012 90x225", "물만골07 pigment print 2012 90x225", "물만골08 pigment print 2012 90x225", "물만골09 pigment print 2012 90x225", "물만골10 pigment print 2012 90x225", "물만골11 pigment print 2012 90x225", "물만골12 pigment print 2012 90x225", "물만골13 pigment print 2012 88x300", "서동01 pigment print 2012 100x120", "서동03 pigment print 2012 100x120", "서동04 pigment print 2012 120x100", "서동05 pigment print 2012 100x100", "서동06 pigment print 2012 70x200", "서동07 pigment print 2012 70x200", "서동08 pigment print 2012 70x200", "서동09 pigment print 2012 70x200", "서동10 pigment print 2012 70x200", "서동11 pigment print 2012 80x200", "안창01 pigment print 2012 100x100", "안창02 pigment print 2012 100x100", "안창03 pigment print 2012 100x100", "안창05 pigment print 2012 100x120", "안창06 pigment print 2012 100x120", "안창07 pigment print 2012 100x120", "안창08 pigment print 2012 100x120", "안창09 pigment print 2012 100x120", "안창10 pigment print 2012 100x120", "안창11 pigment print 2012 100x120", "안창12 pigment print 2012 100x120", "안창13 pigment print 2012 100x200", "안창14 pigment print 2012 100x200", "안창15 pigment print 2012 90x225", "안창16 pigment print 2012 80x240", "안창17 pigment print 2012 80x240", "안창18 pigment print 2012 80x200", "영도01 pigment print 2012 100x100", "영도02 pigment print 2012 100x100", "영도03 pigment print 2012 100x100", "영도04 pigment print 2012 100x120", "영도05 pigment print 2012 100x120", "영도06 pigment print 2012 100x120", "영도07 pigment print 2012 100x120", "영도08 pigment print 2012 100x120", "영도09 pigment print 2012 100x120", "영도10 pigment print 2012 100x120", "영도11 pigment print 2012 100x120", "영도12 pigment print 2012 100x120", "영도13 pigment print 2012 70x175", "영도14 pigment print 2012 100x100", "우암01 pigment print 2012 100x120", "우암02 pigment print 2012 100x120", "우암03 pigment print 2012 100x120", "우암04 pigment print 2012 100x120", "우암05 pigment print 2012 100x120", "우암06 pigment print 2012 100x120", "우암07 pigment print 2012 100x120", "우암08 pigment print 2012 90x225", "초량01 pigment print 2012 100x120", "초량02 pigment print 2012 100x120", "초량03 pigment print 2012 100x100"], :gallery=>{:title=>"사람의 집, 부산, 2012 ",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1<br>\n부산은 내게 아직도 유령 같은 도시다. 어떻게 생겼는지 어디에 무엇이 있는지 그림이 그려지지 않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다. 고은 사진미술관의 제안으로 부산의 산동네를 찍기 시작한 것이 11년 6월, 약 일 년 반 동안 14번 정도 부산을 둘러보고 사진 찍었다. 일박 이일, 혹은 이박 삼일의 일정으로. 그러니 많이 찍거나 자주 찍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br>\n솔직하게 말하면 이제 어느 동네를 어떻게 찍어야 할지를 조금 알았다고나 할까. 왜냐면 부산에는 산동네가 너무나 많고 다양해서 그 모든 곳을 다 돌아볼 수 없으니까. 게다가 산동네가 아닌 매축지 같은 마을까지 합하면 사진 찍어야 할 부산 동네들은 엄청나게 늘어날 것이다. 아무튼 나는 아직도 부산에 대해서 잘 모른다. 기껏해야 내가 사진 찍은 동네들-감천동, 물만골, 우암동, 서동, 영선동, 신선동, 매축지, 문현동, 초량동, 수정동, 안창마을 등에 대해 약간 알뿐이다. 그것도 길과 집과, 슈퍼와 공중 화장실과 식당과 풍광에 대해서 아주 조금.<br>\n<br>\n2<br>\n처음 부산 산동네 사진 찍으려고 갔을 때 놀란 것은 집과 마을의 다양성, 그리고 좁은 공간을 탁월하게 이용하는 효율성이었다. 사실 이렇게 먹물 묻은 말로 표현하기가 미안하고 쪽팔린다. 산동네를 구성하고 있는 집들을 생존의 건축, 혹은 집 짓기의 밑바닥, 원초적 건축, 한국과 부산의 현대사가 모조리 응축되어 있는 공간이자 건축 따위로 이를 수는 있으리라. 하지만 그 말들은 진짜 집과 건물, 계단과 길들이 보여주는 경이적인 아우라를 표현하는 데는 턱도 없이 모자란다. 아니 애초부터 말로 이를 수 없는 곳에 집과 마을들이 있다.<br>\n그럼에도 그런 말들을 쓸 수밖에 없다. 달리 표현할 말이 내게는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말 대신에 사진을 찍었지 않느냐고? 물론 그렇다. 말로 가능하면 사진을 왜 찍겠는가? 그럼 사진은 가능할까? 모르겠다. 내 능력으로서는 그 산동네들을 사진으로 찍어서 보고 느낀 것을 전달할 수는 없다. 그러나 찍어야 하는 것이 이런 일을 업으로 하는 자의 운명이다. 비장할 것 까지는 없지만 끝없이 셔터를 누르고 이미지들을 정리한다. 마음속으로 회의하고 절망하고 스스로를 비웃고, 이 정도면 괜찮지 않나라고 위안하면서…<br>\n<br>\n3<br>\n이런 사진을 찍는데 가장 힘든 것은 역시 방법의 문제이다. 어떻게 얼마만의 거리에서 뭘 찍을까? 처음은 스케치하듯이 돌아보고, 몇 번의 시행착오를 겪고 나서 내린 처방은 집과 길들을 찍자는 것이었다. 집을 찍는다는 것은 마을을 이루는 집들이 가진 건축적 원초성, 혹은 공간을 사용하는 방식을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줄지어선 집들은 하나도 같은 것이 없다. 물론 지붕 색, 페인트 색, 물통은 유사하지만 입지 조건과 크기, 집주인의 경제사정, 필요성에 따라 너무나 다양하다. 하지만 그 집들을 사진으로 담는 일은 어렵다. 왜냐면 집과 집 사이는 다닥다닥 붙어있고 대부분 집 앞과 뒤의 골목은 너무나 좁아 도무지 거리를 확보하는 게 불가능했다.<br>\n때문에 적절한 거리를 확보하려면 한 채, 두 채가 아니라 몇 채의 집을 한꺼번에 보여줄 수 있도록 찍는 수밖에 없었다. 길과 계단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골목은 사진으로 찍을 수 있으면 사진으로 그렇지 않으면 동영상을 사용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아니 계획이라기보다는 사진을 찍으러 다니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었다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br>\n<br>\n4<br>\n 집들이 모여 있는 스펙터클한 풍경이 아니라 개별적인 집의 생김새, 건축의 방식, 거기에 스민 이른바 공간 형성의 의지를 찍으려 들자 장비가 약간 달라져야 했다. 좀 더 해상도 높은 카메라와 망원 렌즈가 필요했다. 그렇다고 값비싼 장비들을 쓸 생각도 능력도 없었다. 2000만 화소 정도의 디지털카메라와 저가 헝그리 렌즈로 한정했다. 특별한 이유가 있다기보다는 아직도 내게는 고가 장비로 사진을 찍는 것, 즉 사진의 해상도나 기술적 정밀함에 대한 짜증이 있는 것이다. 이것도 병이라면 병이다. 물론 돈이 좀 덜 들기는 하지만.<br>\n<br>\n5<br>\n내가 찍을 사진의 방향과 일치하는 적절한 단어를 발견한다. Proxemics 프로세믹스- 들어본 말이긴 하지만 잘 알지는 못했다. 인터넷을 뒤져서 문화인류학자 에드워드 홀이 만들어 낸 조어라는 사실을 알아낸다. 에드워드 홀의 책, 숨겨진 차원을 읽는다. 내용은 이미 일반화되어있기 때문에 익숙하다. 하지만 프로세믹스라는 개념의 폭이 아주 넓다는 것에 대해 안심한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리뿐만 아니라 인간이 어떻게 공간을 조직하고 소비하는지, 문화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모두 포함한다. 그러니까 단순한 공간을 이용하는 방식을 넘어서 공간에 대한 총체적 인식이 몸과 마음을 거쳐 문화화 되고 실천되는지를 아우르는 말인 것이다. 내가 찍을 사진 전체를 묶는데 이보다 적합한 말이 없어 보인다. 문제라면 사람들이 잘 아는 말은 아니라는 것. 전시 제목으로 할지 아닐지는 유보해두기로 한다.<br>\n<br>\n6<br>\n나는 건축가들이 지은 건물들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좀 있다. 아니 거부감이라기보다는 심리적 거리감이나 정서적인 불편함이라고 해야 할까. 유명한 건물들, 현대식 건물들을 머리로는 이해를 하겠지만 공감이 가지는 않는다. 그것은 건물들이 공장에서 생산된 물건들과 비슷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아이패드나 아이폰이 그렇듯이 예쁘지만 싫은 것이다. 좀 더 그럴듯하게 지으려 한 건물 들일수록 그런 기분은 심해진다. 예를 들면 쓸데없는 자의식이 너무 강하게 들어가서 모든 것을 다 무시하겠다는 오만한 태도가 건물 곳곳에 붙어 있는 건물들은 짜증이 난다. 공격적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방어적이다. 내 작품을 몰라주면 안 되지 하는 불안감이 너무 싫다. 건물 전체에 자신감이 없다. 바록 시대에 베로네제가 그린 거대한 기록화처럼 보인다.<br>\n산동네의 집들은 그것이 없다. 어쨌든 최선을 다해서 지었다는 기분이 든다. 계단과 난간과 지붕과, 옥상과 이층 모두 다 그렇다. 물론 살기는 불편할 것이다. 좁고, 통풍도 잘 안되고 화장실도 없으며 사생활의 비밀 보장도 거의 불가능하다. 대신에 거기에는 일종의 자신감과 사람이 꼭 필요해서 지었다는 느낌이 있다. 절실함이 건물, 길, 골목, 계단 곳곳에 스며있다. 그렇다고 그 절실함이 공격적이지 않다. 아마도 그것은 집과 마을에 축적된 시간과 역사 때문인지도 모른다.<br>\n<br>\n7<br>\n풍경 없는 풍경이 되도록 한다. 사진을 잘 찍는 것을 배제하고 풍경이기를 멈춘 자리에서 사진이 있도록 한다. 풍경이 멈췄다는 것은 집들이 개별적인 존재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br>\n르페브르의 말대로 공간, 장소는 정치, 사회, 문화적인 것을 모아 역사를 재현한다. 혹은 빈민의 삶의 외화이고 구체화이다. 그리고 지금의 태도, 즉 그것을 문화의 일부, 관광 사업으로 바라보는 것은 그들의 삶과 주택과 공간을 문화 상품, 즉 삶의 본질과 별 관계없는 구경거리로 전화시킴으로써 역사를 은폐한다. 장소성과 공간을 상품화하는 시대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이 공간들과 장소, 마을은 그러한 가치가 있지만 그것보다는 재생사업이 절대 중요하다. 재생사업이란 인간이 빠져나간 자리인 빈집들에 인간이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것이 어떤 방법인 든. 하지만 사실 내가 그런 일에 대해 말할 처지에 있지 않다. 나는 카메라를 든 산책자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br>\n<br> <br>\narticle<br>\n집, 허리를 숙이고 그곳에 들다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4%A0%ED%95%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강선학 미술평론가]</a><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녹색연구-2012/
study of green- red line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00x200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red-line-2012-acrylic-on-pigment-print-100x200.jpg
강홍구
녹색연구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red-line-2012-acrylic-on-pigment-print-100x200.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red-line-2012-acrylic-on-pigment-print-10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red-tree-2012-acrylic-on-pigment-print-111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small-field-2012-acrylic-on-pigment-print-109x8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white-birch-B-2012-acrylic-on-pigment-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yellow-parasol-2012-acrylic-on-pigment-print-70x1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arrowroot-2012-acrylic-on-pigment-print-90x13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chinse-quiencne-2012-acrylic-on-pigment-print-107x8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cow-2012-acrylic-on-pigment-print-53x3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eagle-peak-2012-acrylic-on-pigment-print-106x21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game-2012-acrylic-on-pigment-print-55x1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garden-2012-acrylic-on-pigment-print-135x6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grove-2012-acrylic-on-pigment-print-120x1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heli-port-2012-acrylic-on-pigment-print-76x5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horses-2012-acrylic-on-pigment-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jujube-2012-acrylic-on-pigment-print-76x5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kettle-2012-acrylic-on-pigment-print-53x3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namsan-2012-acrylic-on-pigment-print-101x19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path-2012-acrylic-on-pigment-print-106x19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pea-2012-acrylic-on-pigment-print-76x5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rice-field-2012-acrylic-on-pigment-print-91x161.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rusty-car-2012-acrylic-on-pigment-print-96x17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spring-2012-acrylic-on-pigment-print-117x112.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stream-2012-acrylic-on-pigment-print-55x1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summer-2012-acrylic-on-pigment-print-70x1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tomato-2012-acrylic-on-pigment-print-6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water-2012-acrylic-on-pigment-print-70x11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white-birch-A-2012-acrylic-on-pigment-print-190x48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white-cloud-2012-acrylic-on-pigment-print-76x5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white-flower-2012-acrylic-on-pigment-print-90x2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tudy-of-green-wide-leaf-2012-acrylic-on-pigment-print-134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y-study-of-green-stone-2012-acrylic-on-pigment-print-53x35-.jpg"], :captions=>["study of green- red line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00x200", "study of green -red tree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11x70", "study of green -small field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09x81", "study of green- white birch B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study of green -yellow parasol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70x110", "study of green-arrowroot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90x134", "study of green-chinse quiencne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07x82", "study of green-cow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53x35", "study of green-eagle peak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06x213", "study of green-game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55x110", "study of green-garden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35x67", "study of green-grove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20x112", "study of green-heli port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76x56", "study of green-horses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study of green-jujube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76x56", "study of green-kettle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53x35", "study of green-namsan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01x196", "study of green-path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06x193", "study of green-pea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76x56", "study of green-rice field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91x161", "study of green-rusty car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96x173", "study of green-spring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17x112", "study of green-stream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55x110", "study of green-summer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70x110", "study of green-tomato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60x100", "study of green-water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70x110", "study of green-white birch A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90x480", "study of green-white cloud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76x56", "study of green-white flower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90x200", "study of green-wide leaf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134x90", "y study of green-stone 2012 acrylic on pigment print 53x35"], :gallery=>{:title=>"녹색연구, 2012 ",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녹색에 관한 작업을 해야겠다고 마음먹은 것은 6년 전쯤이다. 봄이 되면 뭉게구름처럼 피어오르는 야산 나무들의 새잎에 반하게 되면서부터이다. 누군가는 그 이유가 나이가 들었기 때문이라고도 했다. 그럴 것이다. 그 놀랍고 다양한 녹색들을 카메라를 들고 찍으면서 사진으로 다 담을 수 없는 뭔가가 있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그냥 사진이 아니라 사진 위에 채색하는 시도를 2007년에 처음 했다. 몇 점 만들어본 다음에 같은 방법을 이용해 2010년 ‘그 집’ 전시를 했다.<br>\n<br> <br>\n 이번 전시 준비를 하면서도 생각은 단순했다. 사 월말 오월 초의 나무들이 보여주는 엄청나게 다양한 녹색들을 어떤 식으로든지 표현해보는 것이었다. 그러나 작업이 진행되면서 생각은 점점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깊어지거나 새로워지는 것이 아니라 그냥 복잡해졌다. 예를 들면 인간은 어떻게 식물들을 그려왔나? 그 배경은 무엇인가? 따위부터 아주 오래된 개인적인 녹색에 대한 기억까지. 그뿐 아니라 녹색 성장, 녹색 인증 따위의 이념적 상투어들과 어렸을 때 식물을 가지고 놀던 기억까지 뒤섞이면서 드디어 지리멸렬해졌다.<br>\n<br>\n 지리멸렬은 그래서 이 전시의 열쇠말이 되었다. 생각해보니 지리멸렬은 우리 시대의 열쇠말이기도 하다. 그 잘났다는 이념도, 종교도 다른 어떤 무엇도 이 재난과도 같은 인간의 삶을 구원하지 못했다. 그런데 인간은 이런 삶을 끝장낼 방법도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 욕망을 줄이는 것. 그러나 실천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욕망은 시스템화 되어 사회적 현상을 넘어 후천성 생물학적 DNA로 변화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아마도 인간은 그렇게 살도록 프로그램된 것이나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지경이다. 섣부른 생물학적 운명론이 되는 것 같아 그렇기는 하지만.<br>\n<br>\n우리 시대의 진정한 예언서인 탐정, 범죄 소설과 SF소설들은 직접, 혹은 비유적으로 인간에 관해 말한다. 예를 들면 ‘알프레드 엘튼 반 보그트’가 쓴 ‘우주선 비 이글호’에 나오는 우주 생물들을 역사적 단계로 구분하는 방법의 경우가 흥미롭다.<br>\n우주선에 탑승한 한 역사학자는 초기 농민 기적 특성을 가진 우주 생물들은 종족보존을 본능적으로 우선시하기 때문에 위기의 상황에서도 그렇게 행동하리라는 추론을 한다. 그리고 그걸 바탕으로 우주선을 위기에서 구한다. 토인비의 역사 구분 방식의 영향을 받았다는데 이런 관점을 인간에게 적용하면 어떨까? 인간의 문명은 어떤 단계에 해당될까? 초기 농민 기를 넘어섰을까? 이토록 지리멸렬하고 분열적이며 어리석은 삶을 유지하는 것을 보면 혹시 자기 파괴적 단계에 이른 것은 아닐까?<br>\n<br>\n어쨌든 녹색 연구는 작업실을 출발해 북한산에 오르는 산책 길에 대한 일종의 기록이다. 그 과정에서 농업 본능을 버리지 못하는 도시인들의 작은 채소밭, 논, 농작물에서 나무와 숲을 지나 산꼭대기에서 도시를 바라보는 것이 뼈대를 이룬다. 그러나 그것들로 다 말하지 못하는 녹색에 대한 기억과 여러 생각 등은 드로잉과 설치를 이용했다. 물론 전시 자체는 잘 조직된 것은 아니다. 그럴 생각도 별로 없었다.<br>\n<br>\n여기까지 쓰고 보니 이 글도 역시 지리멸렬하다. 하지만 글과 전시가 지리멸렬한 것은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지리멸렬한 세계에서 지리멸렬한 전시란 필연적이지 않은가?<br>\n<br>\narticle<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오승우 미술관,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전복적 사진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그집-2010/
그집-국화,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국화-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강홍구
그집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가게-2010-pigment-print-.-inkacrylic-155x70.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4%A0%ED%95%99-%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C%88%98%EB%A0%A8%EC%9E%90-%EC%82%AC%EB%9D%BC%EC%A7%80%EB%8B%A4-%EA%B7%B8%EC%A7%91.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가게-2010-pigment-print-.-inkacrylic-155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개-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계단-2010-pigment-print-.-inkacrylic-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국화-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그릇-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그림-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꽃밭-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나무들-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녹색의자-2010-pigment-print-.-inkacrylic-220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담-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담쟁이-2010-pigment-print-.-inkacrylic-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물-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미끄럼틀-2010-pigment-print-.-inkacrylic-200x1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바람-2010-pigment-print-.-inkacrylic-200x1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붉은-담쟁이-2010-pigment-print-.-inkacrylic-200x1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붉은-벽돌-2010-pigment-print-.-inkacrylic-200x11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붉은지붕-2010-pigment-print-.-inkacrylic-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빨래-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살구-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상추-2010-pigment-print-.-inkacrylic-155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숲-2010-pigment-print-.-inkacrylic-220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암벽-2010-pigment-print-.-inkacrylic-200x10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암탉-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옥상-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옷장-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은행나무-2010-pigment-print-.-inkacrylic-200x105.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이불-2010-pigment-print-.-inkacrylic-220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자귀나무-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절-2010-pigment-print-.-inkacrylic-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창문-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푸른지붕-2010-pigment-print-.-inkacrylic-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황토-2010-pigment-print-.-inkacrylic-127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집-흰담-2010-pigment-print-.-inkacrylic-220x90.jpg"], :captions=>["그집-가게,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55x70", "그집-개,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계단,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00x100", "그집-국화,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그릇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127x100", "그집-그림,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꽃밭,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나무들,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녹색의자,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20x90", "그집-담,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담쟁이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00x100", "그집-물,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미끄럼틀,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00x115", "그집-바람,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00x115", "그집-붉은 담쟁이,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00x115", "그집-붉은 벽돌,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00x115", "그집-붉은지붕,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00x100", "그집-빨래,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살구,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상추,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55x70", "그집-숲,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20x90", "그집-암벽,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00x105", "그집-암탉 ,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옥상,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옷장,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은행나무,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00x105", "그집-이불,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20x90", "그집-자귀나무,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절,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00x100", "그집-창문,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푸른지붕,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00x100", "그집-황토,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127x100", "그집-흰담, 2010, pigment print . ink,acrylic, 220x90"], :gallery=>{:title=>"그집, 2010 ",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 1<br>\n가끔 집에 대한 꿈을 꾼다. 세 들어 살 집을 찾거나 세든 집에서 생긴 문제를 해결하려고 애쓰는 꿈이다. 아니면 그저 집을 돌아보는 꿈도 있다. 빗물에 얼룩진 벽지에 핀 곰팡이, 비틀려 맞지 않는 문, 습기 찬 바닥에 구멍 뚫린 비닐장판이 깔려 있는 집들이다. 일본식과 한식, 양식이 절충된 그 낡은 집의 주인은 아주 늙은 노부부이거나 아예 얼굴을 모른다. 꿈마다 조금씩 바뀌지만 불편한 집이라는 것, 구조가 기이하다는 점은 같다. 지금 까지 수없이 세 들어 살면서 겪었던 집들이 가진 나쁜 점만을 모아놓은 듯한 집이다.<br>\n일종의 악몽이다. 때로는 그런 꿈을 꾸다 깨어 새벽에 멍하니 앉아있기도 한다. 그런 때는 꿈에 나오는 집이 일종의 업(業)이라는 생각, 혹은 꿈속에 있는 그 집에서 이사 가버려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전시 준비를 하면서도 그런 꿈을 두어 번 꾸었다. 낡은 집, 이제 사라져 없어진 집들에 대한 작업을 하는 것 역시 일종의 업(業)인가. 이제 그 집들과 헤어지고 싶기도 하다.<br>\n<br>\n 2<br>\n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진과는 약간 다른, 그러나 꼭 그렇지도 않은 작업을 십여 년째 해오고 있다. 주로 재개발, 뉴 타운 등등 -이제 모두 사라져 버린 집들과, 공간, 나무와 물건들을 찍고 편집하고, 인화하고, 전시했다.<br>\n 이런 작업을 처음 시작할 때 재개발과 부동산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이 뭔가 변하리라고 기대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찍어도 찍어도 재개발과 뉴타운은 끝없이 쏟아져 나오고, 원주민들은 집과 삶터를 잃고, 사람들은 죽어가고, 투기와 비리와 부패의 사슬은 멈추지 않는다.<br>\n 앞으로도 나아질 가망은 별로 보이지 않는다. 조금 나아졌다는 게 지금 큰 이익이 없으니까 재개발, 뉴타운은 잠시 보류해두자 라는 태도, 아니면 지금 까지 뭘 해왔는지 뒤돌아보는 정도일까.<br>\n<br>\n 3<br>\n그 집들, 이제는 사라져 없어져 버린 아까운 집들. 북한산 족두리봉 기슭의 불광 재개발 2, 4, 6 지구, 오쇠리, 은평 뉴타운, 세종시 문제로 시끄러운 충남 연기군 종촌리 등에서 찍은 집들. 그 모든 집들이 지금은 흔적도 없다. 누가 기억이나 해줄까?<br>\n건축가가 설계한 것도 아니고, 문화재도 아니며, 재산 가치도 적고, 심지어 공식적으로 재개발 지역을 사진 찍고 기록하는 일도 시작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으니 사진 찍히지도 않았다. 다시 말하자면 공적인 기억과 기록에서는 사라져 버렸다.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br>\n그러나 그 집들은 내 눈에는 건축가가 설계한 집이나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건물들보다 흥미롭다. 특히 북한산 족두리 봉 아래 집들이 그랬다. 산비탈에 세워진 집들은 하나도 같은 게 없었다. 입지 조건에 따라 제각각이었다. 가파른 비탈과 계단을 오르내리며 사는 것은 불편했겠지만 전망은 좋았다. 게다가 모든 공간에는 사람들의 삶의 흔적이 깊이 배어있었다. 아마도 그것은 집을 짓고, 고치는 모든 과정에 사는 사람의 손이 갔기 때문일 것이다.<br>\n바위투성이의 산언덕에 한 채의 집을 짓는 것은 얼마나 힘들고 어려운 일이었겠는가. 비탈진 곳을 평평하게 고르고, 무거운 재료들을 운반하고 그것들을 제 위치에 놓고, 시멘트를 발라 계단을 만들고…. 무엇보다 돈을 마련해야 하고, 바위들과 적당히 타협해야 하고. 때문에 높은 곳에 있는 집일수록 바위가 길과 마당에서 불쑥불쑥 튀어나와 있다. 심지어 어떤 집은 방 한쪽 벽이 바위로 되어있기조차 했다.<br>\n그 집들은 사람이 어떻게 공간을 이용하고 적응해서 삶을 꾸리는지를 잘 보여 주었다. 재료들이야 빤하다. 시멘트, 기와, 목재, 플라스틱 등 결국 아파트를 짓는 재료와 똑같다. 하지만 그 재료들이 가진 놀라운 개별성과 개성이 훨씬 잘 드러난다. 발레리가 그랬던가. 인간이 만든 구조물은 그 재료들보다 단순하다고.<br>\n<br>\n 4<br>\n사람이 살지 않게 된 집들은 비자마자 사람들의 공격을 받는다. 계단의 금속제 난간과 방안에 깔린 구리 온돌 파이프를 사정없이 뜯어간다. 알루미늄 창틀이나 철제 대문이 사라진다. 살던 사람들이 버리고 가는 것도 가지가지이다. 누군가는 앨범을 통째로 버리고 간다. 가족 앨범이다. 결혼식부터 아이가 태어나서 자라는 과정이 고스란히 담긴 앨범들인데 모조리 버렸다. 성혼선언문이나 조상들의 낡은 흑백 사진들도 있다.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br>\n 사라져 버린 모든 집들은 건축의 원형에 가깝다. 거기에는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심미성과 실용성에 관해 이론 따위를 찾아서 적용한 흔적이 없다. 그리고 그럴 여유도 이유 없다. 우리가 건축이라고 말하는 건축 이전의 건축, 더 정확히 말하면 생존의 건축이라고 할 수 있다. 건축이 곧 생존인 집들이기 때문에 당연히 원형적이다. 재료는 비록 현대적이지만 짓는 정신과 태도는 원초적이다. 심지어 공법도 그렇다. 거의 완전 수공에 가까워서 벽은 평면이 아니고 담은 삐뚤고 계단은 불규칙하다. 즉 인간이 손으로 만든 공간이라는 것을 너무도 확실히 느낄 수 있다.<br>\n<br>\n 5<br>\n이런 집들을 보통 사진으로 프린트해서 전시하는 것 말고 다른 방법이 없을까. 사진은 뭔가 뻔뻔하고 공식적인 성격이 강하다. 사진은 사실이 아닌 것도 사실인 듯 보이게 하고 사실로 받아들여지게 만든다. 사라진 집들에 대한 개인적인 기억, 오마쥬 등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사진에 색칠을 해보기로 한다.<br>\n흑백 프린트를 하고 그 위에 색을 칠해 사진과 그림 사이에 있는, 사진도 그림도 아닌 어떤 이미지를 만들어 보는 것. 물론 사진 초창기에 많은 사람들이 했던 채색 사진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없다. 어떤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고 싶은 생각도 없다.<br>\n프린터로 사진을 뽑아 색칠을 해본다. 적절한 채색용 물감을 찾는 것도 쉽지는 않다. 유화, 수성 유화, 아크릴, 액상 아크릴 등등의 재료로 실험을 해본다. 한 장, 두 장 실패작들이 쌓인다. 예상보다 실패율이 높다. 칼라로 보는 사진과 흑백으로 프린트 한 다음 채색한 느낌의 차이가 결정적이다.<br>\n색칠을 다하고 나서 그 위에 일종의 표식을 넣는다. 흰색을 약간 흐르도록 바르는 것이다. 추상표현주의, 서예의 일획처럼. 레이어 위의 마지막 레이어처럼. 물론 농담이다. 사실 이 작품들 자체가 농담이고, 키치이고, 또한 진담이다. 뭐 놀라운 것도 아니다. 미술이란 게 원래 환상에서 시작해서 환멸로 끝나는 것이니까.<br>\n<br>\n6<br>\n공식적인 기억에서 사라진 이 집들을 다시 기억하는 혹은 기억하도록 해보려는 이 작업들은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일까. 일종의 대안기억(counter memory)일까 아닐까? 뭐 의미가 없어도 그만이라는 생각도 든다. 집이 그렇듯이 미술 작품이라는 것도 의미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기 때문에 의미가 있는 것이니까.<br>\n 사실 끔찍한 현실이 심미적으로 보이는 것보다 잔인한 일은 없다. 빈집과 전쟁터와 폐허가 그러하다. 내가 찍고 색칠한 집들도 원래 흉흉했지만 촬영, 프린트, 색칠 등의 과정을 통해 일종의 심미성이 생겼다. 그리고 현실과 심미성 사이에는 깊은 균열과 파열이 있다. 미술 작품에 의미라는 것이 있다면 아마도 그 갈라진 틈새에서 솟아나는 것일 것이다.<br>\n<br>\n7<br>\n고유의 개인적 삶을 포기하는데서 한국의 현대화는 시작된다. 자발적으로 이주하는 것이 아니라 쫓겨난 철거민이거나 강제된 유목민이 되어 도시로 몰려든다. 힘겹게 버티며 살아남아 아파트라도 가져야 약간 불안이 가시고 정체성이 형성된다.<br>\n<br>\n 성공한 후발 천민자본주의가 가지는 뒤틀리고 왜곡된 욕망이 흔적과 과거와 고유성을 지우는데 수십 년을 바쳤고, 앞으로도 그럴 것 같다. 사라져 버린 집들이 보여주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제 얼굴과 몸을 스스로 지워 기형으로 만들면서 행복해하는 괴이한 세계를. 얼굴과 집에서 강과 바다에 이르기까지.<br>\n<br>\narticle<br>\n어색하고 난처한 개입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4%A0%ED%95%99-%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C%88%98%EB%A0%A8%EC%9E%90-%EC%82%AC%EB%9D%BC%EC%A7%80%EB%8B%A4-%EA%B7%B8%EC%A7%91.pdf\">[강선학 미술비평가]</a><br>\n디지털 사진과 개인적 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5%EC%98%81%EC%84%A0-%EB%94%94%EC%A7%80%ED%84%B8%EC%82%AC%EC%A7%84%EA%B3%BC%EA%B0%9C%EC%9D%B8%EC%A0%81%EA%B8%B0%EC%96%B5-%EA%B0%95%ED%99%8D%EA%B5%AC-%EA%B7%B8%EC%A7%91%EC%97%90%EB%82%98%ED%83%80%EB%82%9C%EC%9E%91%EC%97%85%EC%88%98%ED%96%89%EA%B3%BC%EC%A0%95%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pdf\">[박영선]</a><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n</a>"},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sarazida-2009/
나무 2009, digital photo print, 220x90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나무-2009-digital-photo-print-220x90.jpg
강홍구
sarazida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계단-2009-digital-photo-print-220x90.jpg
{:video_url=>"spectasio:",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계단-2009-digital-photo-print-220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고추-2009-digital-photo-print-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골목-2009-digital-photo-print-125x1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나무-2009-digital-photo-print-220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내집사랑-2009-digital-photo-print-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노란꽃-2009-digital-photo-print-125x1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논산집-2009-digital-photo-print-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물놀이-2009-digital-photo-print-125x1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빨래-2009-digital-photo-print125x1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살구나무-2009-digital-photo-print-125x1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소나무-2009-digital-photo-print-125x1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안개-2009-digital-photo-print-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옥상-2009-digital-photo-print125x1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웅덩이-2009-digital-photo-print-220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원두막-2009-digital-photo-print-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유리병-2009-digital-photo-print-125x1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자주-꽃-2009-digital-photo-print-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중장비들-2009-digital-photo-print-220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철거-2009-digital-photo-print-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철거가옥-2009-digital-photo-print-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철거중-2009-digital-photo-print-220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태극기-2009-digital-photo-print-125x1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폭포동-2009-digital-photo-print-220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한양주택-2009-digital-photo-print-220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화단-2009-digital-photo-print-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흰개-2009-digital-photo-print-220x90.jpg"], :captions=>["계단 2009, digital photo print, 220x90", "고추 2009, digital photo print, 200x100", "골목 2009, digital photo print, 125x107", "나무 2009, digital photo print, 220x90", "내집사랑 2009, digital photo print, 200x100", "노란꽃 2009, digital photo print, 125x107", "논산집 2009, digital photo print, 200x100", "물놀이 2009, digital photo print 125x107", "빨래 2009, digital photo print,125x107", "살구나무 2009, digital photo print, 125x107", "소나무 2009, digital photo print, 125x107", "안개 2009, digital photo print, 200x100", "옥상 2009, digital photo print,125x107", "웅덩이 2009, digital photo print, 220x90", "원두막 2009, digital photo print, 200x100", "유리병 2009, digital photo print, 125x107", "자주 꽃 2009, digital photo print, 200x100", "중장비들 2009, digital photo print, 220x90", "철거 2009, digital photo print 200x100", "철거가옥 2009, digital photo print, 200x100", "철거중 2009, digital photo print, 220x90", "태극기 2009, digital photo print, 125x107", "폭포동 2009, digital photo print, 220x90", "한양주택 2009, digital photo print, 220x90", "화단 2009, digital photo print, 200x100", "흰개 2009, digital photo print, 220x90"], :gallery=>{:title=>"sarazida, 2009 ",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은평 뉴타운에 관한 어떤 메모<br>\n<br>\n현실이 사진을 편집한다<br>\n<br>\n은평 뉴타운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내, 외동과 구파발동 일대에 걸쳐있다. 통일로가 지나가는 곳이므로 간단히 말해 서울 북쪽 외곽 끝 즉, 변두리이다. 내가 은평 뉴타운에 대한 사진을 찍고 관심을 가진 것은 순전히 우연이었다. 시내버스를 타고 혹은 걸어서 은평 지역을 둘러보러 다닌 것은 불광1동으로 이사를 한 해인 2001년 여름. 작업실에서 북한산을 오르는 길이 먼저 흥미를 끌었다. 그 길은 북한산 수리봉 뒤편 산자락에 나있었다. 물론 정규 등산로가 아닌 길들이었다.<br>\n심심할 때면 샌들이나 슬리퍼를 신고도 웬만한 높이 까지는 오를 수 있었고, 오르다 힘들면 바위 비탈에 주저앉아 산 아래 더러운 책처럼 펼쳐진 집들과 한강 너머 뿌연 먼지로 흐려진 도시를 보는 재미도 쏠쏠했다. 지금은 정규 등산로를 제외한 모든 길들이 철책으로 막혀 그런 재미도 사라져 버렸다.<br>\n다음으로는 지하철 6호선 독바위 역을 지나 폭포동으로 가는 길이었다. 역시 북한산 산자락이고 등산 코스가 있지만 그 길보다는 개울을 따라 지어진 집들과 마을, 들판과 주말농장을 살피는 것이 좋았다. 주위엔 꽃 농장이 많아 여름이면 백일홍 나무가 연자주색 꽃을 무더기로 피우곤 했다. 폭포동 길을 따라 은평 웹 미디어 고등학교와 신도 초등학교를 지나 구파발역에 이르는 길도 흥미 만점이었다. 서울에 이런 곳이 있었나 싶은 읍, 면 단위 소도시의 분위기가 있었고 시간도 느릿하게 흐르는 듯했다. 구파발이나 기자촌 앞에서 진관사로 가는 길과, 거기서 오르는 북한산에 등산로도 좋았다. 그밖에도 한양주택, 기자촌 앞의 마을들도 둘러 볼만 했다.<br>\n 동네와 길들을 바라보며 농촌 분위기와 도시 변두리의 분위기 사이에 있는 이 기묘한 공간을 느긋하게 탐색해볼까 하는 생각도 했었다. 그때가 2002년 무렵, 실제로 틈틈이 사진을 찍으러 다니기도 했다. 그리고 갑자기 뉴 타운 계획이 발표되었다. 뉴 타운이 발표되자 여러 가지가 바뀌었다. 가장 큰 변화의 하나는 뉴 타운 계획이 발표되기 이전에 찍은 모든 사진들의 맥락이 완전히 달라져버렸다는 것이다. 사진에는 정체성이 없다는 존 택의 말이 옳다.<br>\n사진을 찍을 당시에는 그저 일단 찍어 두자 내지는 농촌과 도시 사이의 접점과 변이를 추적해 보려는 의도가 있었다. 때문에 지금처럼 사라진 뉴 타운 지역에 대한 기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사라진 것들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기록이 되리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설사 그런 일이 일어나더라도 그것은 먼 훗날이 되리라고 생각했었다.<br>\n한 마디로 현실의 변화가 사진의 맥락을 바꾸고 사진을 다시 편집하고 위치를 전환시켜버린 것이다. 그러니까 개발적 상상력-시골스러운 변두리 동네를 쓸어버리고 아파트를 짓는다는 토목공사적 상상력이 사진적 상상력을 훨씬 앞질러버린 것이다. 때문에 뉴 타운 이후의 사진은 결국 뉴 타운에 대한 우연한, 의도하지 않은 기록 사진의 성격을 띠고 말았다.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든 간에.<br>\n뉴 타운 개발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1 지구와 2 지구의 아파트 건축은 한참 진행 중이고, 3 지구의 일부는 이제 기반 공사가 끝나가고, 나중에 편입된 기자촌은 아직 주민들의 이주도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br>\n내 사진과 기타 작업 결과물들은 다큐멘터리가 아니다. 그럴 의도도 없었고 계획도 없었다. 하지만 결국 이 의도하지 않은 사진들이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이 된 것이다.<br>\n<br>\n시선의 구체성<br>\n<br>\n사진은 레비스트로스가 말한 구체의 과학인 원주민들의 사고와 유사하다. 그리고 그 구체의 과학은 신화적 사고이다. 레비스트로스에 따르자면 신화적 사고는 표상(image)에 묶인 채 지각(percept)과 개념(concept)의 중간에 자리 잡고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철저하게 표상인 사진의 위치는 지각과 개념 사이에 있다.<br>\n아니다. 오히려 사진보다는 사진을 찍으려는 자의 태도, 세계를 보는 시선이 바로 거기에 있는 것이나 아닐까? 카메라를 들고 걸어서 사진을 찍기 위해 사라질 동네, 지금 무너져가는 마을을 들여다보면 전체적인 개념- 예를 들어 개발, 개발 과정의 강제성, 강제성의 배후에 있는 시스템, 원주민들의 입주 비율 따위의 추상적, 경제적, 정치적인-들보다는 지금 눈 앞에 있는 사물들의 구체성에 사로잡히게 된다. 내게 있어 그 구체성은 마을의 개와 나무와 꽃들이다. 아난이 여시아문 일시불(如是我聞 一時佛)- 내 부처한테 이렇게 들었노라, 이렇게 보았노라고 했던 것처럼 이미지를 보고 그것을 옮기는 일종의 구체성에 관한 관음증 혹은 절시증적 상태에 빠지게 된다. 사진이란 결국 대상을 통해 자신을 보는 것이다. 은평 뉴타운을 통해 우리, 우리의 욕망을.<br>\n<br>\n차등적 공포, 마을들<br>\n<br>\n 은평 뉴타운은 대개는 그린 벨트 지역이었다. 그린 벨트가 해제되고 개발이 시작되고, 대부분의 원주민들은 갈 곳이 사라진다. 도시민들에게 전유 되었던 장소를 아파트 단지, 뉴타운으로 재전유 하는 과정에서 그곳에 살고 있던 사람들의 의견, 이익은 무시되고 부차적이 된다.<br>\n 마을들 역시 사라진다. 물푸레골, 폭포동, 못자리골, 삼천리골… 등등의 오랜된 마을들과 한양주택, 문석주택 등의 70년대 무렵 건설된 마을들이 있었다. 한양주택은 철거와 개발에 대한 저항 때문에 제법 잘 알려진 곳이다. 70년대, 박정희 치하 남북회담이 처음 열리던 시절 일종의 전시용 마을로 통일로 변에 세워졌다는 동네이다. 낮은 단층 주택, 넓은 가로 전원주택 분위기가 나는 살기 좋아보이는 마을이었다.(내가 살아본적은 없으므로) 지금은 한창 공사중이다. 버스를 타고 지나다보면 철제 울타리와 타워 크레인이 보일 뿐이다.<br>\n 지그문트 바우만이 말하는 유동적 공포가 여기에도 적용되는 것 같다. 자본의 입장에서 별 가치 없는 마을을 쓸어버리는 것은 근대성의 오작동이 아니라 그 본질이라는. 법 질서 유지와 경제발전이라는 근대화 과정에서 사람을 비롯한 모든 것은 배려할 가치가 있는 부류와 가치가 없는 삶으로 구분되고 그 과정에서 공포 또한 차등 분배된다는. 뉴올리언즈의 흑인들이나 용산 세입자들 처럼. 용산 건설 커넥션과 공권력은 무죄고 세입자들은 구속된다. 물론 분노 또한 차등 분배된다.<br>\n<br>\nspectasio: 구경거리, 보는 행위, 보이는 것, 관조, 주시<br>\n<br>\n사진은 그 무엇이 됐든지 간에 피사체를 변형시키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현실에서는 존재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게 할 만큼 어떤 이미지를 아름답게(혹은 금찍하거나 견딜 수 없을 만한 것으로, 그도 아니면 꽤 견뎌낼 만한 것으로)만들 수도 있다. 예술 자체가 뭔가 를 변형시키는 작업이긴 하다. 그렇지만 비참한 일들과 비난받아 마땅한 일들의 증인이 되어주는 사진은 ‘미학적’인 듯이 보이기만 하면, 간단히 말해서 지나치게 예술인 듯하면 상당한 비난을 받는다.<br>\n-수전 손택, 타인의 고통 retarding the pain of others<br>\n<br>\n그러나 사진이 예술에 접근하는 것은, 회화를 통해서가 아니라 연극을 통해서이다.(나에게는 그렇게 생각된다.) 우리는 사진의 기원에 항상 니엡스와 다게르(물론 후자가 어느 정도 전자의 위치를 빼앗기는 했지만)를 이야기한다. 그런데 다게르는 니엡스의 발명품을 표절한 다음 샤또 광장에서 빛의 움직임과 유희에 의한 회전 그림연극을 상연했다. 요컨대 어둠상자는 원근화, 사진, 투시화를 동시에 보여주었으며, 이 세 가지는 모두가 바로 무대예술이다.<br>\n– 롤랑 바르트, 카메라 루시다<br>\n<br>\n 두 개의 인용은 두 개의 변명이다. 하나는 인화된 사진에 관하여, 하나는 슬라이드 쇼에 관해서다.<br>\n<br>\n<strong>부록</strong><br>\n<br>\n은평 뉴타운 시범지구<br>\n<br>\n이 지역은 지난 30여년간 개발제한구역 및 군사시설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주거환경이 열악할 뿐 아니라 도시기반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종합적이고 계획적인 개발이 필요했던 곳입니다.<br>\n이제 주거· 업무· 문화· 공공시설 등을 고루 갖춘 신 시가지형 뉴타운으로 새롭게 변신합니다.<br>\n<br>\n 사업개요<br>\n 위 치 : 은평구 진관동 일원<br>\n 면 적 : 3,492,421㎡<br>\n 사업기간 : 2002.10 ~ 2011.10<br>\n 공공시설 : 녹지율 30.4%, 학교 11개소 등 도시기반시설 58.7%<br>\n 수용인구 : 총 45,281인(2.8인/세대 기준)<br>\n 사업방식: 도시개발사업(전면수용방식, 지구별 분할시행)<br>\n<br>\n구 분 계 1지구 2지구 3지구<br>\n면적(천㎡) 3,492 777 7 27 1,988<br>\n건립호수 16,172 4,660 5,134 6,378<br>\n사업기간 2002~2011 2002~2008 2004~2010 2005~2011<br>\n<br>\n주택건설 : 16,172호(분양 10,918 / 임대 5,006 / 단독 248)<br>\n유형 및 평형 계 1지구 2지구 3지구<br>\n계 16,172 4,660 5,134 6,378<br>\n공동주택 합계 15,924 4,660 5,134 6,130<br>\n임대 소계 5,797(2,979) 1,699(660) 1,623(859) 2,475(1,460)<br>\n단독 248 – – 248<br>\n<br>\n추진경위<br>\n ‘02.10.23 : 뉴타운 시범사업 선정<br>\n ‘03.12.30 : 도시개발구역지정승인(건설교통부)<br>\n ‘04. 2.10 : 개발제한구역 해제 고시<br>\n ‘04. 2.25 : 도시개발구역지정 및 개발계획 고시<br>\n ‘04.10.19 : 이주대책 기준공고(기준일 : 2002.11.30)<br>\n ‘04.12.20 : 1지구 실시계획인가<br>\n ‘04.12.31 : 1지구 주택건설 사업계획승인<br>\n ‘05.12.30 : 2지구 실시계획인가<br>\n ‘05.12.30 : 2지구 주택건설 사업계획승인<br>\n ‘06.12.28 : 3지구 실시계획인가<br>\n ‘06.12.29 : 3지구 주택건설 사업계획승인<br>\n ‘07.10.18 : 재정비촉진계획변경고시<br>\n ‘07.12.05 : 1지구 입주자 모집공고<br>\n ‘08.01.03 : 실시계획변경 인가고시<br>\n ‘08.06.01~07.31 : 1지구 입주(못자리골 7.1~8.31)<br>\n ‘08.07.30 : 1지구 잔여물량 및 2지구 A공구 일반분양<br>\n ‘08.12.22 : 2지구 A공구 준공<br>\n ‘08.12.29 : 2지구 A공구 13단지 입주<br>\n ‘09.01.22 : 2지구 A공구 1,12단지 입주<br>\n ‘09.12. : 2지구 B,C공구 및 3지구 C공구 준공<br>\n ‘10.03. : 3지구 B공구 준공<br>\n ‘10.06. : 3지구 D공구 준공<br>\n ‘10.09. : 3지구 A공구 준공<br>\n<br>\narticle<br>\n어색하고 난처한 개입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4%A0%ED%95%99-%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C%88%98%EB%A0%A8%EC%9E%90-%EC%82%AC%EB%9D%BC%EC%A7%80%EB%8B%A4-%EA%B7%B8%EC%A7%91.pdf\">[강선학 미술비평가]</a><br>\n풍경의 사라짐 속에서 소멸하는 삶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A%B0%95%ED%99%8D%EA%B5%AC-%ED%92%8D%EA%B2%BD%EC%9D%98-%EC%82%AC%EB%9D%BC%EC%A7%90-%EC%86%8D%EC%97%90%EC%84%9C-%EC%86%8C%EB%A9%B8%ED%95%98%EB%8A%94-%EC%82%B6.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br>\n<br>\ninterview<br>\n사라지는 것에 대한 기록감성시대의 인간 탐구 </a><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C%9D%B4%EB%8C%80%EB%B2%94-%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이대범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byunbang-2007/
변방의 가을-마네킨 140x124, digital photo _ print 2007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마네킨-140x124-digital-photo-_-print-2007.jpg
강홍구
byunban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감시초소-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감시초소-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개-140x124-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고무장갑-140x124-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골목-140x124-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구멍가게-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군인상-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그림자-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놀이터-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돼지-178x123-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마네킨-140x124-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명부전-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문-140x124-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문닫은-가게-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바구니-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배추-140x124-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보따리-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부처와-모텔-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붉은-나무-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생각하는-사람-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소년은-달린다-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수확-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시장-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아궁이-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연기-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웅덩이-140x124-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주말농장-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변방의-가을-추성부-220x110-digital-photo-_-print-2007.jpg"], :captions=>["변방의 가을-감시초소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개 140x124,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고무장갑 140x124,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골목 140x124,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구멍가게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군인상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그림자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놀이터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돼지 178x123,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마네킨 140x124,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명부전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문 140x124,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문닫은 가게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바구니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배추 140x124,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보따리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부처와 모텔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붉은 나무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생각하는 사람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소년은 달린다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수확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시장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아궁이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연기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웅덩이 140x124,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주말농장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변방의 가을-추성부 220x110, digital photo _ print 2007"], :gallery=>{:title=>"byunbang, 2007", :description=>"article<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trainee-2005-2006/
수련-벽호공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벽호공.jpg
강홍구
trainee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벽호공.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5%AC%EA%B2%BD%ED%99%94-%EA%B0%95%ED%99%8D%EA%B5%AC.-%EA%B7%B8%EB%A6%B0%EB%B2%A8%ED%8A%B8-%EB%93%9C%EB%9D%BC%EB%A7%88%EC%84%B8%ED%8A%B8-%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B%84%A4%EC%A7%91-%EC%88%98%EB%A0%A8%EC%9E%9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벽호공.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교룡유해-digital-photo-_-print-240x9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금강불괴-digital-photo-_-print-220x9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길위에서-digital-photo-_-print-220x9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능공허보-digital-photo-_-print-260x9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답설무흔-digital-photo-_-print-24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만천화우-digital-photo-_-print-220x9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맹호출동-digital-photo-_-print-24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요기소지-digital-photo-_-print-26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우탁천근-digital-photo-_-print-22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운기조식-digital-photo-_-print-220x9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적엽비상-digital-photo-_-print-24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좌우낙화-digital-photo-_-print-24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태산압정-digital-photo-_-print-26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허수아비-digital-photo-_-print-240x9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수련자-횡소천군-digital-photo-_-print-220x100-2005-2006.jpg"], :captions=>["수련-벽호공", "수련자-교룡유해, digital photo _ print, 240x90, 2005-2006", "수련자-금강불괴, digital photo _ print, 220x90, 2005-2006", "수련자-길위에서, digital photo _ print, 220x90, 2005-2006", "수련자-능공허보, digital photo _ print, 260x90, 2005-2006", "수련자-답설무흔, digital photo _ print, 240x100, 2005-2006", "수련자-만천화우, digital photo _ print, 220x90, 2005-2006", "수련자-맹호출동, digital photo _ print, 240x100, 2005-2006", "수련자-요기소지, digital photo _ print, 260x100, 2005-2006", "수련자-우탁천근, digital photo _ print, 220x100, 2005-2006", "수련자-운기조식, digital photo _ print, 220x90, 2005-2006", "수련자-적엽비상, digital photo _ print, 240x100, 2005-2006", "수련자-좌우낙화, digital photo _ print, 240x100, 2005-2006", "수련자-태산압정, digital photo _ print, 260x100, 2005-2006", "수련자-허수아비, digital photo _ print, 240x90, 2005-2006", "수련자-횡소천군, digital photo _ print, 220x100, 2005-2006"], :gallery=>{:title=>"trainee, 2005-2006 ", :description=>"article<br>\n강홍구 : B급 작가가 찍은 디지털 풍경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5%AC%EA%B2%BD%ED%99%94-%EA%B0%95%ED%99%8D%EA%B5%AC.-%EA%B7%B8%EB%A6%B0%EB%B2%A8%ED%8A%B8-%EB%93%9C%EB%9D%BC%EB%A7%88%EC%84%B8%ED%8A%B8-%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B%84%A4%EC%A7%91-%EC%88%98%EB%A0%A8%EC%9E%90.pdf\">[구경화]</a><br>\n어색하고 난처한 개입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4%A0%ED%95%99-%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C%88%98%EB%A0%A8%EC%9E%90-%EC%82%AC%EB%9D%BC%EC%A7%80%EB%8B%A4-%EA%B7%B8%EC%A7%91.pdf\">[강선학 미술비평가]</a><br>\n수련자는 어떻게 지옥의 문을 통과할 것인가!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9%80%EB%85%B8%EC%95%94-%EC%88%98%EB%A0%A8%EC%9E%90%EB%8A%94-%EC%96%B4%EB%96%BB%EA%B2%8C-%EC%A7%80%EC%98%A5%EC%9D%98-%EB%AC%B8%EC%9D%84-%ED%86%B5%EA%B3%BC%ED%95%A0-%EA%B2%83%EC%9D%B8%EA%B0%80.pdf\">[김노암]</a><br>\n해체되는 신념의 체계들과 수련자의 귀환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9%80%EB%85%B8%EC%95%94-%ED%95%B4%EC%B2%B4%EB%90%98%EB%8A%94-%EC%8B%A0%EB%85%90%EC%9D%98-%EC%B2%B4%EA%B3%84%EB%93%A4%EA%B3%BC-%EC%88%98%EB%A0%A8%EC%9E%90%EC%9D%98-%EA%B7%80%ED%99%98.pdf\">[김노암]</a><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mickey-2005-2006/
미키네집-문, digital photo _ print, 250x100, 2005-2006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문-digital-photo-_-print-250x100-2005-2006.jpg
강홍구
mickey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계단-digital-photo-_-print-260x100-2005-2006.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5%AC%EA%B2%BD%ED%99%94-%EA%B0%95%ED%99%8D%EA%B5%AC.-%EA%B7%B8%EB%A6%B0%EB%B2%A8%ED%8A%B8-%EB%93%9C%EB%9D%BC%EB%A7%88%EC%84%B8%ED%8A%B8-%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B%84%A4%EC%A7%91-%EC%88%98%EB%A0%A8%EC%9E%9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계단-digital-photo-_-print-26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구름-digital-photo-_-print-260x9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돌위-digital-photo-_-print-220x9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마당풀-digital-photo-_-print-24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막대-digital-photo-_-print-24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문-digital-photo-_-print-25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물받이-digital-photo-_-print-260x9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방안-digital-photo-_-print-24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벽돌담-digital-photo-_-print-26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언덕-digital-photo-_-print-22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전신주-digital-photo-_-print-22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철거-digital-photo-_-print-240x100-2005-200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미키네집-철근-digital-photo-print-240x100-2005-2006.jpg"], :captions=>["미키네집-계단, digital photo _ print, 260x100, 2005-2006", "미키네집-구름, digital photo _ print, 260x90, 2005-2006", "미키네집-돌위, digital photo _ print, 220x90, 2005-2006", "미키네집-마당풀, digital photo _ print, 240x100, 2005-2006", "미키네집-막대, digital photo _ print, 240x100, 2005-2006", "미키네집-문, digital photo _ print, 250x100, 2005-2006", "미키네집-물받이, digital photo _ print, 260x90, 2005-2006", "미키네집-방안, digital photo _ print, 240x100, 2005-2006", "미키네집-벽돌담, digital photo _ print, 260x100, 2005-2006", "미키네집-언덕, digital photo _ print, 220x100, 2005-2006", "미키네집-전신주, digital photo _ print, 220x100, 2005-2006", "미키네집-철거, digital photo _ print, 240x100, 2005-2006", "미키네집-철근, digital photo print, 240x100, 2005-2006"], :gallery=>{:title=>"mickey, 2005-2006",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사람들은 이사를 가면 무엇을 버리고 갈까. 그런 통계는 없으니까 빈집들을 돌아다니며 눈으로 대강 살펴보고 어림짐작 해 본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침대와 장롱 같은 가구, 그다음이 가전제품, 다음은 비디오와 어학 테이프, 오래된 그릇들, 그리고 장난감들이다. 플라스틱 자동차가 폐차장처럼 모여 있다. 그 옆에서 장난감 집을 발견한다. 노란 벽체와 분홍색 지붕, 정면에는 미키 마우스가 찍혀있다. 인상적이다. 이 집을 어디에 쓸까 생각하다 옥상에 올라가 물탱크 위에 올려놓고 사진을 찍어본다. 진짜 빈집 위에 가짜 빈집을 올려놓고 찍는 셈이다. 문자 그대로 하나의 기호인 장난감 집을 역시 쓸모없는 기호가 된 집 위에 놓고, 이미지에 불과한 사진을 찍는다. 그러니까 이건 놀이다. 그냥 빈집들이 늘어선 마을을 돌며 찍는 것보다 이게 더 재미있다.<br>\n<br>\n여기저기 집을 들고 다니며 사진을 찍는다. 미키네 집이 마치 주인공인 것처럼, 누군가 이 비슷한 작업을 한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뭔 상관이랴. 아예 미키네 집을 담아 들고 다닐 비닐봉지를 찾다가 쇼핑백을 하나 발견한다. 딱 맞는다. 모든 준비가 끝났다.<br>\n그러나 바람을 예상 못했다. 지붕 위에 올려놓고 찍다가 바람 때문에 연립주택 사층에서 미키네 집이 떨어진다. 다행히 주워 올릴 수 있는 곳인데 집이 부서졌다. 아쉬운 대로 버리고 간 스카치테이프를 주워 집을 수리한다. 겨울에 주운 집을 다시 겨울이 올 때까지 들고 다니며 사진을 찍는다. 지붕 위, 방 안, 나무 위, 길, 계단… 집을 올릴 수 있는 곳이면 어느 곳이든 올려놓고 찍는다. 연립 주택 옥상에 미키네 집을 올리고 흘러가는 구름이 그 위에 멈출 때를 기다려서 찍는다. 언젠가 동화 속에서 본 듯한 풍경이 된다. 아니 본 적이 없다. 단지 본 적이 있다고 생각할 뿐.<br>\n그 사이 포크 레인이 곳곳을 헤집고 다닌다. 한 채씩 집이 사라지고 어느 날 현장사무실과 함바 식당이 들어선다. 현장 사무실 앞에는 새로 들어설 아파트 조감도가 붙는다. 일요일 아파트 입주 예정자들이 찾아와 자기네가 들어가 살 아파트의 위치를 가늠하며 가족 나들이를 한다.<br>\n<br>\n돌아다니는 범위를 넓혀본다. 진관외동이다. 그곳 역시 은평지구 신도시 개발 때문에 헐릴 곳이다. 집집마다 철거할 대상임을, 보상이 끝났음을 알리는 페인트 글씨가 함부로 쓰여 있다. ‘빠른 이사가 최선’. 돌아다니다 만난 주민들의 반응은 심드렁하다. 이들 가운데 입주권을 받더라도 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는 사람들은 과연 얼마나 될까. 십 퍼센트도 안될지 모른다고 지나가는 등산객과, 빈집을 돌아다니며 쓸만한 물건을 모으던 아저씨가 말한다. 그 아저씨는 덧 붙여 자기가 뉴욕에 한 십 년 있었는데 거기서는 어마어마하게 큰 포클레인을 차로 싣고 와 조립해서 쓴다며, 이 따위로 재개발을 해서는 안된다고 투덜댄다. 어쨌든 지금 내가 거기 산다면 입주권을 받아도 소용이 없다. 임대 아파트가 아닌 한. 그러니까 남의 일이 아닌 것이다. 아니 역시 아직 남의 일이다. 그러니까 사진을 찍는 게지.<br>\n역시 사진은 구경의 일종이다. 뭐라고 떠들어도 시각적인 것이 먼저다. 그 구경거리를 찾아서 걷고 걷다 결국 북한산에 오른다. 수리봉 꼭대기에 앉아 서울을 본다.<br>\n<br>\n 서울 근교 그린벨트 지역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란 이십 대의 누군가는 서울은 거대한 공갈빵 같은 도시라고 말한다. 나도 그 말에 공감한다. 나는 서울에서 태어나지도, 자라지도 않았지만 서울은 공갈빵이다. 그 규모가 너무 커서 도무지 짐작이 안 가는 공갈빵. 그러고 보니 짐 캐리가 나왔던 어떤 헐리우드 영화가 생각난다. 거대한 스튜디오 안에서 평생 텔레비전 중계용 삶을 살다가 그것을 깨닫고 바다를 건너 진짜 세계를 찾아가는. 그러나 그 이후도 우리는 짐작할 수가 있다. 아무리 몸부림 쳐봐야 하나의 공갈빵 안에서 다른 공갈빵으로의 이동이 있었을 뿐이리라는 것을.<br>\n 현실은 양파 껍질 같은 여러 겹의 공갈빵으로 되어 있다. 서울도 마찬가지이다. 서울이라는 공갈빵이 지겨워서 서울 밖으로 나가봐야 작은 규모의 서울, 혹은 서울을 꿈꾸거나 서울의 일부를 잘못 옮겨놓은 것 같은 공갈빵을 만날 뿐이다<br>\n 서울은 하나의 도시가 아니다. 그 안에 무수히 많은 도시들이 존재하는 복잡한 다층적 구조, 앞서 말했던 겹 공갈빵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메트로, 혹은 메가로 폴리스와도 다르다. 도심, 부도심, 변두리 따위의 문제도 아닌 것 같다.<br>\n 서울을 지리적 지도가 아니라 인식적 지도, 혹은 심리적, 정치 경제적, 문화적 지도로 따로 그려보면 그것은 더 분명해질 것이다. 경제적 지도에서 그 크기가 확대될 강남은 문화적 지도에서는 어떨까? 강북구나 양천구의 경제적 면적은 얼마나 될까? 어디서, 어떻게 거주하고, 계급적 지위와 경제적 소득 따위에 따라 서울은 전혀 다른 도시가 된다. 누군가는 지리적으로는 서울에 있지만 경제적, 심리적, 문화적으로는 여전히 변방에 있고, 또 누군가는 그 반대가 된다. 적어도 대한민국에 사는 사람들 수만큼의 서울이 있을 수 있다. 물론 서울만 그런 것은 아니지만 서울은 그 모든 것을 대표한다.<br>\n<br> <br>\n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서울의 모든 것들은 이 장소의 표절 (place plagiarism)이다. 물론 이러한 표절은 서울뿐만 아니라 세계의 모든 도시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특히 서울의 경우 그 표절은 과정 자체가 지독하게 왜곡되어 있다. 거의 모든 것이 뒤틀린 서울은 일종의 배타적인 중독된 장소감(poisond placeness)을 낳는다.<br>\n중독된 장소감이란 장소가 가지는 긍정적 역할인 합리적인 균형이 깨질 때 다른 장소와 사람들을 경멸적으로 다루게 되는 것을 뜻 한다. 즉 특정한 장소와 거기에 거주하는 사람들 사이에 우월성을 공유하며, 다른 장소와 거주민에 대한 공포를 부풀리며 결국 배타성을 띠게 된다. 그것이 국가적인 단위로 나타난 경우가 나치 독일이다. 나치 독일은 국가적 경관, 문화에 대한 강박적 사랑으로 인해 자기 나라에 속하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모든 사람과 모든 것을 제거함으로써 자신들의 나라를 정화하려는 시도를 했던 것이다.<br>\n이와는 다르지만 서울 강남은 바로 이러한 중독된 장소감을 갖고 있는 지역의 하나이다. 그 중독성은 강남에서 태어나 강남에서 자란 사람들이 서울의 강북과 여타 지역에 대해 공포감, 혹은 선민의식을 갖는 형태로 나타난다. 그리고 스스로 의식하지 못한 사이에 이른바 폐쇄적인 장소 형성(place cocoons)을 하게 된다. 폐쇄적 장소 형성은 유럽인들이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자신들이 식민지에서 받아들이기 싫은 여러 조건들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소들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일제 시대 서울에 형성되었던 충무로, 남산 일대의 일본인 촌 따위가 그 전형적인 예이다. 강남 역시 갈수록 그 경제, 권력의 독점적 위치를 공고히 하면서 폐쇄적인 장소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br>\n폐쇄적 장소로서의 강남은 서울의 다른 지역과 대한민국 전체를 식민지로 삼는 일종의 내부 식민 지배 지역이 된다. 또한 그곳은 뉴욕이나 파리, 런던의 식민지 노릇을 한다는 양면적 성격을 갖는다.<br>\n그리고 그 폐쇄적 장소, 중독된 장소감이 역으로 강남 사람들에 대한 편견을 낳고 범죄의 대상이 되게 한다. 근래에 있었던 강남 지역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쇄 납치 사건 따위가 그것이다. 이 공격성은 서울, 혹은 대한민국이라는 장소에서 생산된 권력과 경제적인 박탈감과 무력감에서 비롯된다. 아주 과장해서 말하면 강남의 지배를 받는 식민지 원주민의 범죄적 저항 양식인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서울이라는 공간이 합리적인 균형을 이룬 동질적 공간이 아니라 서로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공간들이 집합되어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br>\n<br> <br>\n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장소들의 무차별적 집합인 서울은 시각적으로도 끔찍한 경관을 형성한다. 지금 내가 있는 수리봉 같은 높은 곳에 올라가 보면 서울의 입지, 경관이 대단히 탁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도시를 둘러싼 산과 강을 찢고 갈라놓은 길과 건물들을 마음속에서 지워버린 다음 바라보면 서울은 아름답다. 그러나 그 아름다움은 과거의 것, 혹은 완전한 공상적 아름다움에 지나지 않는다. 때문에 좀 뻥을 치자면 서울은 갈수록 소르킨(Michael Sorkin)이 말하는 시간과 공간이 쇠퇴해버리고 장소성이 없는 도시인 반지리학적 도시(ageographical city)가 되어간다.<br>\n<br>\n 날이 어둑해진다. 평소에 다니지 않는 길로 수리봉을 내려온다. 빈집들이 있는 그 동네로. 아직 이사 가지 않은 집들에 불이 켜진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꿈꾸는 이상적인 집은 어떤 것일까? 붉은 지붕과 노란 벽를 가진 서양식 미키네 집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꿈꾸는 이상적인 가옥의 형태일까.<br>\n 그것이 이상적 가옥이건 아니건 아이들에게 집을 그리라고 시켜보면 아이들은 분명히 아파트에 사는 데도 지붕과 창문과 굴뚝을 가진 집을 그린다. 그러니까 아이들에게 아파트는 집이 아닌 것이다. 르 코르뷔지에 말처럼 일종의 거주 기계일 뿐. 어른들은 어떨까. 아마도 어른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아파트를 선택한다. 그러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꿈꾸는 이상적 가옥은 아파트일까?<br>\n 도무지 알 수가 없다. 아니 알아도 소용없다. 사실 집이 없는 모든 사람들에게는 이상적인 집이 아니라 그냥 자기 집이 필요하고, 한 채 이상의 집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살 집이 아니라 집값이 오르는 것이 보장된 투기가 필요한 것일 테니까.<br>\n<br>\n수련자 혹은 태산압정<br>\n<br>\n미키네 집을 대강 찍고 나서 뭐 또 그럴만한 물건이 없을까 찾는다. 원래는 버리고 간 물건들을 정물처럼 잘 진열해 놓고 한 컷 씩 찍을 생각이었는데 뭔가 탐탁지가 않다. 이곳저곳에서 봉제 인형을 살펴본다. 인형의 종류는 생각보다 다양하지 않다. 동물, 사람이 거의 전부다. 가끔 곤충이 있기는 하지만 그것도 동물의 일종일 뿐이다. 대신에 캐릭터는 다양하다. 푸우 나 스누피 같이 잘 알려진 것에서부터 난생처음 보는 얼굴에 이르기까지. 어떤 집에서는 거의 중고 봉제 인형 장사를 해도 될 만큼 많은데 모조리 버리고 갔다. 아이가 갖고 놀 필요 없을 만큼 컸거나 인형의 생명력이 짧다는 얘기일 것이다.<br>\n인형들 중 특이한 인형을 발견한다. 눈에 잔뜩 힘을 주고 웃통을 벗어 제친 게 격투기 선수 모습이다. 정체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게임 캐릭터일 것 같다. 미키네 집과 마찬 가지 방법으로 그 인형을 여기저기 놓고 사진을 찍는다. 땅 속에 몸을 묻고, 전신주에 달라붙고, 지붕 위에 올라가고, 전선에 매달린다. 배경으로는 철거될 집들이 들어간다. 일종의 꼼수를 쓰는 것이다.<br>\n<br> <br>\n 사진을 웬만큼 만들고 나자 정체가 궁금해진다. 도대체 어떤 캐릭터일까. 격투기 게임 캐릭터인 건 알겠는데 심 시티 이래 게임과는 담을 쌓고 사는 처지라 인터넷을 뒤진다. 얼마 뒤지지 않아 금방 밝혀진다. 카주야 미시마, kazuya mishima, 남코라는 일본 게임회사가 95년에 발매한 테이켄(鐵拳)이라는 게임의 등장인물이다. 95년 산이니 나이가 꽤 든 캐릭터이다.<br>\n 게임도 진화해서 다섯 번째 버전이 출시되었고, 외양과 내용도 달라졌다. 물론 이 게임을 해본 적은 없다. 카주야의 주특기는 일본 공수도니 내가 작품 제목으로 붙인 중국 무협 소설에 등장하는 초식들과는 별 관계가 없다. 그러나 뭐 어떠랴. 어차피 가짜인 것을.<br>\n 작품 하나하나에 이름을 붙여주기 위해 다시 인터넷을 뒤져 중국 무협의 초식 이름을 찾는다. 몇몇은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 태산압정(泰山壓丁), 횡소천군(橫掃千軍), 장홍관일(長虹貫日), 만천화우(滿天花雨)…. 등등의 초식 이름과 기타 등등. 오래전 무협 소실을 열심히 읽던 시절의 기억이다. 거의 넉자의 한자로 이루어진 이름들은 시적이고 과장되어 있다. 태산압정은 간단히 위에서 아래로 상대의 머리를 내려치는 초식이고, 횡소천군은 가로 휘두르는 초식이고, 만천화우는 암기를 잔뜩 뿌리는 것인데 한자로 써놓으면 뭔가 그럴듯해 보인다.<br>\n<br>\n 인터넷 무협 전문 사이트에는 무협 소설에 등장하는 구방일파와 세가, 기이한 종교들에 대한 해설과 온갖 무공들이 잘 분류되어 있다. 마치 모든 것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br>\n 무협 소설을 처음 읽었던 것이 언제였던가. 아마도 중학교 이 학년 시절 친구에게서 빌어본 것이 처음이었던 것 같다. 와룡생이 쓴 ‘비룡’이라는 제목의 소설이었다. 원제는 기억나지 않지만 등장인물들의 이름 몇이 떠오른다. 주약란이란 이름의 비운의 명나라 공주, 남자 주인공은 곤륜파의 양씨성이었는데 이름은 기억나지 않는다. 대신에 악역을 맡은 도옥이란 이름은 금환이랑이라는 별호까지 생각난다. 아 다시 기억났다. 남자 주인공은 양몽환이었다. 맞나? 아무래도 좋다. 지금 다시 읽으라면 도저히 다시 읽을 수 없을 것 같지만 흠씬 빠져서 읽었었다. 그 뒤로 학교 도서관에 있는 무협소설을 읽기 시작해서 대여점들을 훑고 새 소설이 나오기를 기다리고 기다렸다. 소설 제목들이 뭐였더라. 비호, 금검지… 이런 전혀 생각이 안 난다.<br>\n 다시 무협지를 본건 거의 삼십 년이 지나 김용의 소설이 제대로 번역되어 나온 뒤였다. 그것도 꼭 읽고 싶어서가 아니라 처음 책을 쓸 때 진도가 너무 안 나가서 뭔가 도망갈 곳이 필요해서였다. 김용의 소설이 그중 나았다. 내친김에 추리적인 요소가 가미된 고룡도 읽었다. 그 뒤로 쏟아져 나온 국내 작가 몇을 읽었는데 좌백 정도가 기억난다.<br>\n<br>\n 무협지는 판타지다. 그 판타지는 당연히 비현실적이고 과장되어 있다. 서양의 마술과 마법이 판타지이듯이 무협 역시 같은 역할을 한다. 그 무협지 속에 등장하는 무술초식, 내공 수련 방법의 일부는 실재한다. 앞서 말한 몇몇 초식의 경우가 그렇다. 그러나 대부분의 초식, 무협 계보, 구방일파, 세가 등등은 가짜다. 그 가짜들이 모여 하나의 세계를 이룬다. 그 세계는 인터넷 무협 사이트이기도 하고 게임의 세계이기도 하다. 그 게임의 세계의 일부가 인형으로 현실화된 것이 바로 수련자에 등장하는 가즈야이다. 그러므로 가즈야는 현실의 일부가 되었다. 사실일까? 생각해보면 가즈야라는 인형은 등장 배경을 아는 사람들에게만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부분적으로 현실이 된다.<br>\n 물론 초기 무협의 세계는 중화적 세계관, 변방 민족들에 대한 경멸과 경계, 권선징악적 이데올로기, 불교와 도교이외의 종교에 대한 편견 등등이 이념적 배경을 이룬다. 주인공들은 빼어난 용모와 탁월한 능력을 가졌고 예외 없이 남성중심주의와 가부장적 세계관을 열심히 실천한다. 그러니까 무협지는 중화적 남성 판타지인데 뭐 그만하자. 내가 지금 무협지에 대한 비평을 쓰려는 것은 아니니까.<br>\n<br>\n 어쨌든 수련자의 가즈야는 가짜고 가짜니까 현실에 등장시켰다. 그는 담에 꽂힌 유리병에 몸을 비비며 금강불괴가 되고, 전깃줄을 타고 능공허보를 실천하고, 벽에 달라붙어 벽호공을 시전 한다. 이 연출이 무너지고 새로 지어지는 서울 외곽의 집들과 원주민들에 관해 뭔가 말하고 있을까.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이는 비난받을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나는 뭔가 비틀고 싶었다. 이 비틀림도 어쩌면 도망의 일종일 것이다. 능공허보(凌空虛步)나 초상비(草上飛) 수법으로 도망가며 현실 세계에 대한 적엽비상(摘葉飛傷)- 잎사귀 따 뿌려 상대방에게 상처를 입히는 고등 무술- 수법을 실현하고 싶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물론 이 따위 사진에 상처 받는 사람은 없겠지만.<br>\n<br>\n 수련자에 등장하는 가즈야 인형이나, 미키네 집의 장난감 집은 영화 용어를 빌자면 일종의 멕거핀이다. 멕거핀이란 잘 알다시피 스릴러 장르 영화에서 별로 중요하지 않은 소도구들을 마치 중요한 것처럼 자주 보여줘 관객을 속이는 장치이다. 물론 이 장치는 소도구가 아니라 인물일 수도 있고 사건일 수도 있다.<br>\n 그런 장치로서 가즈야는 효과를 발휘했을까? 물론 사진은 영화가 아니다. 서술적인 능력이 없다. 그래서 한 장면에 서술적인 요소와 시각적 은유, 멕거핀 장치 그 너머의 무엇을 보여주어야 한다. 사진이 어려운 것은 바로 그 지점이다. 시각적인 장면 하나로 모든 것을 압축해야 하는 것이다. 게다가 그 압축은 반드시 사진 찍는 사람의 뜻대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거기에는 너무나 많은 우연들, 통제할 수 없는 요소들이 있다. 가즈야는 그 장애물들을 뚫고 얼마나 갔을까? 내가 가즈야를 들고 돌아다녔던 곳은 사람이 살았던 집과 그 흔적들이었다. 그리고 그 흔적들은 시각적으로 힘이 세다. 그 힘과 멕거핀으로서의 가즈야 사이의 긴장 사이를 태산압정 한 수로 내려쳤을지 의문이다. 가즈야가 그렇듯이 나도 여전히 수련 중<br>\n<br>\narticle<br>\n강홍구 : B급 작가가 찍은 디지털 풍경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5%AC%EA%B2%BD%ED%99%94-%EA%B0%95%ED%99%8D%EA%B5%AC.-%EA%B7%B8%EB%A6%B0%EB%B2%A8%ED%8A%B8-%EB%93%9C%EB%9D%BC%EB%A7%88%EC%84%B8%ED%8A%B8-%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B%84%A4%EC%A7%91-%EC%88%98%EB%A0%A8%EC%9E%90.pdf\">[구경화]</a><br>\n어색하고 난처한 개입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4%A0%ED%95%99-%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C%88%98%EB%A0%A8%EC%9E%90-%EC%82%AC%EB%9D%BC%EC%A7%80%EB%8B%A4-%EA%B7%B8%EC%A7%91.pdf\">[강선학 미술비평가]</a><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ohshoiri-2004/
오쇠리 풍경 1, digital photo _ print, 255x100, 2003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1-digital-photo-_-print-255x100-2003.jpg
강홍구
ohshoiri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1-digital-photo-_-print-255x100-2003.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5%AC%EA%B2%BD%ED%99%94-%EA%B0%95%ED%99%8D%EA%B5%AC.-%EA%B7%B8%EB%A6%B0%EB%B2%A8%ED%8A%B8-%EB%93%9C%EB%9D%BC%EB%A7%88%EC%84%B8%ED%8A%B8-%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B%84%A4%EC%A7%91-%EC%88%98%EB%A0%A8%EC%9E%9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1-digital-photo-_-print-255x100-200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2-digital-photo-_-print-255x100-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3-digital-photo-_-print-310x100-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4-digital-photo-_-print-297x100-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5-digital-photo-_-print-255x100-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6-digital-photo-_-print-261x100-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7-digital-photo-_-print-300x100-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8-digital-photo-_-print-300x100-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9-digital-photo-_-print-295x100-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10-digital-photo-_-print-24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11-digital-photo-_-print-280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12-digital-photo-_-print-24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13-digital-photo-_-print-24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오쇠리-풍경-14-digital-photo-_-print-280x90.jpg"], :captions=>["오쇠리 풍경 1, digital photo _ print, 255x100, 2003", "오쇠리 풍경 2, digital photo _ print, 255x100, 2004", "오쇠리 풍경 3, digital photo _ print, 310x100, 2004", "오쇠리 풍경 4, digital photo _ print, 297x100, 2004", "오쇠리 풍경 5, digital photo _ print, 255x100, 2004", "오쇠리 풍경 6, digital photo _ print, 261x100, 2004", "오쇠리 풍경 7, digital photo _ print, 300x100, 2004", "오쇠리 풍경 8, digital photo _ print, 300x100, 2004", "오쇠리 풍경 9, digital photo _ print, 295x100, 2004", "오쇠리 풍경 10, digital photo _ print, 240x100", "오쇠리 풍경 11, digital photo _ print, 280x90", "오쇠리 풍경 12, digital photo _ print, 240x100", "오쇠리 풍경 13, digital photo _ print, 240x100", "오쇠리 풍경 14, digital photo _ print, 280x90"], :gallery=>{:title=>"ohshoiri, 2004",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유토피아의 변방 -오쇠리, 소멸된 마을에서<br>\n<br>\n들어가는 길<br>\n<br>\n오쇠리,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1동에 있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마을로 가는 길은 셋이 있다. 한 곳은 김포공항 옆을 거치고, 다른 한 길은 화곡동에서 부천시로 진입해서 샛말을 지나는 길이며, 남은 한 길은 부천시에 오는 길이다. 어느 길로 접근하건 오쇠리는 그 기이한 경관 때문에 금방 눈길이 간다.<br>\n오쇠리는 김포 공항 바로 옆, 담장 하나를 사이에 두고 붙어 있기 때문에 항공기 소음이 대단한 곳이다. 1942년 일제하에서 군용 비행장으로 김포 공항이 생긴 이래 수 십 년 동안 끔찍한 소음 아래서 마을 사람들은 주로 농사를 지으며 살아왔다. 소음에 대한 항의와 문제 제기가 1978년부터 있었고, 그 결과 1987년 4월 10일 오쇠리는 항공기 소음피해 1종 지역으로 결정되었다. 그 뒤 서울지방항공청과 부천시가 협약하여 주민들의 이주와 보상 문제가 해결되었다.<br>\n그러나 오쇠리에 사는 사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다. 집을 가진 사람들은 대개 원만한 협의가 되어 이주가 거의 이루어졌으나 사정이 어려운 세입자들은 아직 거기 살고 있다. 물론 거주자의 수는 점점 줄어들어 동네에는 사람들이 눈에 잘 띄지 않을 정도이다.<br>\n오쇠리는 조선 영조 때에는 부평도호부에 속해 있었고, 1895년 부평군으로 인천부의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부천군이 신설되면서 오정면의 오쇠리가 되었다. 1963년 부천군 오정면 오쇠리의 일부는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어 강서구에 속하는 오쇠동이 되었다. 그러니까 상당히 오랜 역사를 가진 마을이 옆에 공항이 생김으로 해서 고통스러운 과정을 거쳐 해체되고 있는 것이다.<br>\n사진 속의 오쇠리는 부천시 방향에서 바라본 풍경이다. 비행기의 고도를 보면 항공기 소음이 어떤지 금방 짐작이 갈 것이다. 길을 중심으로 무너져가는 집들이 보인다. 그 옆 공터도 집이 있던 자리이다. 집이 비면 한 채씩 철거되어 공터가 되는 것이다. 공터 뒤편의 나무가 서있는 곳도 집이 있던 곳이다. 집이 사라진 자리는 무성한 잡초들과 서울지방항공청에서 세운 무단경작 금지 팻말이 서 있다. 이 모든 풍경들은 하나의 자연 부락 혹은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던 마을이 어떻게 소멸되어가는지 그리고 그 과정은 어떤 것인지를 씁쓸하게 보여준다.<br>\n<br>\n 내가 처음 오쇠리를 찾아간 것은 99년이었다. 특별한 관심이 있어서가 아니라 근처에서 살고 있다는 우연 때문이었다. 당시에 내가 살던 고강본동도 항공기 소음이 만만치 않아서 익숙해지는데 한참 걸렸지만 오쇠리는 너무 소음이 심해 익숙해질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 지금은 인천공항으로 국제선이 옮겨가는 바람에 줄었지만 그 전에는 거의 일분에 석 대 꼴로 착륙하는 비행기 소리가 들렸다. 동네 전체는 순간적인 폭발력은 낮지만 지속적으로 터지는 무슨 특별한 폭탄을 맞은 것처럼 폐허가 되어가고 있었다. 무너진 집 앞에 쌓인 쓰레기, 문 닫은 가게. 덜렁거리며 뒤집힌 도로 표지판과 낡은 간판, 이곳저곳에 버려진 폐차, 떼로 모여 있는 중장비 등이 기이한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멀쩡한 것은 집이 허물어진 자리에 서 있는 나무들 뿐이었다.<br>\n그 놀라운 인상 때문에 가지고 있던 카메라 셔터를 눌렀지만 동네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전혀 몰랐고 관심도 없었다. 다만 한 가지, 그 처럼 한 마을이 폐허가 되는 것이 우리의 삶 전체에 대한 일종의 상징 같다는 생각은 들었다.<br>\n댐의 건설로 사라져 간 수많은 수몰지구 마을, 신도시 개발에 따른 철거, 그린벨트의 해제와 아파트 단지의 난 개발, 대도시 산동네 철거와 재건축이 이루는 거대한 살풍경의 대표가 아닐까 싶었던 것이다.<br>\n 그 뒤에도 여러 차례 오쇠리엘 들렀다. 어떻게 변했나 궁금했기 때문이었다. 한 번은 동네를 돌며 카메라 셔터를 누르고 있는데 주민 한 사람이 어디에서 왔느냐고 약간 공격적인 말투로 물었다. 작가라고 대답하자 고개를 끄덕이며 그렇게 물은 이유를 얘기했다. 그 해 일 년 동안 마을에 거의 40차례 정도의 크고 작은 불이 났고 2003년 3 월에는 열 살도 안된 어린 4 남매가 불에 타 죽었다고 했다. 신문에서 읽은 적이 있는 사건이었지만 그 장소가 오쇠리라는 것은 몰랐었다. 그리고 그 불은 낯선 사람이 사진을 찍어간 다음에 일어났다고 했다. 그래서 사진을 왜 찍느냐고 물었다는 것이었다. 섬뜩했다. 그런 사정을 전혀 모른 채 불에 탄 집 사진을 이미 찍었기 때문이었다. 동네에 유일하게 남은 구멍가게 할머니도 그 얘기를 계속 되풀이했다. 그 불뿐만 아니라 다른 불들도 분명히 누군가 지른 것이라고.<br>\n지금도 오쇠리를 집이 한 채 허물어지면 공터가 되고 그 공터에는 쓰레기가 버려지거나 중장비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 그러는 동안에도 밭에는 파가 자라고 미나리 꽝엔 미나리가 푸르다. 주거 공간은 사라져 가는데도 농토는 여전히 제기능을 다하고 있는 아이러니 속에 산업화 혹은 현대화의 결과로 소멸되어 가는 마을을 대표하고 있는 것이다.<br>\n<br>\n물론 이런 마을, 혹은 자연부락 공동체의 해체는 오쇠리만의 것이 아니다. 오쇠리나 수몰지구의 마을들처럼 개발, 건설이라는 이름의 현대화의 거센 물결에 직접 맞닥뜨리지 않더라도 우리나라의 수많은 농어촌, 시골 마을 들은 해체와 소멸, 좋게 말해서 재형성의 과정에 있다. 그 과정들은 대개 도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골 마을들은 대개 일방적 피해자다. 그 피해는 마을이라는 공간적 단위의 해체에서 공동체의 소멸, 궁극적으로는 농업을 기반으로 한 생산 단위의 궤멸에 이른다. 게다가 그러한 마을을 이루고 지탱해온 정신적 기반이 되는 유토피아적 이념 혹은 이상의 완전한 소멸은 회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br>\n100년 이상 지속되어온 우리나라의 끔찍한 현대화 과정에서 자연부락 단위의 마을들은 천천히 해체되었지만 그에 대한 어떠한 대안도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농어촌 자연부락의 해체는 현대화의 흐름 속에 구축된 천민적 자본주의 시스템의 생존을 위한 필연적 선택이며 도저히 거스를 수 없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농어촌 마을들은 대개는 철저하게 소외되어 있다. 과거의 새마을 운동이니, 취락 구조 개선 사업 따위를 비롯한 농어촌을 살리기 위한 여러 정책들에도 불구하고 해체 또는 소멸의 도정에 있지 않은 마을은 거의 없다. 그 과정에서 시골 마을 들은 도시의 내부 식민지 기능을 수행하거나 기껏해야 투기의 대상, 아니면 터무니없는 낭만적 신화로 덧씌워진 추억의 장소로 기능할 뿐이다.<br>\n<br>\n 파밭 근처에서<br>\n<br>\n 오쇠리에서 눈에 띄는 것 중 하나는 폐허가 된 마을과 더불어 작물이 왕성하게 자라고 있는 논, 밭이다. 대파, 미나리, 상추, 배추 따위가 자라는 밭만 본다면 오쇠리는 여느 농촌과 다름이 없다. 그러나 그 농지들은 언젠가 공원 녹지 혹은 골프연습장으로 바뀔 것이다.<br>\n 인간이 발을 딛고 사는 땅은 그 자체로는 그냥 땅에 지나지 않는다. 그 땅을 농지, 대지, 주거지 따위로 분류하고 용도를 구별하는 것은 인간의 터무니없는 횡포이다. 이 횡포는 생산 불가능한 자연인 땅의 가격을 매기고, 소유물로 취급하며 더 많이 차지하기 위해 전쟁도 불사한다.<br>\n 르페브르를 빌어 말하자면 이윤을 추구하려는 목적 때문에 땅은 구분, 구획 지어져 철저한 파편화가 이루어진다. 땅을 둘러싼 복잡한 제도와 규정, 법률이 쓰레기 더미처럼 땅을 뒤덮고 있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br>\n 농지는 이러한 땅 가운데 도시의 상업지나 주거지와는 달리 자체의 생산성 때문에 가치를 가지는 경우에 속한다. 물론 농지의 가격은 땅의 생산성이 아니라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자본주의 지가의 속성 때문에 상대적으로 싸다. 그러나 가격이 싸다는 것, 위치 자본을 갖지 못한다는 것이 농지의 중요성을 낮춰 보는 근거가 되지 못한다.<br>\n농지는 근본적으로 곡물, 채소 등의 농작물의 생산을 위한 공간이다. 이 공간이 공원이나 골프장으로 바뀐다는 것은 땅이 가진 본원적인 생산 능력을 포기한다는 뜻이다. 즉 농작물을 생산하는 공간을 여유, 놀이의 공간으로의 전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환은 오쇠리의 경우에는 항공기 소음 때문에 주거 공간 따위로 전환할 수 없다는 점에서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기는 하다. 그러나 이는 달리 보면 오쇠리는 공간이 공항과 항공기 소음에 의해 생산성을 박탈당했음을 뜻하며, 곧 자본주의 이윤추구 경쟁에서 탈락했음을 말한다. 따라서 오쇠리의 녹지화, 공원화 계획이란 결국 녹지화를 통한 공공적 이익을 얻으려는 목적에서가 아니라 농지나 택지로서 더 이상 이용 가치가 없음을 선언하는 것 외에 아무것도 아니다.<br>\n아마도 농지의 생산성을 박탈하고, 나아가 다른 용도로의 전환을 통해 더 많은 이윤을 추구하는 행위는 그린벨트 지역에서 가장 심각할 것이다. 서울과 그 위성 도시를 둘러싼 그린벨트의 문제들 가운데 오염물 처리 시설을 갖추지 않은 무허가 공장, 하수도 시설이 없는 음식점들, 축사 등의 환경오염 시설이 들어서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 있다. 농지의 경우에도 외형만 비닐하우스이고 내부는 공장으로 쓰이는 곳이 흔하다. 게다가 농지를 구입한 후 그 자리에 폐기물을 묻거나, 토사를 쏟아부어 형질 변경을 꾀하는 경우도 무수히 많다.<br>\n그런 경우 그린벨트는 실질적으로 무의미한 공간이 된다. 더 많은 이익을 얻으려는 욕망을 강제로 막는 장소로서 그린벨트는 기형적인 모습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는 결국 그린벨트 존속의 문제 혹은 그린벨트를 누구를 위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으로 나타난다. 사실 그린벨트는 그린벨트 내에 사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 그린벨트는 원래 부족한 도시의 녹지 공간을 확보하고, 도시의 무차별적 성장과 연담화를 막고, 우리나라의 특수한 안보적 상황 때문에 등장한 것이다. 그러니까 철저하게 도시민, 도시를 위한 공간인 것이다. 이는 곧 농촌 혹은 그린벨트 지역이 도시를 위한 식민지 역할을 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러니까 결국 그린벨트와 농촌은 도시민의 여가의 장소, 식량 공급지 등의 배후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오쇠리의 공원으로의 전환 또한 같은 줄기에서 바라볼 수밖에 없다.<br>\n사진 속의 오쇠리 파밭은 수확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파를 옮겨 심는 중이다. 파밭의 뒤 쪽에는 폐허가 돼가는 마을이 있다. 이 아이러니칼 한 경관은 땅, 혹은 대지의 생명력, 농민의 끈질김 따위의 문학적 수사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른바 비자본주의적 공간과 활동들이 파괴되어 이미 주 변화된 땅에 내려진 사망 선고에 저항하는 일종의 상징이 된다.<br>\n세입자들의 완전한 이주가 끝나고 농지들이 사라지면 르페브르가 말하는 식의 역사적, 구체적 공간으로서의 오쇠리는 완전히 소멸된다. 그 소멸 위에 인위적인 녹지가 만들어지고 나면 오쇠리가 존재했다는 증거는 완벽히 사라지고 남는 것은 희미한 기억과 같은 기록뿐일 것이다.<br>\n<br>\n 마을 회관에서<br>\n<br>\n오쇠리 전체의 모습을 조망할 수 있는 곳의 하나는 마을 회관이다. 오쇠리 마을 회관은 약간 높은 언덕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오쇠리의 농가 혹은 상가 주택과는 달리 붉은 벽돌로 지어진 이층 건물인 마을 회관 일부는 무너졌고, 이층에는 사람이 살고 있다. 정면에서 바라보면 튀어나와 있는 현관, 건물 엎 이층으로 가는 계단 때문에 마을에 있는 다른 건축물들과는 겉보기에도 명백히 다르며 그 위치 또한 그렇다. 높은 곳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건물 이층에 올라가면 마을 전체와 김포 공항까지 내려다볼 수 있다. 이른바 공간 구문론 Space Syntax 적 해석에 따르자면 위상도가 높아 마을의 다른 곳을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자리를 차지한다.<br>\n공간 구문론에서 말하는 위상도 intergration는 복잡한 방식으로 계산되지만 대강 살펴보면 위상도의 높이는 하나의 단위 공간에서 전체 공간 조직에 포함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는데 얼마만 한 공간을 거쳐야 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공간을 거치는 단계가 적을수록 그 공간이 다른 공간에 비해 위상학적 중심에 있다고 여겨진다.<br>\n오쇠리에서 위상도가 높은 또 다른 지역은 지금은 세입자 대책 위원회 본부로 쓰이고 있는 농협 건물과 삼거리 지역이다. 식당, 이발소, 잡화점, 전자 제품 가게들이 모여 있는 그곳은 서울, 부천으로 통하는 교차로이기도 하다. 이 두 개의 위상 중심핵 지역 가운데 마을 회관의 위상은 독특하다. 마을 회관은 마을 나름의 상업, 금융 중심의 오쇠 삼거리와는 달리 공동체의 상징이자 집합 장소이기 때문이다.<br>\n<br>\n 공동체로서의 자연 부락은 일종의 유토피아의 일상적 실천이다. 물론 그 유토피아는 어디에도 없는 곳이라는 본래의 의미와 일치하는 곳은 아니다. 유토피아, 곧 이상향이란 현실에 없으며 있을 수도 없다. 그러나 전통적 농경 사회에서 하나의 마을은 독립된 이상적 공동체이며 현실적인 유토피아라고 보아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마을 안에서 나고, 자라고, 살아가며 일생을 보내는 사람들에게 마을은 명백히 다른 곳으로 대체할 수 없는 유일무이한 공간이다. 오쇠리의 해체는 바로 이러한 공간의 해체이며 다른 것으로 대신할 수 없다. 비록 오쇠리 사람들의 이주가 가까운 부천시 오정구 작동에 이루어졌지만 그곳은 오쇠리와 같은 자연 부락이 아니라 계획된 도시의 일부이다. 때문에 오쇠리가 본래 가졌던 마을로서의 성격은 거의 없다.<br>\n무엇보다 이주 단지가 잃어버린 것은 특별한 장소성 Sence of place이다. 장소성이란 지리학에서 다른 곳과 구별되는 단위 장소의 고유한 특성을 의미한다. 마이클 이그나티에프에 따르자면 20세기 초까지 대다수 인간의 삶은 그들이 하루 동안에 걷거나 타고 갈 수 있는 거리에 속박되었다. 사투리와 지역 정체성은 지역의 산물과 전통을 활용하여 독특한 스타일 낳음으로써, 더욱 뚜렷해지고 강화되었다. 사회적인 가치, 기술과 환경 간의 조화가 다른 요인들 보다 우세하였고, 근본, 장소의 정신, 어떤 곳에 귀속하고자 하는 언어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장소감, 장소성은 인간의 삶에 있어 강력하고 긍정적인 힘이었다고 볼 수 있다.<br>\n그러니까 근대화 이전의 세계의 모든 공간들은 나름의 특별한 장소성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국제 주의적 양식, 모던 건축과 도시 설계가 득세한 이래로 이러한 장소성은 약화되고 사라져 버렸다. 예를 들면 서울의 경우 장소성이 사라진 자리에는 이른바 무장소성 Placelessness이 그것을 대신한다. 대도시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건물, 상점, 가로 풍경 등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단히 유사한 경관을 가지고 있다. 이 유사한 경관들은 사실 다른 도시의 장소성을 훔쳐온 장소적 도용이라는 혐의가 짙다. 그러한 장소성의 사라진 자리를 무장소성과 지리적 인용, 장소의 표절이 대신한다.<br>\n오쇠리가 가지는 독특한 장소감은 공항과 소음에 의해 천천히 파괴되고 끝내는 궤멸되었다. 아마도 새로운 단지로 이주를 한 사람들 사이의 유대감과 공동체는 와해되었을 것이며 버려진 마을 회관은 그 상징이다. 공동체적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없는 오쇠리 사람들은 사이버 공간에 친목 모임을 만든다. 물론 이러한 친목 모임은 오쇠리 출신만의 특별한 것은 아니지만 대안 없는 선택의 결과이다. 이른바 장소에 대한 사랑 혹은 애착인 장소애 Topophilia가 사라진 자리를 대신하는 사이버 교류의 장인 것이다. 물론 그러한 사이버 장소는 지리학적 장소감을 대신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 보인다.<br>\n<br>\n잡초와 쓰레기 사이에서<br>\n<br> <br>\n오쇠리의 집들은 말 그대로 폐허다. 겉보기에 사람이 살지 않을 것 같은 그곳에 사람들이 산다. 아직 갈 곳이 없는 세입자들이다. 오쇠리 지역 전체의 집주인들과 세입자들의 수는 1999년 부천시 의회 회의록에 따르면 천 세대가 넘는다. 98년 286 세대의 집주인들에게는 오쇠리에서 그리 멀지 않은 오정구 작동 부지에 이주 단지가 만들어져 원만히 분양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한 집주인들을 제외한 세입자 780세대 중 상당수는 영구 임대 아파트에 입주했고, 여전히 남아 있는 세대는 약 120여 세대이다. 99년의 회의록은 2002년 무렵이면 세입자 대책이 해결될 것 같다는 전망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br>\n2004년 5월 세입자 대책 위원회 건물에 붙은 공고문에는 27일 열리는 임시총회를 알리고 있었다. 안건 사항으로 오쇠리의 문제점과 대안, 부천 시청과 주택공사, 항공청, 대책위의 4자 면담을 통해 앞으로의 진로를 결정하겠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그러니까 오쇠리의 세입자 대책 문제는 아직 진행 중인 것이다.<br>\n오쇠리에 남은 세입자들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변방에 있는 사람들이다. 대책위원회 위원장의 표현대로 진짜 3-400만 원이 전 재산이어서 어디 가도 월세도 얻을 수 없는 사람들만 모여 있다. 때문에 오쇠리의 폐허가 된 집들은 변방의 주거지이여 그 열악한 조건들은 마을을 한 바퀴 돌아보면 금방 알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오쇠리는 사람이 사는 마을이 아니라 지나치게 사실적인 영화 세트나 과거에서 현재로 갑자기 공간 이동이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br>\n<br>\n오쇠리에는 쓰레기가 많다. 그 자체로 쓰레기가 되어 버린 집을 제외하면, 대다수의 쓰레기들은 그곳에 사는 주민들이 버린 것이 아니다. 버려진 폐차, 냉장고, 액자 같은 덩치 큰 폐기물부터 청량음료 깡통까지 쓰레기들이 산을 이루고 있을 때도 있다. 폐차의 경우 번호판을 떼낸 차를 버리면 누군가 엔진과 부속품을 가져가고, 다음엔 차체가 사라져 버린다. 그러니까 오쇠리는 도시에서 생산된 쓰레기들의 하치장이자 중간 경유지이기도 하다.<br>\n사진에 보이는 집과 그 앞의 쓰레기들도 마찬가지 경로를 거친 것들이다. 작년만 해도 쓰레기가 있던 자리는 멀쩡한 마당이었고 그 옆에 집 두어 채가 더 있었다. 일 년이 지나기 전에 집들은 사라지고 쓰레기 더미가 쌓여 있다. 이 쓰레기들은 재활용 쓰레기를 팔기 위해 일부러 모아 놓은 것일 가능성이 높지만 이곳 말고도 오쇠리 도처에 쓰레기들은 많다.<br>\n도시에서 생산된 쓰레기들은 도시에서 처리되지 않는다. 도시의 인구 밀집 지역에서 만들어진 쓰레기들은 우리가 알다시피 도시 밖에 묻히거나 소각된다. 지금은 공원이 된 난지도도 쓰레기를 묻기 시작할 때는 도심의 외곽이었고, 현재의 김포 쓰레기 매립장도 마찬 가지다. 그러니까 도시 밖의 농촌, 혹은 시골은 이중으로 착취당하고 있다. 한 편으로는 도시에 경제, 정치적인 착취를 당하면서, 한편으로는 그린벨트 지역에 몰래 내다 버리는 쓰레기나 오쇠리 같은 마을의 쓰레기, 더 나아가 매립장의 쓰레기처럼 도시에서 생산되거나 도시인들을 위한 쓰레기의 처리장인 것이다.<br>\n달리 말하면 도시 외곽의 농촌은 국가 내의 제 삼 세계이다. 서방 선진국 둘이 자국 내에서 처리 곤란한 쓰레기들을 몇 푼의 경제 보상과 함께 제 삼 세계로 유출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우리나라의 핵 폐기물 매립을 둘러싼 오랜 논쟁, 투쟁도 마찬 가지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핵을 이용해서 생산된 전력의 가장 큰 수혜자들은 도시민들이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생산된 핵 폐기물을 매립하거나 수용하려는 도시는 어디에도 없다. 서울 서초구의 경우에서 보듯이 반드시 필요한 화장장을 짓자는 데도 자신들의 사소한 경제적 이익 때문에 배타적이고 투쟁적인 도시민들이 그런 발상을 허용할리가 없다.<br>\n 인구가 희박하고, 지반이 안정되어 있으며, 경제적 보상에 동의하는 지역을 찾기 어려운 이유 중의 하나는 핵 폐기물이 가진 위험성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보다 본질적인 이유는 아마도 그 과정과 목적 등이 착취적 구조의 일부라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일 것이며 단순한 님비 현상으로 볼 수 없다. 그리고 핵 폐기물 매립 후보지로 자주 외딴섬이 거론되는 이유는 섬이야 말로 진정한 변방이기 때문일 것이다.<br>\n오쇠리는 자본주의 시스템, 현대화의 흐름 속에서 용도 폐기된 땅이자 마을이다. 그 용도 폐기는 오쇠리 자체가 쓰레기 취급을 받고 있다는 증거이며 거기에 건설된다는 녹지는 난지도가 그러하듯이 쓰레기를 덮어 버리는 녹색 포장술의 일종일 것이다.<br>\n<br>\n마을을 나오며<br>\n<br>\n 착잡한 기분으로 오쇠리를 한 바퀴 돌아보고 서울 쪽으로 나오면 김포 공항 앞에 야간 착륙을 위한 항공기 유도등이 줄지어 서있다. 착륙하는 항공기들이 광명, 안양천, 화곡동을 거쳐 공항에 내리는 노선을 그리며 주위를 둘러보면 사방이 평야 지대여서 논 밭과 나지막한 구릉만이 눈에 뜨인다. 김포공항이 왜 여기에 들어서게 되었는지를 단박에 알겠다.<br>\n 김포 공항은 42년 일제 치하에 군용 비행장으로 개설 된 뒤, 57년 까지 군용 비행장으로 사용되다 58년 국제공항이 되었다. 71년 여의도 공항이 폐쇄되면서 국내선 항공기도 김포를 이용하게 된다. 국제공항이 된 이후 거의 50년이 지났고, 오쇠리는 그동안 고사의 길을 걸어온 것이다.<br>\n 언젠가 일본의 나리타 공항을 건설하면서 토지를 수용당한 농민들이 벌이는 투쟁을 담은 흑백 다큐멘터리를 본적이 있다. 결국 농민들의 거센 투쟁에도 불구하고 나리타 공항은 건설 되었지만 김포 공항은 건설, 확장을 거치는 동안 주변의 마을과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다큐멘터리 따위도 남아 있지 않다. 신도시, 공항, 고속도로, 고속철 따위의 범국가적 건설 프로젝트 사업에 수용 되는 토지들은 늘 농지, 임야, 마을이 주를 이룬다. 어찌 보면 당연하기도 하지만 그 당연함으로 이익을 보는 것은 늘 도시민들이다. 그것도 주변의 토지에 자본을 투자해서 이익을 볼 수 있는 중산계급 이상이다. 이 뿌리 깊은 악순환은 최근의 신행정수도를 둘러싼 투기 논란에서도 이어지고 있고 아마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널리 보아 오쇠리도 천천히 진행되고 그 결과는 약간 달랐지만 결국은 그 범주에 속해 있다.<br>\n 오쇠리를 나오며 머리를 떠나지 않는 것은 이제 우리는 살만한 공간을 가질 수 없는가, 이윤과 투기의 입장에서 바라보지 않는 시각을 가진 제대로 된 공동체와 공간은 없는가 하는 의문이다.<br>\n르페브르 말대로 이제 모든 공간과 땅은 균질화, 파편화, 위계화되어 더 이상 자본주의와 국가 권력의 제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것만 같다. 우리의 경우 서울을 중심으로 한 대도시를 벗어나려는 노력이 결국은 투기적이고 폐쇄적인 신도시, 기껏해야 투자 목적과 어처구니없이 낭만적 생각에서 출발한 전원주택 단지, 상업적 목적의 펜션 따위로 확산되는 것을 보면 더욱 우울해지지 않을 수가 없다.<br>\n<br>\n 때문에 최근에 우연히 가보게 된 헤이리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하게 된다. 오쇠리와 마찬 가지로 같은 경기도에 있는 헤이리는 오쇠리와 완벽한 대척점에 서 있다. 동시대, 거리상으로는 멀지 않은 곳이면서도 두 곳의 양상은 무척 다르다.<br>\n 오쇠리가 소멸되어가는 마을임에 반해 헤이리는 생성중인 도시이다. 사실 그 규모로는 오쇠리 보다 작기 때문에 도시라기보다는 헤이리 아트 벨리라는 공식 이름처럼 마을에 가깝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경기도 파주시에 속하는데 임진강, 통일동산, 곧 북한에 가깝기 때문에 부동산 투자처로는 매력 있는 곳이 아니다. 오쇠리와 더불어 두 장소 모두 경기도에 위치한다는 것은 두 곳 모두 서울의 영향, 혹은 메가로폴리스로서의 서울의 위세를 보여준다.<br>\n 헤이리의 태동은 95년부터였다고 헤이리 홈 페이지는 전한다. 그 후 우여곡절을 거쳐 이제 헤이리는 건물들이 상당수 들어서서 마을의 꼴을 갖추기 시작했다. 계획에 따르면 몇 년 내에 헤이리 안의 모든 건축물이 완성될 것이라고 한다.<br>\n헤이리를 건설에는 몇 가지 원칙이 있다. 그 원칙들은 헤이리 기획위원회를 중심으로 결적 된 것인데 목적은 헤이리를 다른 곳과 차별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를 간단히 요약해보면, 자연이 살아 쉼 쉬는 생태 마을, 그린네트워크로 디자인된 마스터플랜, 최고의 건축가들이 설계하는 건축 전시실, 광장과 길과 울타리가 미술 작품으로 조성된 곳, 예술성 높은 교량을 위한 현상 설계 실시, 휴먼 스케일을 살린 스카이 라인, 자연 친화적 길, 건물, 가로등, 하천의 정비, 다리 등등이 그것이다.<br>\n이런 원칙들이 관철되고 있다는 것을 가장 먼저 보여주는 것은 멀쩡하게 남아있는 야산들이다. 대개 신도시를 만들게 되면 건축 면적을 넓히기 위해 밀어버리는 나지막한 야산들이 그대로 있다는 것이 헤이리라는 장소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br>\n헤이리는 거대한 건축 전시장이다. 길을 따라 걸으면 그대로 전시장을 한 바퀴 도는 셈이다. 그중 몇 건축은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도 나갔으니 문자 그대로 대한민국 대표 건축들이 모인 셈이다.<br>\n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는 앞서 말한 엄격한 규정들을 지켜야 했다. 예를 들면 분양받은 면적의 절반은 녹지로 조성해야 하고, 담장과 대문을 만들 수 없으며, 용적률은 100%를 넘을 수 없다는 것 따위가 그것이다. 거기에 보태어 건물은 시멘트나 목재 등의 재료의 물질적 성격을 적실히 드러내어 시간에 따라 변해가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도록 제한했으며, 색채 역시 안팎이 같아야 했다. 그것도 페인트를 칠하는 것이 아니라 시멘트에 색을 섞어 색을 내는 등의 조건들이다.<br>\n그렇다면 그렇게 엄격한 규정들 속에 지어진 건축들은 어떨까? 건축물 하나하나는 나쁘지 않다. 아니 일반적인 아무런 원칙도 없이 지어진 건물들에 비하면 분명히 환경을 고려했고, 개성 있으면, 심미적이고 작품이라는 느낌이 확실히 든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헤이리 안의 길을 따라 걸으며 느끼게 되는 것은 기묘한 이질감이다. 분명히 잘 지었는데 주위 환경과 부딪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우선은 주위 환경이 완전히 정비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비라는 말은 이상하지만 건물들이 들어선 사이 야생적인 잡초들이 무성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물론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어차피 헤이리의 구상대로라면 잡초는 잔디나 기타 흔해 빠진 조경으로 대치되지 않은 채 남아있어야 하기 때문이다.<br>\n물론 어떤 건축물들은 주위 환경과 조화되도록 잘 배려되어 있다. 예를 들면 헤이리 사무소로 쓰이는 건축물은 도로의 높이와 지붕의 높이가 같고 지붕이 일종의 광장이나 마당 역할을 하며 공간의 짜임새도 그럴듯하다. 그러나 거기를 떠나 길을 걸으며 보게 되는 건물들에서 느끼는 이질감은 감출 수가 없다. 다시 한번 왜 그럴까 하는 질문이 나오지 않을 수 없다.<br>\n어째서 70년대 우리나라 미술품 전시장을 걷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일까? 어디선가 본 듯하고 모두 다 그럴 듯한데 땅과, 야산과, 시내와, 잡초와, 하늘과 달라붙어 있지 않은 것일까? 건물에 스며 있는 엘리티시즘 때문일까? 아니면 한 번도 이런 공간을 본 적이 없어서 일까? 어쨌든 한 가지 이유 때문만은 아닌 듯하다. 뭔가 복합적인 어떤 이유가 거기에는 있다. 흔해 빠진 전원주택이나 카페 모양이 아닌 것만 해도 천만다행이다 싶지만 그것으로는 부족하다.<br>\n<br>\n헤이리는 장소성을 가진 도시를 만들기 위한 몸부림이다. 나라 어디를 가든 똑같은 건물, 간판, 업종, 아파트가 들어서 있는 도저한 무장소성으로부터 탈출하려는 시도이다. 모두 다 서울의 파편이자 부분과 같은 끔찍함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명백한 장소성을 가진 공간이 있다는 것은 축복이다. 하지만 그 인위적 장소성, 특수함의 추구가 뭘 의미하는지 어떻게 될 것인지는 더 두고 봐야 할 일이다.<br>\n헤이리에서 가장 맘에 드는 것은 시내와 잡초들이다. 시내 위에 놓은 다양한 다리들도 괜찮다. 사실 헤이리가 문화적 생산과 소비를 위한 공간이라는 것은 부차적인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기 위해 일종의 배타성, 부르디외 식의 차별성을 갖는 것도 나쁘지 않다. 물론 쓸데없는 걱정이겠지만 이 차별성이 지리학에서 말하는 폐쇄적 장소 형성 Place cocoons을 통해 다른 장소, 다른 사람들을 경멸적으로 다루게 되는 중독된 장소 감으로 발전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마음에 걸리는 것은 문화적 집단거주지, 생산지를 만든다고 해서 질 높고 그럴듯한 문화적 생산물이 나오리라는 보장이 없다는 것이다. 어찌 보면 헤이리는 탈산업주의의 시대에 새로운 문화 산업을 위한 생태 환경적 접근의 한 예이자 실험일 수 있다. 그 실험이 성공이 될지 아닐지는 물론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다.<br>\n헤이리는 소문난 만큼 관심받을 가치가 있다. 안에서 무엇을 생산하고 소비하는가는 부차적인 문제고 친환경 생태 마을이자 민주적 공동체라는 개념과 그에 따른 실천이 설득력이 있다. 더 따지자면 친환경 생태라는 말이나 그런 행위 자체가 결과와 상관없이 흔해 빠졌고, 또 근래의 지배적인 유행인 웰빙이라는 말이 붙을 만한 마을에 가까우므로 그냥 그렇군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아파트 건설사들이 내세우는 광고와는 확실히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특수한 하나의 모델로 지켜볼만하다.<br>\n<br>\n오쇠리를 나오다 뒤돌아 보면 공항과 마을이 함께 십 년 만의 무더위라는 뜨거운 햇볕 속에 아득히 흐려 보인다. 이런 거리에서는 둘 다 별 차이 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공항은 오쇠리를 집어삼킨 괴물이고 오쇠리는 그 희생자이다. 그러니까 괴물 옆에 가장 가까이 있는 자가 늘 제일 먼저 희생되는 것이다.<br>\n<br>\narticle<br>\n강홍구 : B급 작가가 찍은 디지털 풍경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5%AC%EA%B2%BD%ED%99%94-%EA%B0%95%ED%99%8D%EA%B5%AC.-%EA%B7%B8%EB%A6%B0%EB%B2%A8%ED%8A%B8-%EB%93%9C%EB%9D%BC%EB%A7%88%EC%84%B8%ED%8A%B8-%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B%84%A4%EC%A7%91-%EC%88%98%EB%A0%A8%EC%9E%90.pdf\">[구경화]</a><br>\n어색하고 난처한 개입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4%A0%ED%95%99-%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C%88%98%EB%A0%A8%EC%9E%90-%EC%82%AC%EB%9D%BC%EC%A7%80%EB%8B%A4-%EA%B7%B8%EC%A7%91.pdf\">[강선학 미술비평가]</a><br>\n강홍구라는 텍스트의 위치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9%80%EC%9E%A5%EC%96%B8.pdf\">[김장언]</a><br>\n디지털 푼크툼의 순간에도 아픔이 존재할까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C%9C%A0%EC%9B%90%EC%A4%80.pdf\">[유원준]</a><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br>\n<br>\ninterview<br>\n<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9%80%EC%9D%91%EC%88%98.pdf\">[김응수]</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hwanghak-dong-2004/
hwanghak dong 1 digital photo _ print 260x100, 2004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wanghak-dong-1-digital-photo-_-print-260x100-2004.jpg
강홍구
hwanghak don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wanghak-dong-1-digital-photo-_-print-260x100-2004.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wanghak-dong-1-digital-photo-_-print-260x100-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wanghak-dong-2-digital-photo-_-print-260x100-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wanghak-dong-3-digital-photo-_-print-343x87-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wanghak-dong-4-digital-photo-_-print-200x100-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wanghak-dong-5-digital-photo-_-print-360x83-2004.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wanghak-dong-6-digital-photo-_-print-265x85-2004.jpg"], :captions=>["hwanghak dong 1 digital photo _ print 260x100, 2004", "hwanghak dong 2 digital photo _ print 260x100, 2004", "hwanghak dong 3 digital photo _ print 343x87, 2004", "hwanghak dong 4 digital photo _ print 200x100, 2004", "hwanghak dong 5 digital photo _ print 360x83, 2004", "hwanghak dong 6 digital photo _ print 265x85, 2004"], :gallery=>{:title=>"hwanghak dong, 2004 ", :description=>"\narticle<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sea-2002/
sea 1 2002, digital photo _ print 351x60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1-2002-digital-photo-_-print-351x60-.jpg
강홍구
sea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1-2002-digital-photo-_-print-351x60-.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1-2002-digital-photo-_-print-351x6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2-2002-digital-photo-_-print-240x8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3-2002-digital-photo-_-print-143x4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4-2002-digital-photo-_-print-240x8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5-2002-digital-photo-_-print-240x8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6-2002-digital-photo-_-print-240x8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7-2002-digital-photo-_-print-180x6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8-2002-digital-photo-_-print-224x6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9-2002-digital-photo-_-print-180x6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10-2002-digital-photo-_-print-180x6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11-2002-digital-photo-_-print-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12-2002-digital-photo-_-print-200x8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13-2002-digital-photo-_-print-200x1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14-2002-digital-photo-_-print-200x77.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a-15-2002-digital-photo-_-print-230x70.jpg"], :captions=>["sea 1 2002, digital photo _ print 351x60", "sea 2 2002, digital photo _ print 240x80", "sea 3 2002, digital photo _ print 143x47", "sea 4 2002, digital photo _ print 240x80", "sea 5 2002, digital photo _ print 240x80", "sea 6 2002, digital photo _ print 240x80", "sea 7 2002, digital photo _ print 180x60", "sea 8 2002, digital photo _ print 224x60", "sea 9 2002, digital photo _ print 180x60", "sea 10 2002, digital photo _ print 180x60", "sea 11 2002, digital photo _ print 200x100", "sea 12 2002, digital photo _ print 200x83", "sea 13 2002, digital photo _ print 200x100", "sea 14 2002, digital photo _ print 200x77", "sea 15 2002, digital photo _ print 230x70"], :gallery=>{:title=>"sea, 2002", :description=>"article<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fish-2002/
fish with landscape 거리, 2002, digital photo _ print 220x80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sh-with-landscape-거리-2002-digital-photo-_-print-220x80.jpg
강홍구
fish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sh-with-landscape-거리-2002-digital-photo-_-print-220x80.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sh-with-landscape-거리-2002-digital-photo-_-print-220x8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sh-with-landscape-골목길-2002-digital-photo-_-print-173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sh-with-landscape-구걸-2002-digital-photo-_-print-143x5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sh-with-landscape-농구대-2002-digital-photo-_-print-180x66.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sh-with-landscape-다리-2002-digital-photo-_-print-67x16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sh-with-landscape-비온-뒤-2002-digital-photo-_-print-118x1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sh-with-landscape-장마-2002-digital-photo-_-print-190x8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sh-with-landscape-전철-2002-digital-photo-_-print-220x9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sh-with-landscape-제임스-딘-2002-digital-photo-_-print-183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sh-with-landscape-해운대-2002-digital-photo-_-print-324x92.jpg"], :captions=>["fish with landscape 거리, 2002, digital photo _ print 220x80", "fish with landscape 골목길, 2002, digital photo _ print 173x90", "fish with landscape 구걸, 2002, digital photo _ print 143x53", "fish with landscape 농구대, 2002, digital photo _ print 180x66", "fish with landscape 다리, 2002, digital photo _ print 67x160", "fish with landscape 비온 뒤, 2002, digital photo _ print 118x170", "fish with landscape 장마, 2002, digital photo _ print 190x80", "fish with landscape 전철, 2002, digital photo _ print 220x90", "fish with landscape 제임스 딘, 2002, digital photo _ print 183x70", "fish with landscape 해운대, 2002, digital photo _ print 324x92"], :gallery=>{:title=>"fish, 2002", :description=>"article<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drama-set-2002/
drama set 1, 2002, 230x100, digital photo _ print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1-2002-230x100-digital-photo-_-print.jpg
강홍구
drama set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1-2002-230x100-digital-photo-_-print.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5%AC%EA%B2%BD%ED%99%94-%EA%B0%95%ED%99%8D%EA%B5%AC.-%EA%B7%B8%EB%A6%B0%EB%B2%A8%ED%8A%B8-%EB%93%9C%EB%9D%BC%EB%A7%88%EC%84%B8%ED%8A%B8-%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B%84%A4%EC%A7%91-%EC%88%98%EB%A0%A8%EC%9E%9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1-2002-230x100-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2-2002-220x80-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3-2002-208x80-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4-2002-261x80-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5-2002-157x100-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6-2002-256x80-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7-2002-153x100-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8-2002-340x100-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9-2002-270x100-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10-2002-304x87-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11-2002-225x100-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12-2002-220x80-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13-2002-350x80-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drama-set-15-2002-215x80-digital-photo-_-print.jpg"], :captions=>["drama set 1, 2002, 230x100,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2, 2002, 220x80,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3, 2002, 208x80,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4, 2002, 261x80,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5, 2002, 157x100,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6, 2002, 256x80,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7, 2002, 153x100,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8, 2002, 340x100,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9, 2002, 270x100,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10, 2002, 304x87,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11, 2002, 225x100,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12, 2002, 220x80,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13, 2002, 350x80, digital photo _ print", "drama set 15, 2002, 215x80, digital photo _ print"], :gallery=>{:title=>"drama set, 2002 ",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거의 진짜에 가까운 것에 대한 광적인 갈망은 언제나 기억의 진공 상태에 대한 신경질적 반응으로나 나타날 뿐이다. 절대 모조품은 실체가 없는 현실에 대한 불행한 자의식의 산물이다.<br>\n-움베르토 에코, 마법의 성-<br>\n<br>\n1.<br>\n어느 방송국 휴양 시설 안에 있는 드라마 세트를 본 것은 우연이었다. 이제 더 이상 쓰지 않는, 용도가 폐기된 드라마 세트는 기이했다. 내려 쬐는 여름 햇빛 아래 아무도 없는 가짜 거리가 있었다. 일제 시대부터 육, 칠십 년 대 까지, 공간적으로는 서울에서 평양까지 시간과 공간을 건너뛰어 한 곳에 모인 새로운 세계였다. 건물 벽에는 컴퓨터로 프린트된 퇴색한 광고지들이 붙어 있었고, 바람이 불면 식당 문에 내걸린 일본식 등과 천에 쓴 메뉴들이 흔들렸다. 내가 본 어떤 미술 작품보다도 쇼킹했다. 아니 어처구니없다고 해야 할지 모르겠다.<br>\n 드라마와 영화를 위한 세트들은 그 자체로 존재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다. 카메라를 통해 영상화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그리고 그러기 위해 존재한다. 즉 이차원적 영상이 되기 위해 존재하는 재현된, 혹은 가짜 삼차원인 것이다.<br>\n 때문에 용도가 사라진 세트는 관광자원으로 활용되지 않는 한 버려진다. 그 버려진 세트의 폐허는 현실의 폐허보다 더 폐허 같다. 아니 사실 세트는 버려진 다음에 현실이 되기 시작한다. 대충 만들어진 건물의 일부가 허물어지고 가로수 잎이 푸르러지고 창문에 먼지가 쌓이면서 영상화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존재하기 시작한다. 즉 기호가 사물이 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세트가 가진 일회용 성격 때문에 공허함과 가짜 성은 더 증폭된다. 그 때문에 기이함이 더했던 것일까?<br>\n<br>\n2.<br>\n 저 유명한 야인시대의 드라마 세트를 가본 것은 최근의 일이다. 부천 상동지구, 한편에서는 농지를 대지로 만들어 끔찍한 아파트 공사가 한창이고, 다른 한편은 연립주택과 교회와 상가 건물을 짓고 있는 사이에 세트장이 있었다. 절묘한 공간 배치였다. 근처의 모든 것이 거대한 세트라는 것을 너무 잘 느끼게 해 주었기 때문이었다. 세트장 안에는 사람이 너무 많고 촬영이 진행 중이어서 전에 본 드라마 세트와는 달랐다. 그 차이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한 면만 그려진 광화문과 내걸린 태극기와 일제 시대의 충무로, 명동, 종로를 삼천 원을 지불하고 구경하는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하는 것일까? 아무튼 감흥은 전만 못했다.<br>\n애초부터 관광지로 생각하고 만들었기 때문일까? 어쨌든 좋다. 가짜라는 것, 우리 삶 전체가 세트 같다는 사실을 느끼게 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하니까.<br>\n<br>\n3.<br>\n내가 디지털카메라를 통해 늘 포착했으면 하는 순간은 현실이 비현실적으로 보이는 어떤 때이다. 분명히 현실인데 도무지 현실 같지 않은 순간들. 그렇다고 해서 그 순간들이 에스 에프 영화 같은 분위기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런 순간들은 지극히 평범한 풍경들에 있다. 놀이 공원, 식당, 장례식장, 해수욕장, 술집, 그린벨트, 드라마 세트 등등.<br>\n나는 지극히 무의미한 가짜 사진들을 만들고 싶었다. 미술 작품을 둘러싼 제도와 말과 이론들이 너무 짜증 났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나는 내 사진들이 무의미하고, 공허하고, 황당무계하기를 바랐다.<br>\n그러나 사진을 찍고, 사진에 약간의 조작을 가하면서 내가 느낀 것은 그 사진들 속에서 자꾸 죽음을 읽게 된다는 것이었다. 그 죽음은 시간을 정지시키고 그 대상은 죽음의 상태에 있다는 사진 담론 속의 죽음은 아니었다. 현실 자체의 죽음, 그러나 죽음이 아닌 다른 것으로 느껴지는 무엇이었다.<br>\n예를 들면 우리는 닭을 잡는 대신 죽은 닭을, 물고기를 잡는 대신 죽은 물고기를 산다. 그 죽은 닭과 물고기들은 머리와 내장이 달아나고 마치 죽음이 아닌 것처럼, 시체가 아닌 것처럼 비닐에 싸여 포장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죽음에 대한 감각을 잃어버린다. 죽음이 아니라 물건과 상품으로 취급할 뿐이다. 죽음뿐만 아니라 삶에 대한 감각도 없다. 삶 자체도 비닐 랩에 싸인지 오래인 것이다. 그 비닐 랩은 매끄럽고 투명하지만, 아무것도 말해주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는 사물뿐만 아니라 풍경과 인간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된다. 그린벨트와 골목과 길과 거리와 세트장과 그 모든 곳에도.<br>\n이러한 죽음, 공허는 자본주의 시스템이 열심히 생산해낸 것인데 사진 어디에나 들어 있었다. 의도한 것이 아닌데도 말이다. 그러므로 할 수 없이 내 작품들은 결국 죽음에 대한, 시체 선호증에 대한 사진이 되고 말았다. 혹은 크라카우어의 말처럼 의도하지 않았어도 피할 도리 없이 사진에 담기게 되는 파편화된 세계의 필연적인 측면일 것이다.<br>\n<br>\n4.<br>\n크라카우어는 자신의 영화 이론의 전개를 위해 사진에 관해 말한다. 그는 우선 사진의 특성을 연출되지 않는 현실 <unstaged reality>, 우연성 <the fortutious>, 무한성 <endelessness>, 비결정성 <indetermines>이라고 주장한다.<br>\n비연출성이란 사진에 필연적으로 담기게 되는 찍는 사람의 의도와 상관없는 현실의 파편 때문에 발생하고, 그 우연성이 사진의 기술적 원근법적 질서에 금을 가게 하며, 거기서 얻어지는 필연적 종합 없는 파편 성 때문에 무한하며, 바로 이러한 까닭으로 해서 사진은 결국 불명료한 다양한 의미를 가지는 비결정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br>\n크라카우어의 관점에서 사진은 이상의 특성 때문에 현실의 총체적인 어떤 것을 담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더 이상 통일성, 총체성이 불가능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진은 현실의 파편 성을 통해, 그러한 파편이 새롭게 짜일 수 있는 전망을 통해, 진정한 변혁의 수단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크라카우어는 주장한다. 어차피 현실은 늘 파편, 폐허의 모습으로만 주어지며 그것을 가장 정확하게 담는 매체가 사진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파편 밖에 볼 수 없는 세계에서 그 파편을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에 사진은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br>\n<br>\n크라카우어의 주장은 옳다. 커뮤니케이션 이론적 관점에서 보면 잡음<noise>로 가득 찬 정보인 사진은 세계의 파편만을 담을 뿐이며 그 파편들을 아무리 의도적으로 배열하고 정리해도 결국은 우연성에서 벗어날 수 없다.<br>\n 크라카우어 자신이 말하듯이 아무리 뒤로 물러서도, 어떤 위치에서도 사진은 세계 전체를 담을 수 없는 것이다. 때문에 바르트나 크라카우어가 예술 사진 이외의 사진들이 사진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준다고 주장하는 것은 설득력이 있다.<br>\n<br>\n5.<br>\n 디지털 사진은 전통적인 사진과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그것은 더 자본주의적이고, 더 기계적이며, 동시에 더 파편적이라는 점에서 더욱 사진적인가? 아니면 컴퓨터로 조작되고 레이저 프린터로 출력된다는 점 때문에 기술적 측면과 의미 구성 체적 측면에서 더 비 사진적인가?<br>\n제임슨에 따르자면 예술작품에는 의미 해석에 대해 이질적인 것으로 존속하는 기술적 요소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술적 요소를 지속적으로 의미 안으로 통합시키려는 미학적 해석의 요소가 있다. 기술적 요소와 미학적 요소는 그 자체가 일정한 역사적 시기의 규정성을 동시적으로 드러내는 측면들이다. 그리고 사진의 경우에는 기계적 이미지 복제라는 기술적 요소와 일관된 의미 구성체라는 해석적 요소가 공존한다.<br>\n디지털은 기술적 측면에서 완벽한 복제를 실현시켰다는 점과 그 복제가 사진의 파편성과 우연성을 교활하게 가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것이다. 게다가 작가의 주관성과 대상에 대한 의미 부여를 더욱더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해 주었다. 이것은 사진의 아우라, 인증력, 우연성 등을 붕괴시키면서 동시에 강화했음을 의미한다. 이 패러독스는 의미 구성체로서의 사진에도 적용된다. 간단한 조작을 통해 사진은 그 의미가 강화되기도 하고 약화되기도 한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디지털 사진도 여전히 파편이라는 것이다.<br>\n<br>\n 6.<br>\n나는 원래 사진의 이런 측면들, 특성들에 별 관심이 없었다. 사진은 그저 이미지일 뿐이어서 내가 본 세계를 가장 그럴듯하게 복제하고 보여주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어쨌든 의문은 그냥 찾아왔다. 사진으로 무엇을 할 수 있단 말인가? 더구나 전시장에 전시되는 사진들은 저널리즘 사진, 개인적 기록과 기억으로서의 사진과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뒤져보니 언젠가 쓴 메모가 나온다.<br>\n<br>\n-세계에 대한 개인적인 시선이 무의미해진 지금 미술가들이 할 수 있는 일이란 더욱더 개인적인 되거나(그것이 가능하다면) 개인적인 시각을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인 영상적 시각과 최대한 충돌시키는( 이 역시 가능하다면) 길 밖에 없는 것처럼 보인다.<br>\n개인적 시선의 의도적인 선택은 미술사와 싸우는 길이다. 그 싸움은 독창성, 차이의 획득을 위한 싸움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고정된 의미들을 깨부수고 재건축해야 하는 싸움이다. 돈키호테적인 이 싸움의 배경에는 아직도 미술의 신화와 압력이 스모그보다 짙게 끼었기 때문에 그 싸움은 변질되거나 목표가 흐려져버린다. 하지만 그 신화와 압력은 미술을 둘러싼 광휘이기도 한데 그 광휘는 물론 함정이다. 빛나는 함정은 도처에 널려 있어서 빠지면 나올 수가 없다. 나와도 눈이 멀어버린다.<br>\n영상 매체의 힘은 개인적 시선을 중성화시키고 탈개인화시키며 사회에 공개되었을 때 개인적 의미를 거의 제거해버린다. 개인은 사라지고-카메라와 일치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에 먹힌다- 오양의 비디오처럼 형식적으로는 블랙마켓이지만 사실상 공식적인 시장에 공개될 때 철저하게 사회와 제도에 의해 씹힌다. 미술은 이 두 시선 사이의 틈새를 아슬아슬하게 벌려놓자는 시도인데 그런 쐐기가 정말 가능할까.<br>\n<br> <br>\n지금 생각해보면 개인적 시각이란 제한된 영역에서 겨우 허용되는 것이고, 더구나 그 시선은 미술사와 싸우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내부에서 지르는 비명에 가깝다. 이제 미술, 혹은 사진 따위를 통한 개인적 시선이란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것처럼 보이는 미술 시스템의 눈치와 보다 결정적으로는 대중매체와 그것을 지배하는 거대한 시스템의 눈치를 보면서 겨우 생존하고 있다. 게다가 더 중요한 것은 전통적 의미의 미술 시스템이 아니라 거대 시스템이다. 즉 싸구려 엔터테이너로서의 역할을 얼마나 잘하느냐에 따라, 아니면 대중 매체의 조명을 잘 받느냐에 따라 운명이 결정된다. 더 나쁜 것은 개인이 완전히 사라져 버렸다는 것이다. 때문에 고독한 예술가 따위의 수사는 상품화 외에는 쓸모가 없는 판타지에 지나지 않는다.<br>\n<br>\n7.<br>\n 그렇다면 개인적 시선이 불가능하고 무의미한 시대에 미술, 혹은 사진을 붙들고 있는 것은 무슨 의미나 가치가 있는 것일까? 솔직하게 말해 상품으로써의 가치도, 굉장한 예술적 가치도 없는 무의미한 일을 왜 하는 것일까? 아도르노의 말처럼 그 무용성, 무용한 것이 생산되지 않는 시대에 무용함으로써 역설적 유용함을 증명하기 위해서일까? 그렇다고 답하면 멋있어 보이기도 할 것 같다. 하지만 아니다.<br>\n내가 생각하는 답은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종의 존재 증명까지는 아니더라도 내 삶 자체가 아무것도 아닌 것은 아니라고 말하고 싶어서인지도 모른다. 이런 대답은 사실 자신의 비참함과 무력함을 숨기기 위한, 또는 변명하기 위한 위장이다. 그러므로 사진 혹은 미술은 내 변명이자 위장인 것이다. 그리고 나는 위장 이외에 다른 것을 솔직히 말해 믿지 못하겠다.<br>\n<br>\n8.<br>\n결국 내 사진은 파편화된 세계를 파편으로 보여주는 일종의 위장이다. 이것이 과연 크라카우어가 말한 것처럼 그럴듯한 의미가 있는 것일까. 모르겠다.<br>\n의미라고 하니까 오래전에 읽은 어느 문학평론가의 말이 생각난다. 예술이 가치가 있는 것은 세상의 무의미와 싸우기 때문이라는. 돌이켜 보면 그 말은 아직도 전통적인 예술의 힘을 믿는다는 뜻이었다. 물론 나는 그런 로맨틱한 언사에 속을 만큼 젊지도 않고, 도저히 그런 말에 동의할 수도 없다. 아마도 무의미한 세계는 무의미하도록 내버려두는 것이 훨씬 더 나을 것 같기도 하다.<br>\n<br>\narticle<br>\n강홍구 : B급 작가가 찍은 디지털 풍경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5%AC%EA%B2%BD%ED%99%94-%EA%B0%95%ED%99%8D%EA%B5%AC.-%EA%B7%B8%EB%A6%B0%EB%B2%A8%ED%8A%B8-%EB%93%9C%EB%9D%BC%EB%A7%88%EC%84%B8%ED%8A%B8-%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B%84%A4%EC%A7%91-%EC%88%98%EB%A0%A8%EC%9E%90.pdf\">[구경화]</a><br>\n디지털 푼크툼의 순간에도 아픔이 존재할까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C%9C%A0%EC%9B%90%EC%A4%80.pdf\">[유원준]</a><br>\n재현된 역사, 그 길고도 텅빈 거리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C%A0%95%EC%A7%84%EA%B5%AD-%EC%82%AC%EC%A7%84%ED%8F%89%EB%A1%A0%EA%B0%80.pdf\">[정진국 사진평론가]</a><br>\n또 다른 현실의 기록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9%80%EC%9C%A4%EA%B2%BD.pdf\">[김윤경]</a><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noise></indetermines></endelessness></the></unstaged>"},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busan-2002/
Busan 1- 2002, 200x78, digital photo _ print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Busan-1-2002-200x78-digital-photo-_-print.jpg
강홍구
busan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Busan-1-2002-200x78-digital-photo-_-print.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Busan-1-2002-200x78-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Busan-2-2002-200x88-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Busan-3-2002-200x76-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Busan-4-2002-200x88-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Busan-5-2002-230x79-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Busan-6-2002-230x88-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Busan-7-2002-230x88-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Busan-8-2002-230x88-digital-photo-_-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Busan-9-2002-200x88-digital-photo-_-print.jpg"], :captions=>["Busan 1- 2002, 200x78, digital photo _ print", "Busan 2- 2002, 200x88, digital photo _ print", "Busan 3- 2002, 200x76, digital photo _ print", "Busan 4- 2002, 200x88, digital photo _ print", "Busan 5- 2002, 230x79, digital photo _ print", "Busan 6- 2002, 230x88, digital photo _ print", "Busan 7- 2002, 230x88, digital photo _ print", "Busan 8- 2002, 230x88, digital photo _ print", "Busan 9- 2002, 200x88, digital photo _ print"], :gallery=>{:title=>"busan, 2002", :description=>"article<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br>\n<br>\ninterview<br>\n<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C%9D%B4%EA%B4%91%EC%88%98.pdf\">[이광수]</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hangang-2001/
hangang public park 01 2001, digital photo _ print-254x70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01-2001-digital-photo-_-print-254x70.jpg
강홍구
hangan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01-2001-digital-photo-_-print-254x70.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01-2001-digital-photo-_-print-254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02-2001-digital-photo-_-print-258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05-2001-digital-photo-_-print-276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08-2001-digital-photo-_-print-226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09-2001-digital-photo-_-print-232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10-2001-digital-photo-_-print-230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11-2001-digital-photo-_-print-284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12-2001-digital-photo-_-print-450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13-2001-digital-photo-_-print-705x3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13-1-2001-digital-photo-_-print-176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14-2001-digital-photo-_-print-444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16-2001-digital-photo_-print-333x7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17-2001-digital-photo-_-print-350x73.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hangang-public-park-23-2001-digital-photo-_-print-231x70.jpg"], :captions=>["hangang public park 01 2001, digital photo _ print-254x70", "hangang public park 02 2001, digital photo _ print-258x70", "hangang public park 05 2001, digital photo _ print-276x70", "hangang public park 08 2001, digital photo _ print-226x70", "hangang public park 09 2001, digital photo _ print-232x70", "hangang public park 10 2001, digital photo _ print-230x70", "hangang public park 11 2001, digital photo _ print-284x70", "hangang public park 12 2001, digital photo _ print-450x70", "hangang public park 13 2001, digital photo _ print-705x33", "hangang public park 13-1 2001, digital photo _ print-176x70", "hangang public park 14 2001, digital photo _ print-444x70", "hangang public park 16 2001, digital photo_ print-333x70", "hangang public park 17 2001, digital photo _ print-350x73", "hangang public park 23 2001, digital photo _ print-231x70"], :gallery=>{:title=>"hangang, 2001", :description=>"article<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 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 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 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 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 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 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 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 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green-belt-2001/
그린벨트-고사관수도 2001 215x80 digital photo print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고사관수도-2001-215x80-digital-photo-print.jpg
강홍구
green belt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고사관수도-2001-215x80-digital-photo-print.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5%AC%EA%B2%BD%ED%99%94-%EA%B0%95%ED%99%8D%EA%B5%AC.-%EA%B7%B8%EB%A6%B0%EB%B2%A8%ED%8A%B8-%EB%93%9C%EB%9D%BC%EB%A7%88%EC%84%B8%ED%8A%B8-%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B%84%A4%EC%A7%91-%EC%88%98%EB%A0%A8%EC%9E%9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고사관수도-2001-215x80-digital-photo-print.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공터-2001180x100digital-photo-_-print.tif.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구름-2001196x80digital-photo-_-print.tif.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귤이있는풍경-2001-196x80-digital-photo-print.tif.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길-2001216x80digital-photo-_-print.tif.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논길-2001200x80digital-photo-_-print.tif.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놀이-2001230x80digital-photo-_-print.tif.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미류나무-2001200x100digital-photo-_-print.tif.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빨래-2001-160x100-digital-photo-print.tif.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생선-2001220x85digital-photo-_-print.tif.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세한도-2001222x80digital-photo-_-print.tif.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야유회-2001127x100digital-photo-_-print.tif.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인형-2001251x80digital-photo-_-print.tif.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그린벨트ㅡ뱀닭-2001200x80digital-photo-_-print.tif.jpg"], :captions=>["그린벨트-고사관수도 2001, 215x80,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공터 2001, 180x100,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구름 2001, 196x80,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귤이있는풍경 2001, 196x80,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길 2001, 216x80,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논길 2001, 200x80,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놀이 2001, 230x80,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미류나무 2001, 200x100,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빨래 2001, 160x100,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생선 2001, 220x85,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세한도 2001, 222x80,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야유회 2001, 127x100,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인형 2001, 251x80, digital photo _ print", "그린벨트-뱀닭 2001, 200x80, digital photo _ print"], :gallery=>{:title=>"green belt, 2001", :description=>"artist statement<br>\n 그린벨트 연작은 1999년부터 2001년 사이에 촬영되었다. 그 몇 년 사이에 일부 그린벨트였던 곳은 개발이 이루어졌다. 사라져 버린 것이다. 결국 사라진 풍경이 된 그린벨트는 언젠가 소멸해버릴지도 모른다. 물론 내 작업들이 그린벨트 보존을 주장하거나 그에 대해 이런저런 말을 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나는 풍경을 찍었는데 그것이 사라져 버린 것뿐이다.<br>\n 어쨌든 그린벨트는 그린벨트 내에 사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 그린벨트는 원래 부족한 도시의 녹지 공간을 확보하고, 도시의 무차별적 성장과 연담화를 막고, 우리나라의 특수한 안보적 상황 때문에 등장한 것이다. 그러니까 철저하게 도시민, 도시를 위한 공간인 것이다. 결국 그린벨트와 농촌은 도시민의 여가의 장소, 식량 공급지 등의 배후지 역할을 하고 있다가 필요하면 재빨리 개발되어 버리는 것이다. 이는 곧 농촌 혹은 그린벨트 지역이 도시를 위한 식민지 역할을 하고 있다는 증거이다.<br>\n 사진은 디지털카메라로 촬영되었으며 컴퓨터로 이어 붙인 자국이 남도록 만들어졌다. 프린트는 디지털 은염 인화이다.<br>\n<br>\narticle<br>\n강홍구 : B급 작가가 작가가 찍은 디지털 디지털 풍경<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5%AC%EA%B2%BD%ED%99%94-%EA%B0%95%ED%99%8D%EA%B5%AC.-%EA%B7%B8%EB%A6%B0%EB%B2%A8%ED%8A%B8-%EB%93%9C%EB%9D%BC%EB%A7%88%EC%84%B8%ED%8A%B8-%EC%98%A4%EC%87%A0%EB%A6%AC-%EB%AF%B8%ED%82%A4%EB%84%A4%EC%A7%91-%EC%88%98%EB%A0%A8%EC%9E%90.pdf\">[구경화]</a><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전복적 사진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untitled-1999-2000/
골목 67X120 digital photo _ print 1999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골목-67X120-digital-photo-_-print-1999.jpg
강홍구
untitled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태극기-71X74-digital-photo-_-print-2000.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태극기-71X74-digital-photo-_-print-20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홍대앞-밤-65X97-digital-photo-_-print-1999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골목-67X120-digital-photo-_-print-199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마네이후-110X167-digital-photo-_-print-2000.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빈사무실-100X164-digital-photo-_-print-1999-199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심부름-110X125-digital-photo-_-print-199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염소-83X121-digital-photo-_-print-199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의자-110X125-digital-photo-_-print-199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인형-83X123-digital-photo-_-print-199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일요일-71X88-digital-photo-_-print-199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종합청사-110X125-digital-photo-_-print-1999.jpg"], :captions=>["태극기 71X74 digital photo _ print 2000", "홍대앞 밤 65X97 digital photo _ print 19999", "골목 67X120 digital photo _ print 1999", "마네이후 110X167 digital photo _ print 2000", "빈사무실 100X164 digital photo _ print 1999 1999", "심부름 110X125 digital photo _ print 1999", "염소 83X121 digital photo _ print 1999", "의자 110X125 digital photo _ print 1999", "인형 83X123 digital photo _ print 1999", "일요일 71X88 digital photo _ print 1999", "종합청사 110X125 digital photo _ print 1999"], :gallery=>{:title=>"untitled, 1999-2000", :description=>"article<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전복적 사진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self-1999/
self 2, scannner, digital print, 1999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자화상-2-scannnerdigital-print-1999.jpg
강홍구
self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lf-1scannnerdigital-print-1999.jpg
{:video_url=>"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lf-1scannnerdigital-print-199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자화상-2-scannnerdigital-print-199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lf3scannnerdigital-print-1999.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self4scannnerdigital-print-1999.jpg"], :captions=>["self 1, scannner, digital print, 1999", "self 2, scannner, digital print, 1999", "self 3, scannner,digital print, 1999", "self 4, scannner, digital print, 1999"], :gallery=>{:title=>"self, 1999", :description=>"article<br>\n파생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A%B0%95%EC%88%98%EB%AF%B8-%EB%AF%B8%EC%88%A0%EB%B9%84%ED%8F%89%EA%B0%80.pdf\">[강수미 미술비평가]</a><br>\n사진, 사라지는 것들, 대안기억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AF%BC%EB%B3%91%EC%A7%81-%ED%8F%AC%ED%95%AD%EC%8B%9C%EB%A6%BD%EB%AF%B8%EC%88%A0%EA%B4%80-%ED%95%99%EC%98%88%EC%8B%A4%EC%9E%A5.pdf\">[민병직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실장]</a><br>\n강홍구가 있는 풍경과 홍명보 개인전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98%EC%9D%B4%EC%A0%95-%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반이정 미술평론가]</a><br>\n강홍구의 디지털사진 풀기 <a href=\"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EB%B0%B1%EC%A7%80%EC%88%99-%EB%AF%B8%EC%88%A0%ED%8F%89%EB%A1%A0%EA%B0%80.pdf\">[백지숙 미술평론가]</a>\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전복적 사진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
http://geonhi.com/korean/강홍구-fire-1995/
fire 1, 1995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re-1-1995-re.jpg
강홍구
fire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re-1-1995-re.jpg
{:video_url=>nil, :images=>["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re-1-1995-re.jpg",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re02.bmp", "http://geonhi.com/korean/wp-content/uploads/2019/02/fire-31995.bmp"], :captions=>["fire 1, 1995", "fire 2, 1995", "fire 3, 1995"], :gallery=>{:title=>"fire, 1995", :description=>""}, :artist=>{:title=>"강홍구", :description=>"1956년 출생<br>\n<br>\n[학력]<br>\n1976 목포교육대학 졸업<br>\n198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r>\n1990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br>\n<br>\n[개인전]<br>\n2017 안개와 서리-10년 (원앤 제이 갤러리, 서울)<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6 청주 – 일곱 마을의 도시 (스페이스22, 서울)<br>\n2016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서학동 사진관, 전주)<br>\n2015 under print – 참새와 짜장면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3 서울 산경 (테이크아웃 드로잉, 서울)<br>\n2013 사람의 집 – 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 우민아트센터, 청주 • 원앤제이 갤러리 • 트렁크 갤러리, 서울)<br>\n2012 녹색연구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11 서늘한 집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0 그 집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br>\n2009 사라지다 –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 (몽인아트센터, 서울)<br>\n2006 풍경과 놀다 (리움미술관 로댕갤러리, 서울)<br>\n2006 어의도 가는 길 (space kandada, 도쿄)<br>\n2004 오쇠리 풍경 (갤러리 숲, 서울)<br>\n2003 드라마 세트 (대안공간 풀, 서울)<br>\n2002 한강시민 공원 (요스카 뷰잉룸, 도쿄)<br>\n1999 위치, 속물, 가짜 (금호미술관, 서울 • 갤러리 그림시, 수원)<br>\n1992 갤러리 사각 (서울)<br>\n<br>\n[그룹전]<br>\n2018 프레임 너머의 프레임(대구 미술관, 대구)<br>\n2018 붉은 땅 푸른강 검은 갯벌 {오승우 미술관 , 무안}<br>\n2018 균열-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8 아트 인 팔레트 2018(광주 전남 갤러리, 서울)<br>\n2018 유유산수(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7 풀이 선다( 대안공간 풀)<br>\n2017 신소장품 2013~16 삼라만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br>\n2016 리서치, 리서치(우정국 아트센터, 서울)<br>\n2016 끝은 시작이다(원앤제이 신당동, 서울)<br>\n2016 동백꽃 뮐푀유(아르코 미술관, 서울)<br>\n2016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6 말 없는 미술(하이트 콜렉션, 서울)<br>\n2016 사회 속 미술 – 행복의 나라(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5 루나포토 페스티벌 (갤러리 류가헌, 서울)<br>\n2015 대망명 大亡命 The Great Asylum(테이크 아웃 드로잉, 서울)<br>\n2015 공간의 재해석 Space Redefined(jj 갤러리, 서울)<br>\n2015 peace voice nice(경남도립미술관, 창원_)<br>\n2015 강홍구, 박진영 사진전 –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2015 최진욱, 강홍구 이인전 – 탈주의 방법 (갤러리 룩스, 서울)<br>\n2014 사회적 풍경 Parallax view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br>\n2014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세빛 섬, 서울)<br>\n2014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4 콜라주 아트 (경기도미술관, 안산)<br>\n2013 다시 쓰기 (두산갤러리, 서울)<br>\n2013 현대적 관광 (일현미술관, 양양)<br>\n2013 근대성의 새 발견 (문화서울역 284, 서울)<br>\n2013 아티스트 포트폴리오 (사비나미술관, 서울)<br>\n2013 그날의 훌라 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2013 사진과 도시 (경남도립미술관, 창원)<br>\n2012 이것이 대중미술이다 (세종문화회관, 서울)<br>\n2012 히든 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화이트 서머 (신세계갤러리, 서울)<br>\n2012 진도 소리, 삶을 그리다 (광주 신세계갤러리, 광주)<br>\n2012 (불)가능한 풍경 (리움미술관 플라토, 서울)<br>\n2012 천개의 마을, 천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2012 메타데이터:전복적 사진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2 한국 현대미술 – 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성남)<br>\n2012 진단적 정신, 카트스트로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br>\n2009 강홍구, 노순택- 늙은 개와 구르는 돌 (갤러리 킹, 서울)<br>\n외 다수<br>\n<br>\n[작품소장]<br>\n부산시립미술관 (부산)<br>\n아트선재센터 (서울)<br>\n뚜르미술관 (프랑스)<br>\n국립현대미술관 (과천)<br>\n부산민주화공원 (부산)<br>\n문예진흥위원회 (서울)<br>\n5.18기념재단 (광주)<br>\n한미사진미술관 (서울)<br>\n경기도미술관 (안산)<br>\n삼성리움미술관 (서울)<br>\n서울시립미술관 (서울)<br>\n몽인아트센터 (서울)<br>\n고은사진미술관 (부산)<br>\n우민아트센터 (청주)<br>\n<br>\n[출판]<br>\n2018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20년 후( 이안, 서울)<br>\n2017 강홍구 (핵사곤, 서울)<br>\n2016 청주-일곱 마을의 도시( 우민아트센터, 청주)<br>\n2015 우리가 알던 도시( 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br>\n2013 사람의 집-프로세믹스 부산 (고은사진미술관)<br>\n2010 작품집, 강홍구 1996-2010 (원앤제이)<br>\n2006 디카를 들고 어슬렁 (마로니에 북스)<br>\n2002 그림 속으로 난 길 외 (아트북스)<br>\n2001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br>\n1995 앤디 워홀 : 거울을 가진 마술사의 신화 (도서출판 재원)<br>\n1994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미술 이야기1.2 (내일을 여는 책)<br>\n<br>\n[수상]<br>\n2015 루나 포토 페스티벌 올해의 작가<br>\n2008 동강 사진예술상 (동강 사진예술 위원회)<br>\n2006 올해의 예술가상 시각예술부문 (문예진흥위원회)\n"}}